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방[3917]義谷 李邦直 先生詩-扈駕西郊(호가서교)
扈駕西郊(호가서교)
임금의 수레를 호위하여 서쪽 교외로 가다.
義谷 李邦直
春風駿馬繞長城 춘풍준마요장성
水遠天長霽色明 수원천장제색명
釣得溪魚挑野菜 조득계어도야채
午陰深處等閒烹 오음심처등한팽
봄 바람에 뛰어난 말이 긴 성을 두르니
물은 멀고 하늘은 긴데 비 개이니 빛은 맑네
낚시로 시내 고기 얻고 들 채소 뽑아
낮 그늘 깊은 곳에서 마찬가지로 한가롭게 삶아 요리하네.
扈駕(호가):임금님이 탄 수레를 扈從(호종)함.
扈=뒤따를 호(다른 표현: 파랑새 호)
扈從(호종)은 임금의 행차에 뒤 따라 감.
駿=준마 준.繞=두를 요.
霽=갤 제, 비 갤 제. 霽色=하늘색. 스카이 블루.
釣=낚시조.挑=선택할도.
烹 =삶을 팽.
이방직(李邦直).고려 후기의 문신. 미상∼1384(고려 우왕 10). 본관은 청주(淸州). 자는 청경(淸卿), 호는 의곡(義谷). 이함(李珹)의 아들이다. 문과(文科)에 급제하고 벼슬이 집현전 대제학(集賢殿大提學)에 이르렀으며 낭천군(狼川君)에 봉해졌다. 1999년 12월 15일 보물 제1297호로 지정된 《김수온발선종영가집(金守溫跋禪宗永嘉集)》은, 한국에서는 나옹(懶翁) 혜근(惠勤)이 처음 입수하였고 그의 제자 훤선이 이방직(李邦直)의 도움을 받아 1381년(우왕7)에 충주(忠州) 청룡사(靑龍寺)에서 개판(開版)하였다. 이 책은 고려말·조선초의 불교사는 물론 인쇄문화사, 서지학 연구 등에 귀중한 자료로 평가된다. 참고문헌] 고려사, 고려사절요
동문선 제7권
호가서교(扈駕西郊)
이방직(李邦直)
봄찾아 말을 몰고 성을 끼어돌아가니 물은 맑고 하늘 높아 산뜻하게 개었구나 시내에 고기 낚어 안주를 마련하니 서늘한 그늘속에 술자리 난만하여라 春風駿馬繞長城 (춘풍준마요장성) 水遠天長霽色明 (수원천장제색명) 釣得溪魚挑野菜 (조득계어도야채) 午陰深處等閒烹 (오음심처등한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