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22대 전반기 국회의장 후보 선출을 위한 더불어민주당 내부 경선이 16일 추미애 당선인과 우원식 의원 간 양자 구도로 치러진다. 사진은 지난 14일 오후 국회 더불어민주당 사무실 외벽에 붙은 의장 경선 공고문. 연합뉴스
그런 점에서 최근 민주당과 조국혁신당 내부에서 나오는 “탄핵소추에 필요한 의석을 현행 200석에서 180석으로 낮추자” “대통령 4년 중임제 적용을 윤석열 현 대통령의 임기부터 적용해 2025년 12월 차기 대통령을 뽑도록 개헌하자” 등의 이야기는 도를 넘어선 느낌이다. 범야권(192석) 의석수가 개헌선(200석)에 조금 미치지 못한다고 아예 그 기준을 낮추겠다니, 그건 거대 야당의 오만이자 야욕에 다름아니다. 국민이 이번 총선에서 여당에 개헌을 저지할 수 있는 108석을 준 의미를 왜곡하는 것이다. 현 대통령에 대한 임기 단축 주장에도 위헌적 요인이 많다. 나아가 대통령의 거부권 행사 자격을 임의로 제한하겠다는 추 당선인의 주장 또한 김건희 여사 특검의 당위성 여부를 떠나 개헌을 지나치게 정략적으로 다룬다는 느낌을 준다. 개헌 논의는 어디까지나 비생산적 갈등을 줄이고 바람직한 대한민국의 미래를 설계하는, 크고 긴 구도 속에서 진행해야 한다. 차기 대선의 유불리를 따지는 식의 정략적 접근으론 결코 국민적 공감을 얻기 힘들다.
mis0**** 1시간 전
개헌의 시작은 뱃지들의 특권을 모두 없애고 규제.감시하는 법부터 만들어야 개헌이라 하겠습니다. 범죄전과자가 셋 중 하나인 뱃지들이 법을 멋대로 망쳐놓도록 놔둬서는 안됩니다. 만드는 족족 개떡법이고 그나마도 지들이 농단질하며 뭉개는데 개헌이 과연 제대로 이뤄지겠습니까. 후진국.
좋아요1화나요1
댓글 옵션 버튼 펼치기/닫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