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계 UHD방송 표준은 대다수 일본이 제안한 것을 표준으로 하고 있다. 또한 전 세계 UHD방송용 카메라, 방송장비등도 대다수가 일본 장비들이다. 그래서 아직은 UHD방송에 있어서, 일본의 영향력은 절대적이다. 특히 일본은 2016년부터 일반 시청자도 시청이 가능한 8K UHD시험방송을 실시한다는 계획인데, 8K UHD에서 일본은 더욱 독보적이다.
그래서 일본의 UHD방송 수준은 상당한 수준일 것으로 보았는데, 이번에 일본 내수용 4K 세톱박스를 들여와 시청해본 바로는, 일본 4K UHD방송 수준은 한국과 대등한 수준내지는 일부는 한국이 더 나아 보여, 의아스럽기까지 하였다.
일본은 UHD방송 관련 기술은 세계 최고이지만, UHDTV판매에 있어서는 한국은 물론, 중국 업체들에게까지 밀리고 있는 실정인데, 이번 UHD방송 수준도 생각보다 발전적이지 못해, 국내 UHD방송의 발전 가능성을 느낄 수 있었다. 먼저 한국과 일본의 UHD방송 수준을 비교해 보자.
최근 국내 UHD방송 시장은, 지상파와 유료방송사간 감정싸움으로 번져있고, 국내 UHD방송이 유료방송사 중심으로 가면서, 자본력이 부족한 유료방송사들이, UHD콘텐츠 제작에 뒤처지는 것은 아닌가 싶었다. 허나 생각보다 국내 UHD콘텐츠 제작 상황이 그리 뒤쳐졌다고 볼 수는 없었다.
다만, 일본이 다소 많은 UHD콘텐츠(총 40시간 무한 반복)로 UHD방송을 하고 있어, 국내 케이블 UHD방송이 다소 부족해 보이긴 하지만, 실상 일본이 총 40시간의 UHD콘텐츠를 가지고 있다고는 하지지만, 상당수가 이번 브라질 월드컵과 2013년에 샘플로 제작한 스포츠 중계가 많아, 그것을 빼면, 우리의 UHD콘텐츠 보유 수준과 비슷하다는 것이다.
그리고 무엇보다, UHD콘텐츠의 질이 한국이 더 낫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콘텐츠 내용이나, 질적 수준에서, 한국의 UMAX가 제작한 것이 더 나았고, 화질도 주관적이긴 하지만, 국내 UMAX가 제작한 것이 더 디테일 하고 색감도 좋아 보였다.
물론 이 부분이, 샤프 TU-UD1000 4K 세톱박스로 수신하여, 국내 삼성-LG UHDTV로 시청을 하여, 국내 UHD방송(UMAX)의 화질이 좋게 보일 수도 있었을 것이고, 또한 샤프 4K UHD세톱박스와 삼성-LG의 UHDTV의 HDMI 입출력이 4K@60fps/8bit/4:2:0 밖에 안 되어, UHDTV로 직접 수신(4K@60fps/10bit/4:2:0)하는 UMAX 화질보다 떨어져 나올 수도 있었을 것이고, 일본 UHD방송 화질이, 일본 내수용 UHDTV에 최적화 되어 있어서, 삼성-LG UHDTV에서 다소 안 좋게 보였을 수도 있었을 것이다.
하지만, 소스가 같은 브라질 월드컵 중계화면을 보면, 한국의 지상파 UHD방송 화질이 일본 UHD방송 화질보다 다소 나아 보였다. 물론 이 부분이, 국내 지상파 UHD실험방송을 기준으로 하였기 때문에, 다소 수평적이지 못한 부분도 있겠지만, 분명한 것은 좋은 장면 등에서 느끼는 UHD의 생동감은 국내 UHD방송(UMAX)이 다소 나아보였다. 이는 카페 우수회원 몇 분과 함께 평가를 해본 결과이기에, 화질이 주관적이긴 해도, 그리 편향적인 평가는 아니라고 본다.
어찌되었든, 우리나라는 일본 보다 행복한 입장인 것 같다. 적어도 우리는 일본 UHD방송 수신기(세톱박스)를 구입하면, 다소 돈이 들어가긴 해도, 일본 4K UHD방송을 전국 어디서나 시청할 수 있기 때문에, 일본 UHD방송을 보면서, 우리가 나가야할 UHD방송에 대한 길을 찾을 수 있지 않을까 한다.
이상은 한국 Vs 일본 4K UHD방송에 대한 비교를 나름의 주관적 관점에서정리를 하여 보았다. 화질에 대한 평가 부분이 다소 조심스럽긴 하지만, 적어도 한국이 일본에 비해서, 아직은 UHD방송 실시와 UHD콘텐츠에 있어서는, 결코 뒤쳐진다고 볼 수는 없다고 본다. 그러므로 나름 우리도, 일본 못지않게 UHD방송에 있어서는 수평적으로 가고 있지 않나 싶다.
이제 남은 것은 우리가 빨리 위성(KT스카이라이프) UHD방송을 개국하여, 전국적으로 국내 UHD방송을 더 많은 분들이 시청을 하였으면 한다. 그리고 지상파 UHD방송 표준도 가능한 빨리 제정하여, 2015년부터는 본격적인 UHD방송 시대를 맞이 하였으면 한다.
그러려면, 지금처럼 방통위-미래부간 힘겨루기와 지상파-유료방송사간 다툼은 이제 더 이상 하지 말아야 할 것이다. 모두 집단 이기주의를 버리고, 국민(시청자)을 위한 UHD방송을 준비해, 세계 UHD방송 시장을 주도하였으면 한다.
"UHDTV User Forum" AV연구소 |
▶한국 케이블 UHD방송(홈 초이스 UMAX) 4K UHD콘텐츠 목록 | ||||||
No | 제 목 | 장르 | 제작년도/국가 | 시간 | VOD | 정보 |
1 | 타히티의 파도체험(The Ultimate Wave Tahiti) | 다큐 | 2010/미국 | 60분 | VOD | 4K@60fps/5.1 |
2 | 대한민국 독도 | 다큐 | 2013/한국 | 60분 | 4K@30fps | |
3 | 울트라 세계기행-이스라엘 | 다큐 | 2013/미국 | 30분 | VOD | 4K@60fps |
4 | 울트라 세계기행-잉글랜드 | 다큐 | 2013/미국 | 30분 | VOD | 4K@60fps |
5 | 씨렉스(Sea Rex) 1~2화 | 다큐 | 2013/프랑스 | 40분 | VOD | 4K@60fps/5.1 |
6 | 빙하시대의 타이탄(Titans of the Ice Age) | 다큐 | 2013/미국 | 30분 | VOD | 4K@60fps/5.1 |
7 | 쿰부밸리 | 다큐 | 2013/미국 | 30분 | VOD | 4K@60fps |
8 | 페블비치 자동차 콩쿠르 | 다큐 | 2010/미국 | 30분 | VOD | 4K@60fps |
9 | 리우 데 자네이루 | 다큐 | 2012/미국 | 15분 | VOD | 4K@60fps |
10 | 신들의 정원, 카파도키아 | 다큐 | 2013/한국 | 60분 | 4K@60fps | |
11 | Cheer Up | 다큐 | 2014/한국 | 30분x4편 | VOD | 4K@60fps |
12 | 우주의 신비 1~2부 | 다큐 | 60분 | 4K@60fps | ||
13 | 한국의 정원 New | 다큐 | 2013/한국 | 30분 | 4K@60fps | |
14 | 뚱보토끼 대 소동 | 애니 | 2008/네덜란드 | 15분 | VOD | 4K@60fps/5.1 |
15 | 곤 1화~5화 | 애니 | 2014/한국 | 15분x5편 | VOD | 4K@60fps |
16 | 스윗 롤러코스터, 케익 위의 요정들 | 애니 | 2013/한국 | 15분 | VOD | 4K@60fps |
17 | 환경에 적응하는 동물 | 애니 | 2011/중국 | 15분 | 4K@60fps | |
18 | 신비한 바다의 세계 | 애니 | 2012중국 | 15분 | VOD | 4K@60fps |
19 | 씬텔(Sintel) | 애니 | 2010/네덜란드 | 13분 | VOD | 4K@60fps/5.1 |
20 | 로봇의 눈물(Tears of Steel) | 영화 | 2012/네덜란드 | 10분 | VOD | 4K@60fps/5.1 |
21 | 노웨어 세이프 New | 영화 | 2014/미국 | 90분 | 4K@60fps | |
22 | 클라라의 뷰티풀 컬러요가 1~4회 New | 버라이어티 | 2014/한국 | 15분X4편 | 4K@60fps | |
23 | 트래블 버킷리스트 인 브라질 1~4화 New | 버라이어티 | 2014/한국 | 60분x4편 | 4K@60fps | |
24 | 밀라노컬렉션 1화~7화 | 트랜드 | 2013/프랑스 | 15분x7편 | VOD | 4K@60fps |
25 | 리얼 스토리 더 프로 1화~3화 / 3화New | 스포츠 | 2014/한국 | 60분x3편 | VOD | 4K@60fps |
26 | MUSE 라이브 인 로마 | 공연 | 2013/영국 | 90분 | VOD | 4K@60fps/5.1 |
총 1488분(24.8시간) = 약 25시간 (2014년 8월 1일 기준) |
*자료 출처 : UMAX(http://www.u-max.kr/main/program/programlist.html)
*제목이 파란색인 경우 UHD화질이 좀 더 우수한 프로그램
▶일본 위성 UHD방송(Channel 4K) 4K UHD콘텐츠 목록 | |||
No | 프로그램 | 시간 | 제작 |
1 | 후지산의 사계절-물 여행 | 60분 | 일본 방송 협회 |
2 | 칸 제류 다키 기노 (다키 기노) | 60분 | NHK 엔터프라이즈 |
3 | 프로 야구 중계-거인 : 야쿠르트 | 180분 | 일본 TV 방송망 |
4 | 월드 프리미엄 스포츠 | 60분 | 아사히 |
5 | THE 세계 유산 4K Premium Edition Detail of the Earth-지구의 모습- | 60분 | TBS 텔레비전 |
6 | 웅천 테츠야 K 발레 컴퍼니 '호두 까기 인형'아카사카 sacas 버전 | 91분 | TBS 텔레비전 |
7 | 성인의 극상의 럭셔리 여행 4K 버전 | 60분 | 도쿄 |
8 | 후지산 케이 클래식 2013 | 180분 | 후지 TV |
9 | 4K "Colors of Hollywood" | 57분 | WOWOW |
10 | 성과 양조장 1~2부(각 25분) | 50분 | 토 후쿠 신 샤아 |
11 | 장기 여류 기사 대국 스페셜 매치 2014 | 90분 | 토 후쿠 신 샤아 |
12 | 럭비 관동 대학 대항전 2013-와세다 대학 vs 메이지 대학 | 100분 | 목성 텔레콤 |
13 | 2013 스즈카 8 내 4K 프리미엄 다이제스트 | 15분 | 월드 고화질 채널 |
14 | 최고의 화질! 고질라 4K 프로젝트 | 28분 | 일본 영화 위성 |
15 | 2014 FIFA World Cup 일본 Vs 코트디부아르(예선전) | 120분 | NNHK · 民放連 |
16 | 2014 FIFA World Cup 콜롬비아 vs 우루과이(16강전) | 120분 | NNHK · 民放連 |
17 | 2014 FIFA World Cup 프랑스 Vs 독일(8강전) | 120분 | NNHK · 民放連 |
18 | 2014 FIFA World Cup 독일 Vs 아르헨티나(결승) | 160분 | NNHK · 民放連 |
19 | Venitia's LIFE ~ 마음의 정원에 도달 할 때까지 ~ | 60분 | NNHK · 民放連 |
20 | 피겨 스케이팅 / GP 파이널 2013 | 104분 | 아사히 |
21 | 드라마 W 치킨 레이스 | 110분 | WOWOW |
22 | 앨리스 콘서트 투어 2013It 's a Time 파이널 in 무도관 | 163분 | 스카 파 JSAT |
23 | 폴 매카트니 아웃 제아 · 재팬 투어 | 167분 | 스카 파 JSAT |
24 | 채널 4개 소개 | 20분 | 스카 파 JSAT |
25 | 일본 풍경① | 30분 | |
26 | 도쿄야경 | 5분 | |
27 | 성인의 극상의 럭셔리 여행 | 60분 | |
28 | Colors of Hollywood | 60분 | |
29 | J.League | 15분 | |
총 2,405분(40.08시간) = 약 40시간 (2014년 8월 1일 기준) |
*자료 출처 : http://www.nextv-f.jp/pdf/pressrel
첫댓글 컨텐츠가 일본은 자체제작 프로그램이 많고 볼만한것도 많네요
국내도 상당수 자체제작 프로그램이 많습니다. 그리고 국내 자체제작 프로그램의 화질이 해외 제작 프로그램들보다 화질이 더 좋습니다. 일본의 경우는 정서적으로 그래서인지는 모르겠으나, 주로 2013년에 제작을 해서인지, 색감이나 디테일 감이 부족해 보였습니다. 사실 저도 시청하기 전까지는 일본이 더 좋을 것이라고 생각을 하였는데, 막상 시청을 해보니, 국내 UHD방송에 더 후한 점수를 주었습니다. 물론 이 부분이 세톱박스를 시청해서 발생하는 문제, 국내 UHDTV로 시청해서 느껴지는 문제등이 있겠지만, 어찌되었는 현실은 그렇다는 것입니다.
4k드라마 언재쯤 재방 할련지...
추노, 사랑비 등의 몇몇의 드라마를 4k로 찍고 다운 스케일링해서 방영했던걸로 알고 있는데...
지상파가 영.. 지지부진하니.
일본에서 판권사서 먼저 나오려나 싶습니다.
추노가 4K카메라로 촬영을 하였다고는 하지만, 촬영만 4K로 하고, 원본은 모두 HD로 저장했을 가능성이 큽니다. 4K@60fps로 좔영시, 원본 메모리가 엄청 들어 갑니다. 또한 그것을 전편 모두 보관하기도 힘듭니다. 아마 제 생각엔 일부 몇몇 장면만 4K@30fps 또는 60fps로 촬영해서, 2013년에 샘플로 시연(4K@30fps)을 하였는데, 아마도 4K@60fps로 방영을 하려면, 다시 재 편집을 해야 하는데, 제 생각엔 샘플을 4K@30fps로 촬영했을 가능성이 커보입니다. 현재 KBS가 실험방송하는 UHD소스가 10분짜리 풍경 영상을 무한반복 상영하고 있는 것으로 봐서는 추노는 일부만 4K@30fps/8bit/4:2:0으로 촬영했을 가능성이 커보입니다.
그리고 SBS도 브라질 월드컵 경기만 무한반복하고 있는데, 지난번 월드컵 방송 전에는 잠시 HD영상을 업커버팅한 영상을 보여주던데, SBS도 4K@60fps 콘텐츠는 거의 없는듯 보입니다. 결국 지상파방송사들이 UHD방송을 준비하려면, 무엇보다 UHD방송 표준이 정해져서, 어떤방법으로든 실험방송이 아닌, 시험방송 수준으로 가양 할 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