|
오두막 지기 B 그룹
단상 16 겸 마스터를 포함한 선배님들의 외관, 일상 등에 관한 많은 질문의 기본 답변 3.
내 실수로 어제 올렸던 글이 삭제되어 오늘 다시 올림.
댓글 단 분들의 댓글까지 사라져 미안함.
먼저 기본 답변 2에서 쓴, [젊은 남자들은 중년, 노년의 여성의 외관과 언동에 대해 아예 이성적 관심이 적어서 그런지 별다른 반응은 적은데, 젊은 여자들은 중년, 노년 남성의 외관, 외모, 언동에 대해 극혐부터 비아냥까지 예나 지금이나 많은 듯함. 아마도 꼴에 주제도 모르고, 못생긴 데다 마누라 딸 등 역지사지 능력도 없는 놈이 더 많이 침 흘리고 껄떡대서 그런 듯함.
수컷, 특히 외관도 내면도 못생긴 늙은 수컷은 다음에 쓸 내용을 참조하여, 여성들로부터 뱀, 쥐, 바퀴벌레, 길에 이리저리 밟힌 개똥 취급은 받지 않고 살다가 죽어야 할 것. 뱀, 쥐들까지 품어주는 산자수려 산하, 녹음방초, 길가에 핀 꽃으로 살다 죽으면 더 좋고.]와 관련.
원론적으로, 불륜, 형법상 간통죄 형사처분 폐지 취지처럼,
어떠한 형태의 남녀 간 사랑이든 사랑은 인간 이전 천부 인권, 모든 생명체가 가진 생래적 자유임을 전제로 함.
그러나 인간이기에 한계가 있고, 상식적인 인간은 남녀 간의 사랑은 상호 동의만으로는 부족하고 적법, 적윤리, 타인, 특히 상간자를 포함하여 배우자, 자식들을 아프게 하지 말아야 함을 잘 알고 있을 것임.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살인, 강도, 강간 등 중범죄를 포함하여 온갖 범죄, 불륜이 넘쳐나는 인간 세상이지만,
잠시 빌려 살다 갈 찰나의 인생에서 보다 가치있게 살다 가려 하는 상식적 인간이라면...
"너희들이 여름에 한 짓을 다 알고 있다"라는 소설, 영화 제목처럼, 더 추악한 연놈들이 많지만,
최근의 안희정, 박원순, 오거돈 등 형사법적 처벌 대상 혹은 최순실, 기업인, 연예인 등등의 널리 알려진 사실처럼.
정신적 손해배상 청구권, 위자료 대상의 민사법적 처벌 대상의 사랑은 결코 정당화될 수 없고 되어서도 안됨.
가정을 파괴하고 배우자, 부모, 자식들을 아프게 하는 비윤리적, 불륜적 사랑도 마찬가지.
그 범죄적, 비윤리적 사랑은 극단 자기 중심벽적 색욕의 발현으로 반인격적, 반사회적 행위일 뿐.
그 사랑 중 더러는 사랑의 탈을 쓴 강간, 강제추행 등 성범죄적 행위로 평가받을 수 있는 행위도 존재.
다음 기본 답변 4에서 우리, 특히 중년 이후 배우자가 있는 수컷들은 어떻게 해야 세속 탐욕 중 하나인, 불법, 비윤리적 색욕에서 자유로울 수 있을까와 관련 마스터, 어른들의 사례를 살펴볼 예정.
모태든, 사별이든... 불법, 비윤리적 사랑에서 보다 자유로운 어른들조차 지나치게 맑음은 의문 여지가 있지만..
아래에 덧붙인 후배의 과제 글과 관련된 아파트 공급 과잉 물량...
밀어내기 분양으로 반포 자이, 반포 래미안퍼스티지가 미분양 났고, 잠실 엘스, 리센츠, 트리지움 입주 시 강남 3구 전체의 매매, 전월세 시장이 휘청댔던 객관적 사실.
강남 3구조차 그런데 인천시와 대구시의 중단기 입주 예정 물량은 심상치 않음.
물론 중장기적으로는 도시 및 주거환경이 많이 개선되니 긍정적이지만.
햇살 한 스푼
2019.07.13 22:14
부산 부동산 중장기 전망과 관련하여 공급 측 요소인 2019~2022년 입주 물량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올해, 내년에 분양하는 물량이 추가되겠지만, 부산 부동산 시장은 한 해를 제외하고 2015년부터 2020년까지 장기간 이어진 매년 2~3만 가구대 입주의 공급 과잉 상태는 이제 서서히 막을 내리려는 듯합니다.
2021년의 입주 물량은 많이 줄어드는데, 2022년은 조금 늘고, 2023년 이후는 거제 2구역 래미안레이카운티, 온천 4구역 래미안, 대연 3구역 캐슬아이파크 등 부산시 아파트 분양 물량과 해운대 우동 3구역, 시민공원 촉진 3구역과 2-1구역, 금정구 서금사 5구역, 문현 1, 3구역, 감만 1구역, 우암 1, 2구역, 괴정 5구역 등의 인허가 물량을 세밀히 살펴야 하겠지요?
그간의 과잉 공급 상태로 인해 부산 매매시장은 2017년부터 지금까지 3년간 침체되었고, 반면에 부산 전월세 시장은 상대적으로 전국에서 가장 많이 안정되었습니다. 반대로, 부산 아파트 입주 물량이 장기간 분산되어 한 두해 예외를 제외하고 매년 1만 가구대로 감소하게 된다면 전월세 가도 꾸준히 상승하게 될 것입니다.
그리되면 서민층의 주거난은 2021년 이후 중장기간 심화될 수밖에 없겠고, 반면, 도시 및 주거환경의 비약적 발전에다 든든한 전월세 인상의 실탄까지 더해진 매매시장은 중장기간 활황을 보여줄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전에도 그랬듯, 부산 부동산 시장은 서울, 대구 등의 부동산 시장과 디커플링 하면서 말입니다.
이하는 2019년 7월 현재, 2019~2022년 부산시 아파트 입주 예정 물량입니다.
먼저 부산 외곽지역인 기장군과 강서구의 입주 예정 물량.
2019년 7월 강서구 그린코아 더 베스트 431가구, 11월 명지 화전 아이유쉘 1515가구,
2020년 1월 일광 자이 푸르지오 1547 가구, 일광 이편한 세상 913가구, 4월 일광 더 원 653, 일광 비스타 1차 701가구, 6월 일광 더 휴 1298 가구, 8월 명지 더 샵 2936가구, 10월 베르힐 518가구, 12월 일광 비스타 2차 917 가구,
부산 원도심인 서구, 동구, 중구, 영도구의 입주 예정 물량.
2019년 7월 이편한 세상 부산항 752가구, 휴포레 부산지역 788가구, 12월 오션 더 뷰 231 가구,
2020년 2월 레우스 센트럴 베이 856 가구, 9월 대신 푸르지오 815가구,
2021년 2월 초량 베스티움 449가구, 3월 동대신역 비스타 476가구, 봉래 에일린의 뜰 1152가구,
2022년 1~3월 부산항 미라주 888가구, 4~6월, 동삼 오션시티 푸르지오 846, 송도 힐스테이트 베이시티 1368, 좌천 범일 더 제니스 하버시티 2040 가구,
서부산, 북부산 지역인 사하구, 사상구, 북구의 입주 예정 물량.
2019년 10월 금정산 뉴웰시티 1677, 덕천역 이즈 250가구,
2020년 6월 장림역 베스티움 221가구,
2021년 3월 화명 푸르지오 886가구, 신만덕 공공임대 730, 금정산 이편한세상 1239 가구, 7월 구포 유보라 746가구, 8월 구평 S클래스 공공임대 665가구, 12월 괴정 더 휴 835 가구,
2022년 2분기 신만덕 베스티움 593 가구,
동부산 지역인 해운대구, 수영구, 남구의 입주 예정 물량.
2019년 7월 남천 어울림 더 비치 421가구, 10월 마린시티 자이 258, 중동 비스타 504, 11월 엘시티 더 샵 882 가구, 2020년 1월 민락 오션 테라스 1038가구, 5월 센텀 스카이원 208가구, 6월 문현 리인 600가구, 9월 중동 캐슬 스타 828가구, 10월 중동 센터럴 푸르지오 548, 광안 자이 971가구,
2021년 5월 중동 리인 뷰 298가구,
2022년 1분기 대연마루 내안에 560가구, 중동 센터럴 푸르지오 548, 문현 오션 파라곤 662 가구,
중부산 지역인 부산진구, 연제구, 동래구, 금정구의 입주 예정 물량.
2019 7월 아시아드 예가, 920가구, 8월 이편한 세상 명장 1384가구, 9월 아시아드 하늘채 660가구, 온천 그린코아 베스트 340가구, 12월 시청역 비스타 740가구,
2020년 2월, 7월 서면 봄 여름 가을 겨울 각각 266, 382 가구, 3월 연지 꿈에그린 1113가구, 7월 가야 센트레빌 212, 휴포레 시티즌 파크 389, 연산 캐슬 골드포레 1230, 이편한 동래 온천 439, 구서 위브 포세이돈 330 가구,
2021년 7월 부산대역 골든 뷰 에듀스테이션 610 가구, 11월 이편한 세상 연산 455, 힐스테이트 연산 1566가구,
12월 동래 3차 SK 뷰 999, 동래 래미안 아이파크 3653 가구,
2022년 2분기 힐스테이트 명륜 2차 874가구, 3분기 전포 1-1 이편한 세상 1286, 연지 2 래미안 2616 가구.
2020년 12월 19일 카페, 블로그 등에서 모니터링된 자료.
깅원도 원주시
무실동 e편한게상, 무실 주공, 무실 2지구우미린, 무실동과 명륜동의 원주 더샵센트럴파크1~4단지, 명륜동 단구 1단지, 지정면 원주 기업도시 이지더원, 이지더원그레이스, 원주 롯데캐슬더퍼스트, 롯데캐슬골드파크, 원주 라온프라이빗, 호반베르디움, 반도유보라아이비파크,
반곡동 푸른숨휴브레스, 힐데하임, 반곡 아이파크, 중흥클래스프라디움, 단계동 봉화산푸르지오, 단계 주공, 봉화산벨라시티, 단구동 내안애카운티에듀파크 등등.
강원도 춘천시
3년 전만해도 국평 최고가가 3억대였는데
2022년 입주예정인 춘천 센트럴타워푸르지오 국평 매물은 8억, 2019년 입주한 한숲시티 매물은 6억을 넘네요.
반면에 2008년에 입주한 후평동의 대장 춘천재건축의 1호 아파트 후평동에서 규모가 제일 큰 단지 춘천포스코더샵의 실거해가격은 2억대에 그칠 뿐이고. 춘천시 사농동 현대, 롯데캐슬, 뉴시티코아루는 1억대에 불과할뿐입니다.
그러나 지난달 입주를 시작한 춘천파크자이 84타입이 4억넘게 거래되고 있는 점을 감안하면
현재 3억대인 춘천일성트루엘아파트도 4억을찍을 날이 곧 올거라고 예상해 봅니다.
춘천 장학 아이파크의 지난 2일 최고 매매시세는 단지 최대 전용면적 가구인 119.91㎡(약 36.3평) 기준 3억8000만원이다.
[출처] 춘천 장학 아이파크 전타입 시세 상승이고 최고 3억8000만원'입니다.
춘천 퇴계동 뜨란채아파트의 경우 지난 12일 기준 3.3㎡당 매매시세가 720만원으로 전년 동기 시세(652만원)와 비교해 10.4% 오르면서 춘천지역 아파트 단지 중 유일하게 두 자릿수의 연간 상승률을 기록했다.
또 같은 비교기간 퇴계동의 이안아파트와 주공6차 아파트, 휴먼시아 남춘천2단지 아파트도 600만원 후반대던 시세가 700만원 초중반대로 오르면서 5~7% 수준의 상승률을 기록, 모두 춘천 연간 매매시세 상승률 10위 안에 안착.현재 춘천지역 개발 호재는 학곡지구와 우두택지 개발사업, 레고랜드, 삼악산 로프웨이, 춘천속초 동서고속화철도, 제2경춘국도, 수열에너지 융·복합 클러스터 사업, 인구 30만시대 주택공급계획 등입니다.
강원도 강릉시,
강릉 임장은 송정동 강릉아이파크, 경포대신도브레뉴, 유천동 엘에이치선수촌, 유천 유승한내들, 교동 주공, 교동 롯데캐슬, 견소동 해변신도브레뉴, 견소 한신, 포남동 주공 등등을 둘러보고 홍제동을 중점으로 살펴봤습니다.
강원도 강릉시 홍제동에 속한 아파트 단지의 매매가 순위 입니다. 1위는 우미린아파트로 평균매매금액 40,000만원, 최고매매금액 40,000만원, 최저매매금액 40,000만원 2위는 홍제한신휴플러스로 평균매매금액 31,000만원, 최고매매금액 31,000만원, 최저매매금액 31,000만원 3위는 홍제푸르지오로 평균매매금액 26,800만원, 최고매매금액 26,800만원, 최저매매금액 26,800만원
강릉시 홍제동 강릉홍제힐스테이트 아파트의 2020년 08월의 평당평균매매금액은 879만원, 평당최고매매금액는 921만원, 평당최저매매금액은 822만원 입니다.
강원도 속초시
속초시 동명동 디오션자이, 롯데캐슬, 중앙동 힐스테이트 임장후 본격적으로 조양동을 둘러 보았습니다.
국평기준 속초 청호아이파크 실거래 가격은 3.2억,
분양권 가격으로는 속초 세희스타힐스더베이도 3억을 넘기고 있네요.
속초 양우내안애오션스카이의 분양권 가격은 무려 4.3억입니다.
속초 조양동 스위첸은 소액이나마 프리미엄이 붙어있는 속초 자이, 교동 시티프라디움, 효성 해링턴과 달리, 분양가 그대로의 매물도 많네요.
전라북도 군산시 나운동에 속한 아파트 단지의 매매가 순위 입니다.
1위는 수송코아루로 평균매매금액 16,038만원, 최고매매금액 16,038만원, 최저매매금액 16,038만원
2위는 수송금호어울림로 평균매매금액 20,250만원, 최고매매금액 20,250만원, 최저매매금액 20,250만원
3위는 주공3차로 평균매매금액 10,538만원, 최고매매금액 10,538만원, 최저매매금액 10,538만원
4위는 롯데4차로 평균매매금액 23,500만원, 최고매매금액 23,500만원, 최저매매금액 23,500만원
5위는 나운동보람더하임로 평균매매금액 11,467만원, 최고매매금액 11,467만원, 최저매매금액 11,467만원
6위는 대우로 평균매매금액 14,450만원, 최고매매금액 14,450만원, 최저매매금액 14,450만원
7위는 현대4차로 평균매매금액 12,017만원, 최고매매금액 12,017만원, 최저매매금액 12,017만원
8위는 삼성로 평균매매금액 12,600만원, 최고매매금액 12,600만원, 최저매매금액 12,600만원
9위는 현대3차로 평균매매금액 12,600만원, 최고매매금액 12,600만원, 최저매매금액 12,600만원
10위는 동신로 평균매매금액 13,533만원, 최고매매금액 13,533만원, 최저매매금액 13,533만원
11위는 금호타운2차로 평균매매금액 11,525만원, 최고매매금액 11,525만원, 최저매매금액 11,525만원
12위는 비사벌로 평균매매금액 7,670만원, 최고매매금액 7,670만원, 최저매매금액 7,670만원
13위는 서호로 평균매매금액 10,167만원, 최고매매금액 10,167만원, 최저매매금액 10,167만원
14위는 영창(3,5,6동)로 평균매매금액 6,760만원, 최고매매금액 6,760만원, 최저매매금액 6,760만원
15위는 영창(1,2동)로 평균매매금액 7,500만원, 최고매매금액 7,500만원, 최저매매금액 7,500만원
16위는 한울로 평균매매금액 7,450만원, 최고매매금액 7,450만원, 최저매매금액 7,450만원
17위는 신일해피트리로 평균매매금액 7,100만원, 최고매매금액 7,100만원, 최저매매금액 7,100만원
18위는 금호타운1차로 평균매매금액 9,700만원, 최고매매금액 9,700만원, 최저매매금액 9,700만원
19위는 주공5차로 평균매매금액 6,107만원, 최고매매금액 6,107만원, 최저매매금액 6,107만원
20위는 롯데3차로 평균매매금액 8,800만원, 최고매매금액 8,800만원, 최저매매금액 8,800만원
21위는 현대2차로 평균매매금액 6,300만원, 최고매매금액 6,300만원, 최저매매금액 6,300만원
22위는 세경로 평균매매금액 5,088만원, 최고매매금액 5,088만원, 최저매매금액 5,088만원
23위는 청솔로 평균매매금액 5,000만원, 최고매매금액 5,000만원, 최저매매금액 5,000만원
24위는 동신진주로 평균매매금액 5,900만원, 최고매매금액 5,900만원, 최저매매금액 5,900만원
25위는 현대백조로 평균매매금액 7,100만원, 최고매매금액 7,100만원, 최저매매금액 7,100만원
26위는 롯데1차로 평균매매금액 11,000만원, 최고매매금액 11,000만원, 최저매매금액 11,000만원
27위는 우진로 평균매매금액 4,867만원, 최고매매금액 4,867만원, 최저매매금액 4,867만원
28위는 유원로 평균매매금액 5,750만원, 최고매매금액 5,750만원, 최저매매금액 5,750만원
29위는 아리랑로 평균매매금액 3,050만원, 최고매매금액 3,050만원, 최저매매금액 3,050만원
30위는 금호2차로 평균매매금액 3,150만원, 최고매매금액 3,150만원, 최저매매금액 3,150만원
31위는 동산은파로 평균매매금액 2,417만원, 최고매매금액 2,417만원, 최저매매금액 2,417만원
32위는 명성그린맨션로 평균매매금액 2,100만원, 최고매매금액 2,100만원, 최저매매금액 2,100만원 입니다.
[출처] 전라북도 군산시 시세 및 매매 실거래가 분석 (2020년 11월 기준 보고서)|작성자 아파트연구소
양산 물금 증산신도시 아파트 2020년 11월 매매 실거래가격 및 거래율 1.
1단계 지역 11,723세대. 중부동 입주평균17년이상 / 베란다 비확장형
반도신도시 주공 3단지 (중부동) : 15층 / 1,008세대 / 46㎡~59㎡
신도시 주공 4단지 뜰안채 (중부동) : 15층 / 1,248세대 / 52㎡~77㎡
신도시 휴먼시아 7단지 (남부동) : 18층 / 1,260세대 / 53㎡~68㎡
신도시 주공 8단지 (남부동) : 20층 / 766세대 / 68㎡~79㎡
신도시 청어람 (남부동) : 21층 / 1,724세대 / 77㎡~105㎡
대동 황토방 (중부동) : 25층 / 1,256세대 / 73㎡~179㎡
신도시 현대 (중부동) : 24층 / 1,185세대 / 69㎡~157㎡
상록경남 아너스빌 (남부동) : 25층 / 998세대 / 108㎡~151㎡
쌍용 스윗닷홈 (남부동) : 15층 / 836세대 / 91㎡~105㎡
동원 로얄듀크 (남부동) : 15층 / 779세대 / 83㎡~104㎡
양산 e-편한세상 1차 (남부동) : 25층 / 663세대 / 92㎡~144㎡
2-1단계 지역 9,115세대. 범어리 입주평균12년이상 / 베란다 비확장형이 많음
반도 유보라 1차 (물금읍) : 29층 / 622세대 / 79㎡~153㎡
반도 유보라 2차 (물금읍) : 27층 / 631세대 / 85㎡~112㎡
대방 노블랜드 1차 (물금읍) : 25층 / 1,414세대 / 83㎡~135㎡
신창 비바패밀리 (물금읍) : 25층 / 1,248세대 / 86㎡~170㎡
양산 e-편한세상 2차 (물금읍) : 25층 / 1,032세대 / 83㎡~150㎡
효성 백년가약 (물금읍) : 25층 / 832세대 / 85㎡~151㎡
우미 린 (물금읍) : 28층 / 720세대 / 79㎡~82㎡
우남 퍼스트빌 (물금읍) : 28층 / 640세대 / 83㎡~236㎡
일신 휴먼빌 (물금읍) : 28층 / 551세대 / 85㎡~149㎡
현진 에버빌 (물금읍) : 28층 / 358세대 / 123㎡~196㎡
동원 로얄듀크 3차 비스타 (물금읍) : 37층 / 568세대 / 110㎡~111㎡
유림 노르웨이숲 (물금읍) : 41층 / 499세대 / 118㎡~170㎡
2-2단계 지역 6,829세대. 동면 입주평균 6년이상 / 베란다 확장형아파트
남양산 e-편한세상 1차 (동면) : 25층 / 976세대 / 85㎡~115㎡
남양산 e-편한세상 2차 (동면) : 25층 / 998세대 / 85㎡~172㎡
동원 로얄듀크 2차 (동면) : 26층 / 621세대 / 83㎡~108㎡
남양산역 반도유보라 아이비파크 5차 (동면) : 25층 / 1,244세대 / 80㎡~120㎡
남양산역 반도유보라 아이비파크 6차 (동면) : 29층 / 827세대 / 82㎡~113㎡
양우 내안에 6차 에코뷰 (동면) : 29층 / 581세대 / 82㎡~93㎡
양산 이지더원 3차 리버포레 (동면) : 26층 / 1,083세대 / 88㎡~104㎡
남양산역 금호 어울림 (동면) : 27층 / 499세대 / 85㎡~110㎡
2021년 9월 2일과 8월 10일에 모니터링한 자료.
2021. 08. 02. 부동산 단신 1.
강남 아파트 평당 1억원은 이제 흔한 일… 강남구 청담동 청담자이 전용면적 89㎡(36평)는 40억원에 거래됐다. 이를 3.3㎡당 가격으로 환산하면 1억1000만원 수준이다 .서초구 잠원동의 신반포자이 전용면적 84㎡(33평)도 지난달 3일 34억5000만원에 신고가를 기록했다. 3.3㎡당 가격으로 환산하면 1억400만원 수준에 거래됐다. 서초구 반포동 아크로리버파크(전용면적 59㎡)는 27억원에 거래됐다. 3.3㎡ 당 가격으로 환산하면 1억4857만원이다.
또 최근 재건축 이주를 시작한 반포주공1단지를 비롯해 압구정 현대 14차와 현대 1·2차, 한양1차, 잠원동 신반포8차, 신반포2차 등에서 3.3㎡ 당 1억원을 상회하는 값에 거래가 이뤄졌다. 한편, 서울 서초구 서초동 래미안리더스원. 1317가구 중 펜트하우스 238㎡(이하 전용면적)과 205㎡ 가격은 각각 70억원대, 60억원대다. 분양가가 각 39억원, 35억원이었다. 강남구 일원동 디에이치자이개포는 당장 팔아도 15억원 정도의 시세차익을 기대할 수 있다.
비강남권 ‘국민평형’ 20억원 돌파 ‘줄줄이’... 서울 동작구 흑석동 ‘아크로리버하임’ 84㎡(20층)는 지난달 3일 신고가인 25억원에 거래됐다. 25억 이상은 강남3구인 강남구, 서초구, 송파구(잠실주공5단지 82㎡)와 성동구뿐이었다. 바로 옆 ‘광장힐스테이트’ 84㎡에 이어 광진구 광장동 ‘광장현대홈타운11차’ 84㎡는 지난달 16일 21억원에 팔렸다. 종로구 평동 ‘경희궁자이3단지’(19억9500만원)도 20억 돌파가 목전이다.
용산구 이촌동 ‘강촌아파트’(22억원), 보광동 ‘신동아파밀리에아파트’(22억원), 성동구 성수동2가 ‘청구강변아파트’(21억5000만원), 행당동 ‘서울숲리버뷰자이’(21억원) 등에서도 84㎡가 20억원을 넘어선 사례가 나왔다. 용산구 신계동 ‘용산e편한세상’(19억5000만원), 마포구 용강동 ‘e편한세상마포리버파크’(19억2000만원), 성동구 하왕십리동 ‘센트라스아파트’(19억2000만원) 등도 84㎡ 기준 20억원대를 넘보고 있다.
대규모 마이스(MICE) 복합단지인 ‘르웨스트(LE WEST)’가 착공되면서 서울 강서구 마곡지구 엠밸리 7단지 전용 84㎡의 호가는 20억을 넘어서고 있다. 한편, "신고가보단 높게, 호가보단 낮게"…서울 강서구 방화동 방화삼환4단지 전용면적 135㎡형은 감정가 7억5900만원보다 4억원가량 비싼 11억4790만원에 낙찰됐다. 인천 연수구 동춘동 한양2차 전용면적 85㎡형은 지난달 11일 5억690만원(낙찰가율 150%)에 낙찰됐다.
2021. 08. 10. 부동산 단신.
경기도 광명시…정비사업 순항에 입주권 가격 1억 이상 올라
광명시에서 추진 중인 재개발과 재건축 사업은 각각 11곳 2만5000여 가구, 4곳 7400여 가구다. 앞서 광명 아크포레 자이위브(16R구역, 2104가구)와 광명 푸르지오 포레나(14R구역, 1187가구), 광명 푸르지오 센트베르(15R구역, 1335가구)가 분양을 마쳤으며, 지난 6월에는 9R구역이 관리처분 인가를 받았다. 11R구역과 12R구역도 관리처분 인가를 앞둔 상황이다. 광명2R구역 베르몬트로광명(전용 36~102㎡ 총 3344가구 중 726가구 일반 부양)과 광명5R구역(전용 34~99㎡ 총 3091가구, 일반분양분 미정)에서 각각 8월과 9월에 공급된다.
광명동 '광명 푸르지오 포레나(작년 6월 분양)' 전용 74㎡ 입주권은 올해 5월 약 8개월 만에 1억4000만원 이상 오른 9억6990만원에 거래됐다. 작년 11월 입주를 시작한 '광명 아크포레 자이위브' 전용 84㎡는 올해 5월 1년 만에 약 2억6000만원 오른 10억9000만원에 손바뀜됐고 광명시 '철산 센트럴 푸르지오'(올해 3월 입주) 전용 59㎡도 지난해 8월 9억원(입주권)에서 올해 6월 11억3700만원으로 올랐다.
한편, 전용면적 10평 원룸 실거래가 10억 넘겼다… 서울 송파구 신천동에 위치한 파크리오며 2008년 입주한 6864세대 중 전용면적 35.24㎡는 지난 6월 10억 3500만 원에 거래됐다. 평당 가격은 6600만원이다. 지하철 7호선 반포역을 사이에 두고 반포자이 아파트와 마주보고 있고 지난해 이낙연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매도한, 서초구 잠원동 동아아파트가 리모델링 조합설립 인가를 받았다. 또, 국토부는 고가주택 기준을 15억원 혹은 12억원으로 상향하면서 보수요율도 현행 '0.9% 이내 협의' 보다 낮추는 방안을 업계와 논의 중이다.
"분당 전셋값 2억 떨어졌다"…소문듣고 갔다가 '낭패'
'입주장(場)' 효과로 급락했던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전셋값이 반등을 시도하고 있다. 대장지구에 아파트가 공급되면서 지난달 급매물로 나왔던 7억~8억원 초반대와 달리 분당구 판교동 '판교원마을9단지' 전용 84㎡ 전세 호가는 9억원까지 형성됐다. 인근에 있는 '모아미래도7단지' 전용 80㎡ 전세 호가는 8억원에 형성됐다. 삼평동 봇들마을 8단지 전용 84㎡ 전세 호가 역시 지난달 거래됐던 7억5600만원보다 3억원이나 오른 10억원이다.
지난 5월부터 대장동에 △힐스테이트 판교 엘포레(372가구) △판교 퍼스트힐 푸르지오(974가구) △더샵 판교포레스트(990가구)가 공급됐고 6월엔 백현동에 더샵 판교퍼스트파크(1100가구)가 지난달엔 대장동에 힐스테이트 판교 엘포레(464가구)가 추가로 입주를 시작했다.오는 10월에는 정자동에 더샵 분당파크리버가 506가구, 11월에는 대장지구 제일풍경채(1033가구), 내년 3월엔 분당 지웰 푸르지오(166가구) 등이 입주를 시작할 예정이다.
서울 강남구 일원동 ‘디에이치자이개포’ 전세 물량 600여가구…
대단지인 ‘디에이치자이개포’ 전세 가격이 출렁일 경우, 최근 입주한 방배그랑자이 처럼 근처 신축 아파트 ‘래미안개포루체하임’ 등 개포동 일대 신축 아파트 단지의 전세 가격 안정도 이끌어낼 수 있다. 한편, 실거주 없애자 대치 은마 전세 3.6배 늘었다. 사전청약 흥행도 집값잡기 '무용지물'... 인천계양 전용 84㎡는 20가구 모집에 4796명이 몰렸으며, 남양주진접2 같은 평형대는 36가구 모집에 2279명이 대거 접수해 63.3대 1의 경쟁률을 나타냈다.
중계동 청구3차 매물 ‘0건’… 주요 학군지마다 ‘전세 가뭄’... 노원구 중계동 ‘청구3차’(780세대) 아파트의 전세 매물은 9일 기준 0건이다. 인근의 ‘삼성’(478세대)은 1건, ‘건영3차’(948세대)와 ‘주공8차’(696세대) 매물은 각 4건에 불과하다. 목동의 상황도 비슷하다. 1000세대가 넘는 대단지인 ‘롯데캐슬위너’(1067세대)의 전세 매물은 1건에 그쳤다. 인근 개포동에 2000세대가 넘는 아파트가 지난달 입주를 시작했지만, 대치동 일대의 전세 찾기는 여전히 어렵다. 대치동 ‘SK뷰’(234세대, 전세 매물 5건)와 ‘우성1차’(476세대,〃10건) 전용 84㎡ 시세는 각각 22억 원, 11억 원까지 치솟았다.
몸살 앓는 '하이엔드 브랜드'
애초 하이엔드 브랜드는 대형건설사들이 강남이나 한강변에 희소한 아파트를 공급하기 위해 적용됐다. 이달 시공사 선정을 앞둔 서대문구 북가좌6구역에선 롯데건설이 강남권에만 적용하던 '르엘' 브랜드를 강북에서 최초로 제시했다. DL이앤씨도 기존에 제안했던 '드레브 372'에 '아크로'를 추가한 '아크로 드레브 372'를 한강변인 성수동 '성수 아크로 서울포레스트'에 이어 두 번째로 제안했다. 강남권 유일한 뉴타운인 송파구 거여·마천뉴타운 내 마천4구역에서도 최근 단독 입찰한 현대건설이 하이엔드 브랜드인 '디에이치'를 들고 나왔다.
DL이앤씨는 부산 해운대구 우동1구역(삼호가든) 재건축 정비사업에 비수도권 최초로 '아크로' 브랜드(아크로 원하이드)를 제시했다. 롯데건설은 서울 용산구 이촌동 현대맨숀 리모델링에 '르엘'을 적용하기로 했다. 현대건설도 이촌동 한가람아파트 리모델링에 '디에이치'를 제안했다. 대우건설은 인근 대연비치 재건축에 이어 최근 부산 남구 용호동 LG메트로시티 리모델링 사업에 하이엔드 브랜드 '푸르지오 써밋'을 제시했다.
서울 성북구 신월곡1구역에선 조합원들이 시공사인 롯데건설‧한화건설에 '갤러리아 포레'라는 브랜드를 요청하고 있다. 서울 동작구 노량진4구역 조합은 현대건설에 '디에이치'를, 노량진8구역 조합은 DL이앤씨에 '아크로' 적용을 요구하고 있다. 서울 중구 신당8구역은 DL이앤씨에 e편한세상 대신 '아크로' 적용을 요구했으나 불발됐고 결국 계약해지 수순을 밟았다. 동문건설은 최근 고급 아파트 브랜드 '동문 디 이스트'를 출시했다.
7.10대책 후 매도자·매수자 ‘잠시 숨고르기’ 국면
동대문구는 전농동 래미안아름숲, 장안동 동대문더퍼스트데시앙, 이문동 쌍용 등이 500만~1000만원 상승했다. 강북은 수유동 현대, 미아동 래미안트리베라1단지가 500만~1500만원 올랐다. 성북은 길음동 길음뉴타운4·7단지가 1000만원 상승했다.
도봉은 도봉동 동아에코빌, 창동 상계주공18단지, 쌍문동 한양5차 등이 500만~1000만원 상승했다. 성북은 종암동 래미안라센트, 길음동 길음뉴타운9단지, 돈암동 동부센트레빌 등이 750만~1000만원 올랐다. 노원은 중계동 경남아너스빌이 1000만원, 중계동 중앙하이츠가 700만~1500만원, 월계동 현대는 1000만원 상승했다.
구로는 신도림동 대림1차가 500만~1500만원, 오류동 천왕이펜하우스1단지가 1000만~1500만원, 고척동 한일유앤아이가 1000만원 올랐다.
분당은 구미동 무지개1단지대림, 분당동 장안타운건영2차, 정자동 정든우성6단지 등이 500만~1000만원 상승했다. 광교는 상현동 광교상록자이, 이의동 광교자연앤힐스테이트 등이 250만~1000만원 올랐다. 평촌은 관양동 한가람신라, 평촌동 꿈현대, 호계동 목련경남8단지가 500만원 상승했다.
분당은 구미동 하얀주공5단지, 서현동 시범한양, 야탑동 매화마을건영1차 등이 500만원 상승했다. 일산은 주엽동 문촌2단지라이프, 강선15단지보성 등이 500만~750만원 올랐다. 평촌은 호계동 무궁화코오롱, 관양동 한가람세경이 250만~500만원 상승했다
용인은 풍덕천동 e편한세상수지, 언남동 스파팰리스리가, 죽전동 도담마을7단지뜨리에체, 중동 성산마을서해그랑블이 500만~1500만원 올랐다. 하남은 신장동 하남유니온시티에일린의뜰, 창우동 부영이 1000만원 상승했다. 광명은 하안동 e편한세상센트레빌, 철산동 철산래미안자이, 소하동 우림필유 등이 500만~1500만원 올랐다. 부천은 소사본동 한신과 괴안동 삼익세라믹이 500만~1000만원 상승했다.
안양은 안양동 래미안안양메가트리아와 삼성래미안이 500만~1000만원 올랐다. 광명은 소하동 휴먼시아5단지가 500만원 상승했다.
7·10 이후에도 15억원 이상 초고가 둘 중 하나 ‘신고가‘
7·10 대책 이후인 11일부터 현재까지 매매 계약서를 쓴 15억원 이상 서울 아파트는 36건으로 집계됐다.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가 19건, 마용성(마포·용산·성동) 등 타구가 17건이다.
36건 가운데 16건은 신고가에 거래됐다. 가장 상승폭이 큰 아파트는 강남구 도곡동 타워팰리스2로 144.6㎡(이하 전용면적)이 19일 30억4000만원에 거래되며 이전 신고가보다 5억2000만원이나 몸값을 높였다. 압구정의 재건축 아파트인 신현대 12차도 17일 170.4㎡가 42억원에 거래되면서 직전 신고가와 같은 값에 팔렸다.
서초구에선 래미안방배에버뉴 181.5㎡가 19억5000만원에 팔리며 이전 신고가 보다 2억원 가량 높이 팔렸고, 잠원동 한신그린 84㎡도 18일 18억원에 손바뀜됐다.
송파구 신천동의 재건축 아파트인 진주아파트 148㎡도 20일 27억3000만원에 팔렸는데 이 역시 지금껏 거래된 값 중 가장 높다.
보유세 부담이 높아진 때문인지 몸값을 낮춰 시장에 내놓는 매물도 꾸준하다. 성동구 옥수동 옥수하이츠 114㎡는 16일 16억4000만원에 팔렸는데 이는 지난해 말 최고 거래가 대비 3억8800만원이 낮다. 이 아파트는 올 들어 꾸준히 고점 대비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용산구 이촌동의 동부센트레빌 100.8㎡도 16억7000만원에 팔렸는데 고점 대비 1억원 가량 낮은 값이다. 래미안 첼리투스 124.4㎡ 역시 몸값을 최고가 대비 3억8000만원 낮추며 32억원에 팔렸다.
마포구에서도 메세나 폴리스 142㎡가 15억4000만원에 팔리며 신고가 대비 2억원이 할인됐다.
실제 호재가 있는 곳은 여전히 상승세를 기록하고 있다. 재건축에 기대감이 붙은 목동 아파트 5단지 115.5㎡는 23억6000만원에 거래되며 최고가보다 1억6000만원 몸값을 높였다. 호가는 24억원 아래로 불리는 매물이 없다.
"전국적으로 떨어진다더니"… 대책과 거꾸로 가는 집값
실거래가를 살펴봐도 일부 단지들은 반년 만에 수 억원 가량 상승했다. 송파구 잠실동 잠실엘스 전용 59㎡평형은 지난해 말 최고 17억5000만원 선에 거래됐었지만, 올해 6월에는 최고 18억8000만원에 거래되며 8개월 사이 실거래만 1억3000만원 가량 뛰었다.
서울 송파구 잠실동의 잠실주공5단지 아파트의 전용면적 75㎡짜리 호가는 24억원까지 치솟아있다. 영등포구 여의도의 시범아파트도 집값 우상향 추세가 뚜렷하다. 전용 79㎡가 6월 초 14억원에서 같은 달 말 15억8000만원까지 뛰었다. 현재 시장에 나온 매물은 16억3000만원을 호가한다. 여의도 광장, 삼부 등도 유사한 흐름이다.
올해 초 12·16 부동산 대책의 풍선효과로 집값이 상승했던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조원동의 수원한일타운 84㎡평형은 지난해 12월 최고 3억9000만원에 거래됐었지만, 올해 7월에는 4억6000만원에 거래되며 실거래가가 7000만원 가량 올랐다. 한 달에 약 1000만원 꼴로 오른 셈이다. 전셋값도 2억9500만원에서 3억1000만원으로 소폭 상승했다.
[출처] 관리 흔적 남기기 16.|작성자 beb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