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4월 14일 “오늘의 말씀 묵상 편지
“너희가 먹을 수 있는 짐승은 이러하니라.”
“주께서 모세와 아론에게 말하여 그들에게 이르시기를 "이스라엘 자손에게 고하여 말하라. 땅 위에 있는 모든 짐승 중에서 너희가 먹을 수 있는 짐승은 이러하니라. 짐승 중에서 굽이 갈라져 쪽발이며 되새김질하는 것은 무엇이든지 너희가 먹되 되새김질하는 것이나 굽이 갈라진 짐승 중에서도 너희가 먹지 말 것은 이러하니라. 낙타는 되새김질은 하되 굽이 갈라지지 아니하였으므로 너희에게 부정하고 토끼도 되새김질은 하되 굽이 갈라지지 아니하였으므로 너희에게 부정하며 산토끼도 되새김질은 하되 굽이 갈라지지 아니하였으므로 너희에게 부정하고 돼지는 굽이 갈라져 쪽발이나 되새김질을 못하므로 너희에게 부정하니 너희는 이러한 고기를 먹지 말고 그 사체를 만지지 말지니라. 그것들은 너희에게 부정하니라.(레위기 11:1-8)
(Now the LORD spoke to Moses and Aaron, saying to them, "Speak to the children of Israel, saying, 'These are the animals which you may eat among all the animals that are on the earth : 'Among the animals, whatever divides the hoof, having cloven hooves and chewing the cud--that you may eat. 'Nevertheless these you shall not eat among those that chew the cud or those that have cloven hooves: the camel, because it chews the cud but does not have cloven hooves, is unclean to you ; 'the rock hyrax, because it chews the cud but does not have cloven hooves, is unclean to you ; 'the hare, because it chews the cud but does not have cloven hooves, is unclean to you ; 'and the swine, though it divides the hoof, having cloven hooves, yet does not chew the cud, is unclean to you. 'Their flesh you shall not eat, and their carcasses you shall not touch. They are unclean to you.)
임마누엘!!
하나님은 우리가 무엇을 먹느냐?에 따라 정한 사람이냐? 부정한 사람인지를 판단하심을 오늘 주신 본문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의 히브리어 'akal(아칼)'. ‘먹다(eat)’,‘소비하다’, ‘소모하다(consume)’, ‘삼켜버리다’, ‘먹어치우다(devour), ’다 태워버리다(burn up)‘, ’먹을 것을 주다(feed) 등으로 번역하는데 한 가지 두드러진 예외는 시편 27:2입니다. 여기에서 즉 '나를 비방하다(slander me)‘라는 의미의 '나의 한 조각을 먹다(eat a piece of me)’에 일치시켜서, '내 살을 먹다(eat my flesh)‘ 대신에 '비방하다(slander)’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성경에서 이 단어는 약 800회 이상 나오며, 단순능동형(칼), 단순수동형(니팔), 강조수동형(푸알),사역능동형(히필형)
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 ‘먹다‘에 대하여 좀더 깊이 통찰하여 봅시다.
1) 어근 아칼은 본질적으로 '사람이나 동물에 의한 음식물의 소비'를 가리킵니다. 창 3:6에는 하와가 선악을 알게 하는 나무의 실과를 따서 그것을 '먹었다'고 언급되어 있습니다.
먹는 기능은 삶의 기본적인 기능들 중의 하나로서 보고 듣고 냄새 맡는 기능과 함께 표현되어 있습니다(신 4:28). 삶의 다른 모든 활동과 마찬가지로 '먹는 것'도 하나님의 통제하심 아래 놓여있습니다. 하나님께서는 먹어도 되는 것과 먹어서는 안되는 것을 규정하십니다(창 1:19). 노아의 홍수 이후에 사람들에게 고기를 '먹는 것'이 허용되었습니다(창 9:3). 그러나 모세의 언약에서 하나님께서는 다른 것들을 허용하신 반면에 특정 식물들은 먹어서는 안된다고 규정하셨습니다(레 11장,
신 14장).
이 구별은 노아의 홍수 이전에 이미 언급되고 있으므로 분명히 새로운 것이 아닙니다(창 7:2, 참조: 창 6:19). 언급에 어떤 제한이 포함되어 있다는 사실을 볼 때, 우리는 위의 두 구절을 비교함으로써 성경이 얼마나 일반적인 용어로 말하고 있는가를 입증해 볼 수 있을 것입니다. 노아는 모든 종류의 짐승 한쌍씩을 방주 속으로 데리고 들어가라는 명령을 받았습니다(창 6:19). 한편 성경은 이 명령이 모든 부정한 짐승은 한 쌍씩, 모든 정한 짐승은 일곱 쌍씩 데리고 들어가라는 것이었음을 말해주고 있습니다(창 7:2). 따라서 창 9:3은 사람이 정한 짐승들만을 먹을 수 있었음을 나타냅니다.
하나님께서는 이방신들(신 32:37-38)과는 달리 음식을 '먹지' 않으십니다(시 50:13). 하나님께서는 '소멸하는' 불로서 자신의 존귀와 영광을 보호하고 계십니다. 그는 악과 죄인들을 '삼키십니다'. 그는 또한 사악한 자들을 사자처럼 '삼키실' 것입니다(호 13:8). 하나님께서 문자 그대로 음식을 먹는다고 언급된 단 한번의 경우가 있습니다.-곧 하나님께서 세 사람의 '나그네'의 모습입니다.
신자는 하나님께 헌신하여 특정한 음식들을 먹기도 하고(대하 30:18, 출 23:15) 거부하기도 하였습니다(단 1:12, 단 10:3). 이와 마찬가지로 죄인들은 이방신 앞에서 먹었습니다(시 106:28, 겔 18:11). 불신자는 참 하나님께 예배드리는 곳에서 먹는 것이 금지되었습니다(출 12:48).
하나님께서는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내려 주신 만나(출 16:32)와 여호와 안에서 즐거워하는 자들에게 주시는 모든 종류의 식물과(사 58:14) 심지어 가장 좋은 식물(시 81:16)에 이르기까지 많은 먹을 수 있는 선한 것들을 제공하십니다. 하나님께서는 그의 '말씀'을 사람의 입에 넣으십니다. 그것을 '먹음'으로써 말씀이 사람의 바로 그 존재 안으로 받아들여집니다(겔 3:2).
2) 아칼은 어떤 사물, 또는 사람을 파멸시킨다는 의미를 함축하는 비유적으로 '삼킨다'는 의미가 있습니다. 그리하여 이 단어는 당연하든, 그렇지 않든, 고난의 문맥에 자주 나옵니다. 가뭄, 불, 전쟁, 그리고 다른 질병들은 죄인 뿐만 아니라 죄없는 사람도 삼켜 버립니다(창 31:40, 민 21:28, 렘 2:30, 욜 1:4, 삼하 18:8).
이스라엘의 죄인들뿐만 아니라 탐욕스러운 압제자들, 이방 민족들도 죄없는 사람들을 삼켜버립니다(시 14:4, 시 79:7). 때로 벌레나 짐승이 삼켜버리는 자로 나옵니다(왕상 21:23, 사 51:8). 고난도 실제적으로나 상징적으로, 불유쾌한 것을 먹도록 강요되는 것과 관련됩니다(사 36:12, 창 3:14, 호 10:13, 시 127:2). 이것은 결국 겔 18:2에 표현된 인과 관계가 됩니다.
또한 삼키는 것들에는 토지(사1:7), 신부를 판 값(창 31:15)과 같은 다양한 것들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아칼은 또한 행동의 결과들을 취하는 것을 나타내기도 합니다(사 3:10).
3) 이 단어는 '먹는 것' 뿐만 아니라 '방과 식사의 제공'이라는 완전한 개념(삼하 9:11, 삼하 9:13), '연락하는' 특별한 행위(전 10:10) 혹은 '생계비를 버는' 전반적인 활동(암 7:12, 참조: 암 3:19)도 가리킵니다.
하나님은 우리에게 계속해서 말씀하십니다.
네가 무엇을 먹고 있느냐?고 물으십니다. 정결한 곧 몸에 이로운 것, 생명을 이롭게 하는 모든 것들을 먹고 있느냐? 아니면 병을 가져오는 것들로 하나님의 성전인 몸을 파괴하는 것들을 먹고 있지는 않느냐? 물으십니다.
건강한 것들, 거룩한 것들만 먹는 지혜로운 하나님의 자녀들이 되시기를 축복합니다.
감사합니다.
서울에서
이 우복 목사 드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