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안스님의 '아름다운 선화' 보고 있으니
마음 깊이 울리는 향이 더욱 그윽하게 하여 주고
무념무상 우주가 흘러갔다.
돌아보면 아무것도 없었던 그 적막 속에서 그는
오랫동안 강물을 바라보고 앉아 있었다. 그러다가 그는 출가했다.
열일곱살 때였다.
그리움을
그리는 것이 '그림'이라는 수안 스님은
아직은 그리움이 남아있고 해야 할 말이 있기에 그림을 그린다고 한다.
파란 하늘에
점 하나 찍으니
향기롭습니다.
부드럽게
흙 만지면서
사람이 사람과 더블어
산다는 것
참된 행복입니다.
행복/수안스님
“내 그림이 애들 밥이 된다니 더 열심히 그리는 수밖에요.
얼마나 좋아요. '참 좋다, 정말 좋구나'
이런 글을 그림 옆에 쓰는 건 할일이 많아서 너무너무 좋다는 얘기입니다."
그림 앞에서 펑펑 우는 할머니 때문에 수안 스님도 붙잡고 울 때가 있다.
"할머니, 울기는 왜 우소?" 물었더니
"스님 그림을 보니 나도 모르게 눈물이 나요"한다.
“도 닦는 게 따로 있나.
나한테 그림 배우겠다고 온 아일랜드 화가가 있었는데
1년쯤 먹 갈고 원만 그리다가 갔어요.
마음이 어수선하면 아무 종이나 놓고 원을 그려보세요.
사람살이란 게 원형이구나 느껴져요. 둥글게 둥글게…"
여보게 벗
차가 있네
차 머금으면 몸과 마음이 맑아지고
세상 모든 일 즐겁게만 보인다네
몸은 娑波(사파)에 머물지만
마음이야 俗塵(속진)에 물들 수 있는가
담담한 맛이
차의 묘미라네
인생사 모두가 다 그렇듯
친한 벗 하나 둘 보이질 않고
새로운 벗 사귀자니 힘이 들고
궂은 일 좋은 일 의논하면서
山 그늘 내리는 옛동산 그리며
여보게 벗
차나 머금세.
茶나 머금세./수안스님
어린 시절 진주 남강에서 헤엄치며 놀 때,
어느 날 그는 모래밭에 쪼그리고 앉아 한없이 모래탑을 쌓았다.
학교에 낼 공납금을 타러 가는 길이었는데 집에는 돈이 없었다.
키만큼 쌓았던 모래탑이 물기가 빠져 스르르
무너지면 저쪽에 쌓고, 그게 무너지면 또다른 쪽에 쌓으며 하루를 보냈다.
산에서 홀로 수행할 때
가끔씩 그리움에 사무칠 때가 있다.
움직이는 것에 대한 그리움이다.
아무 것이라도 움직이는 게 나타나면,
말할 수 없는 반가움과 기쁨에 젖어든다.
숲속에서 바스락거리는 다람쥐 소리,
늑대의 울음소리,
물이 졸졸 흐르는 소리가 그때는
그렇게 반가울 수가 없다,
구름 한 점의 움직임,
바람의 숨결,
낙엽 밟는 짐승의 발자국 소리...
아, 비로소 내가 살아 있는 것이구나,
세상이 여전히 흘러가고 있구나, 하고
확인하는 순간의 감격은
그리운 이를 만나는 환희나 기쁨에
비할 바가 아니다.
참 좋다, 정말 좋구나
/수안 스님
“안 갈면 송장이지. 난 바랑을 걸머지면서 나를 부수어야겠다고 다짐한 걸.
산에서 이름 없는 풀들 그저 들여다보는 일도,
흙 만지고 돌 주무르며 노는 일도 다 나를 부수는 과정이에요.
그림 그리고 전각 하는 것도 다 무(無)로 돌아가는 맷돌질이고.
자기 이름도 잊을 정도로 갈고 갈아야지."
무엇인가 혼란스럽고 모호할때는
무심코 원을 그려 보라
그 원으로부터 모든것이
새롭게 정리될 수도 있으니까
동그라미 그리려다 무심코 그린 얼굴이
지금의 내 마음일 수가 있고
내일의 내꿈일 수도 있으니
그리고 바라보면 알 수가 있다.
내가 지금 어디에 갇혀 있는지,
얼마나 자유로운지,
또 어디로 가야하는지.
모든 해답이 이 원 안에 혹은 원 밖에 있다.
동그라미/수안스님
“스님, 니 몇살이고?"
"니는 몇살이냐?"
"나? 나는 다섯살이다."
"그래? 나도 다섯살이지."
그가 가는 맷돌 소리가 들린다.
관세음보살()()()...♡
관세음보살
관세음보살()()()
관세음보살()()()...♡
관세음보살()()()...♡
관세음보살()()()
관세음보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