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마천의 계명우기 세상에는 여러 부류의 친구가 있다
음성 듣기
텍스트 보기
사마천의 계명우기(鷄鳴偶記)
세상에는 여러 부류의 친구가 있다. 가까운 친구와 먼 친구도 있다. 마음이 좋은 친구와 그렇지 못한 친구도 있다.
도움을 주는 친구도 있는가 하면 오히려 어렵게 하는 친구도 있다. 친구의 종류는 참으로 다양하다.
사마천의 계명우기에는
네 종류의 친구가 나온다.
적우(賊友), 일우(昵友), 밀우(密友), 외우(畏友) 등이 그것이다.
적우(賊友)는 도적같은 친구다.
자기 이익을 위해 친구를 사귀는 사람이다. 상대가 더 이상 자신의 이익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관계를 멀리하는 사람을 일컫는다.
일우(昵友)는 즐거운 일, 어울려 노는 일을 함께 하는 친구다.
즐기는 일이 우선이라 여유가 없어지면 관계가 소원해지는 사람이다. 적우나 일우는 친구의 어려움을 떠안을 마음이 없다. 나쁜 일이 생기면 상대를 탓하기 십상인 친구다.
밀우(密友)는 친밀한 마음을 나누는 친구다.
비밀 이야기를 할 수 있고 감추고, 숨기고 싶은 어려움을 터놓을 수 있는 사이다. 친구의 어려움을 자신의 것처럼 여기는 친구다.
외우(畏友)는 서로 경외하는 친구다.
존경하면서 장점을 배우고, 허물을 말해주면서 도와 덕을 함께 닦을 수 있는 친구를 말함이다.
불교의 패경초라는 경전도 친구를 네 가지 부류로 분류하고 있다.
화우(華友),
칭우(稱友),
산우(山友),
지우(地友) 등이다.
화우는 꽃과 같은 친구다.
꽃이 예쁠때는 그 아름다움에 찬사를 아끼지 않다가, 꽃이 지고 나면 돌아보는 이가 하나도 없듯이, 자기가 좋을 때만 찾는 친구가 바로 화우다.
☆ 칭우는 저울처럼 움직이는 친구다.
저울은 무게에 따라 이쪽 저쪽으로 왔다갔다 기운다. 이같이 자신의 이익 유무에 따라, 이익이 큰 쪽으로 움직이는 친구가 바로 저울 같은 친구다.
산우는 산과 같은 친구다.
산이란 온갖 새와 짐승의 안식처다. 멀리 보거나 가까이 가거나 늘 그 자리에서 반겨준다. 그처럼 생각만 해도 편안하고 마음이 든든한 친구가 산과 같은 친구다. 포용력을 갖고 안식처와 다름없는 친구가 산우인 셈이다.
☆ 지우는 땅과 같은 친구다.
땅은 뭇 생명의 싹을 틔운다. 곡식도 길러준다.
그 누구에게나 조건없이 기쁜 마음으로 은혜를 마음껏 베풀어 준다. 이처럼 한결같은 마음으로 변함없이 지지해주는 친구가 땅과 같은 친구다. 무조건 변함없이 한결같은 마음을 주고받는 친구가 지우인 것이다.
(옮긴 글)
" 鐘大"
나는 무엇을 남기며 살아갈까
역사상 가장 지혜로운 사람이 남긴 명언은 무엇일까?
수많은 영웅호걸들이 살다 갔지만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고대 이스라엘 솔로몬왕처럼 한세상 원없이 누리면서 지혜로운 통치를 했었던 위인이 또 있었을까?
솔로몬이 인생에서 좋다는 것을 다 누려본 뒤 인생 말년에 코헬렛(전도서)에 남긴 메시지는?
오늘날 모든 사람들이 공감하며 교훈으로 삼는 코헬렛은 크게 세가지로 압축 할 수 있습니다.
첫번째.
인간은 언젠가 죽는다는 것을 기억 하라는 것입니다.
솔로몬왕이 헛되다고 하는 가장 큰 이유는?
모든 사람이 언젠가는 죽기 때문입니다.
지혜로운 사람도 어리석은 사람도 부자도 가난한 사람도 모두가 다 죽는다는 것을 알고 있었습니다.
많은 재물과 권세를 가졌더라도 죽으면 다 소용이 없습니다.
어느날 때가 되어 갈 때에는 모든 것을 두고 가야 합니다. 마지막 입고갈 수의에는 주머니가 없습니다.
일평생 고생해서 쌓아 놓은 부와 권세가 그것을 얻기 위해 전혀 수고하지도 않은 다른 사람들에게 넘어갈 뿐인데...
오늘도 더 가지려고 치열한 전쟁을 치르고 있습니다.
언젠가는 죽는다는 사실을 늘 기억하며 살라는 것입니다.
두번째는.
늘 겸허하라는 것입니다.
솔로몬 대왕이 헛되다고 하는 또 다른 이유는?
사람이 능력이 있어 노력한다고 해도 노력의 댓가를 다 보상 받지 못하고 아무리 선하다고 해서 다 좋은 결과를 얻는 것은 아니기 때문입니다.
똑똑하다고 해서 돈을 많이 버는 것도 아니며 지혜롭다고 해서 권력을 얻는 것도 아니며 아무리 잘 나가는 인생이라도 재앙의 날이 어느날 홀연히 임하면 한 순간에 나락으로 떨어진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또 착한 사람이라고 다 복 받는 것도 아니고...
오히려 적당히 반칙을 하면서 융통성 있게 사는 사람이 죽을 때까지 잘 먹고 잘 살고 있습니다.
세상이 이처럼
불합리한 이유를 다 이해할 수 없습니다.
그러니 자기 인생조차 자기 마음대로 할 수 없고 아무리 노력해도 알 수 없는 것이 있다는 사실을 인정하고 "겸허" 하라고 했습니다.
세번째는.
현재를 누리라는 것입니다.
솔로몬 대왕은 자신이 언제 어떻게 될지 조차 알 수 없고 확실한 것은 언젠가 죽는다는 것 밖에 없으니 살아 있는 동안 기뻐하고 감사하라고 했습니다.
자신에게 주어진 환경에서 수고해 일하는 것으로 만족하고 노동의 대가로 얻은 소득으로 먹고 마시는 일상을 살아가는 것이 인생의 가장 큰 기쁨 이라는 것을 말하고 있습니다.
자기에게 허락된 경계 너머로 나가려고 너무 욕심 내지도 말고...
세상이 불공정하다며 너무 불평하며 이유를 따지지도 말고 그저 주어진 하루하루를 충실히 기쁨으로 살라는 것입니다.
[ 상 림 ]
******************
진리(眞理)
달걀이 상(床)에 자주 오르지 못할 정도로 귀한 시절(時節) 이었습니다.
어느 마님은 생란을 밥에 비벼먹는 것을 좋아 했습니다.
어느 날 몸종이 밥상을 들고 오다 그만 달걀이 마루에 떨어져 깨져 버렸습니다.
그 광경(光景)을 문틈으로 본 마님은 달걀을 어찌 하는지 몰래 지켜보았는데,
몸종은 마룻바닥에 깨진 달걀을 접시에 담아 상을 내왔습니다.
괘씸한 생각에 마님은 몸종에게 물었습니다.
''깨끗하다는 것이 무얼 말하는 것이냐?"
먼지나 잡티가 없는 것이라고 말하면 혼내줄 생각이었습니다.
그러나 몸종은 이렇게 대답(對答) 했습니다.
''안보이면 깨끗한 것입니다."
마님은 그 말에 크게 공감(共感)하며 "네 말이 옳다." 하고는 용서(容恕)했습니다.
때로는 모르면 행복한 일이 많이 있습니다.
과거(過去)를 캐내는 것은 참으로 어리석은 짓입니다.
우리는 호기심(好奇心)에 알려고 하고, 알고 난 뒤에는 대부분 후회(後悔)하게 됩니다.
사람은 완전무결(完全無缺)할 수가 없기 때문 입니다.
'아는 것이 병이다’ 라는 말은
차라리 몰랐으면 좋았을 상황(狀況)을 가리키는 말로,
人生의 많은 상황이 그렇습니다.
‘모르는 게 약이다’ 라는 말은 어설픈 지식 습득의 위험성(危險性)을 경고(警告)하는 메시지를 담고 있습니다.
즉 어설프게 알 바에야 차라리 모르는
것이 더 나은 것으로,
‘책을 읽지 말라’ 는 성철 스님의 말씀은 독서의 무용성을 주장한 것이 아니라 어설픈 독서의 위험을 경고한 것입니다.
마찬가지로 ‘돈은 만악의 근원이다’ 에서 악의 근원은 돈 그 자체가 아니라
돈에 대한 집착에서 횡행하는 온갖 나쁜 짓에서 비롯되는 것입니다.
나중에 후회 할 일이 분명하다면
우리는 굳이 알려고 할 필요(必要)가
없습니다.
안 보이거나 모르면 깨끗한 것이 됩니다.
삼국지에 식자우환(識字憂患)이라는
말이 나옵니다.
너무 많이 알기 때문에 쓸데없는 걱정거리가 생긴다는 뜻이며,
소동파의 시에도 ‘人生은 글자를 알 때부터 우환(憂患)이 시작(始作)된다!는
말도 있습니다.
이것은 만고불변(萬古不變)의
진리(眞理)입니다.
지혜의 샘물中.. 에서
자연을 벗 삼아 살아야 하는 이유--
※조선시대, 정철, 박인로와 더불어 삼대 시인중의 한사람이었던 고산 윤선도(孤山 尹善道)의 오우가(五友歌)라는 시가 있습니다.
물, 돌, 소나무, 대나무, 달을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윤선도는 이 다섯을 가르켜 진정한 친구라고 말하면서, 자연을 예찬하고 있습니다.
자연을 친구처럼 가까이 할 때, 우리의 몸과 마음은 건강해 질 수밖에 없음을 가르쳐 줍니다.
얼마 전, 자연에 관한 책을 읽고 난 뒤 흥미로운 사실을 알게 되었습니다.
병아리가 양계장에 팔려오게 되면 그 순간부터 이 병아리들은
죽을 때까지 맨 땅을 한 번도 밟아보지 못하고, 좁쌀이나 풀 같은 자연식품도 한 번도 맛보지 못합니다.
닭들은 생존에 필요한 최소한의 밀폐된 공간에서 500 개가 넘는
알을 낳은 후, 폐계가 되어 삶을 마감합니다.
그런데 자연주의자인 그 책의 저자가, 노화되어 더이상 쓸모없는 폐계 24마리를 구입해서 야산에 풀어놓고 어떻게 변하는가를 지켜보았습니다.
그랬더니 보름이 안 돼 깃털이 살아나고 나뭇가지 위로 날아가더니 두 달 쯤 되자 닭벼슬이 빳빳이 서고 눈매가 부리부리해지면서 보기에도 위풍당당한 토종닭으로 변했습니다.
대자연의 정기를 받고 맑은 공기와 좋은 물을 마시고 풀과 야채를 먹으니까 죽어가던 기능들이 다시 회복이 돼서 혈기왕성한 젊은 닭들이 되었다는 것입니다.
TV에 가끔 등장 하는 아프리카의 마사이족들은 자연을 벗 삼아 사는 사람들입니다. 그들은 필요한 단백질의 60% 이상을 고기에서 섭취합니다. 그런데 똑같이 고기를 주식으로 삼고 있는 서구인들이 심장질환이 많은 반면에, 마사이족은 심장질환이 거의 없다는 것입니다. 그 이유는 마사이족들은 숲을 친구삼아 늘 걸어 다니고, 또 고기와 함께 각종 야생 채소들을 먹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또 그 책을 읽으면서 식물의 색깔에 대해서도 새로운 사실을 알게되었습니다.
사람이 태양빛을 너무 많이 쬐게 되면 자외선 때문에
피부암을 얻게 되는데, 식물도 역시 그렇게 망가진다고 했습니다. 그래서 자체방위수단을 마련했는데 이것이 바로 색깔이라는 설명입니다. 다른 말로 바뀌어 설명드리면 색깔은 햇빛을 차단하기 위해 쓰는 양산이라는 것입니다.
사과는 빨간색 양산을 쓰고 가지는 보라빛 양산을 걸칩니다.
귤은 노란색으로 태양의 자외선을 차단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나뭇잎들이 푸른색인 것도 식물의 세포가 살아남으려고 만들어낸 화학물질의 작용때문입니다.
이처럼 색깔은 자외선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할 뿐 아니라 맛과 향을 만들고 박테리아, 바이러스,곰팡이 등과 싸우는 무기 역활도 하고 있습니다.
이런 채소나 과일, 나물 야채를 사람들이 먹게되면 식물의 화학무기가 인간 세포의 산화를 막아주고 암세포들과 맞서 싸움을 합니다.
이렇듯 인간에게 닥치는 대부분의 질병과 재앙은 상당 부분은 인간이 자연을 떠나 살고 자연을 훼손하였기 때문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연은 인간을 거부하지 않고 가까이하기만 하면 언제든지 따뜻하게 품어 줍니다.
자연은 남녀노소인종, 피부색에 관계없이 또 재물과 권세에 따라 전혀 차별하지 않고 우리를 맞아줍니다.
친구를 가까이하면 닮는다는 말이 있습니다 인간이 자연을 진정한 친구로 삼는다면 이 땅위에 넘쳐나는 다툼, 시기, 질투, 반목질시 등등이 사라지고 우리 삶이 보다 여유롭고 풍성하고 행복한 삶을 맛 볼수 있을것입니다.
나를 가장 행복하게 만들어 주는 친구가 자연임을 잊지 않고 있다면 행복한 인생을 살고 있는 것입니다.
오늘도 즐겁고 행복한 하루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