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로(白露)
9월 8일은 하늘에 흰(白) 이슬(露)이 내린다는 백로(白露)입니다. 백로(白露)는 24절기의 하나로 열 다섯 번째의 절기이며. 음력으로는 유(酉)월의 8월절(節)로서 처서(處暑)다음이며 추분(秋分)앞의 절기로 태양의 황경(黃經)은 165도를 지나는 때입니다.
처서와 추분 사이에 들며, 음력 8월, 양력 9월 8일경으로 태양의 황경이 165°에 올 때입니다.
이때쯤이면 밤에 기온이 내려가고, 대기중의 수증기가 엉켜서 풀잎에 이슬이 맺혀 가을 기운이 완전히 나타
나는데 백로(白露)란 흰 이슬이 내리며 가을 분위기가 완연해진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기도 합니다.
옛 중국 사람들은 백로 입기일(入氣日)로부터 추분까지의 시기를 5일씩 삼후(三候)로 나누어 그 특징을 말하였는데, 초후(初候)에는 기러기가 날아오고, 중후(中候)에는 제비가 강남으로 돌아가며, 말후(末候)에는 뭇새들이 먹이를 저장하였다고 합니다.
이때 우리나라에는 장마도 걷히고 중후와 말후에는 쾌청한 날씨가 계속된다. 간혹 남쪽에서 불어오는 태풍이 곡식을 넘어뜨리고 해일의 피해를 가져오기도 하는데요.
제주도 속담에 “백로전미발(白露前未發)”이라고 해서 이때까지 패지 못한 벼는 더 이상 크지 못한다고 전하며, 또한 백로 전에 서리가 오면 농작물이 시들고 말라버리는 것으로 생각한다고 합니다.
충남에서는 늦게 벼를 심었다면 백로 이전에 이삭이 패어야 그 벼를 먹을 수 있고, 백로가 지나도록 이삭이 패지 않으면 그 나락은 먹을 수 없다고 믿는다고 하며,
경남에서는 백로 전에 패는 벼는 잘 익고 그 후에 패는 것은 쭉정이가 된다고 알고 있으며, 백로에 벼 이삭을 유심히 살펴서 그해 농사의 풍흉을 가늠하기도 한다고 합니다.
농가에서는 백로 전후에 부는 바람을 유심히 관찰하여 풍흉을 점을 치는데 이때 바람이 불면 벼농사에 해가 많다고 여기며, 비록 나락이 여물지라도 색깔이 검게 된다고 하네요.
또 백로 무렵이면 조상의 묘를 찾아 벌초를 시작하고, 고된 여름 농사를 다 짓고 추수까지 잠시 일손을 쉬는 때이므로 가까운 친척을 방문하기도 합니다.
백로(白露)와 관계된 것들에는 아래와 같은 이야기들이 있습니다.
- 이슬 -
백로에 내린 콩잎의 이슬을 새벽에 손으로 훑어 먹으면 속병이 낫는다고 합니다.
- 백로와 포도 -
참외는 중복(中伏)까지 맛있고 수박은 말복(末伏)에 그리고 처서(處暑)에는 복숭아, 백로(白露)에는 포도가 제 맛이며 철따라 과일의 때가 정해져 있어 과실 맛으로 절기(節氣)를 느끼곤 했던 것인데요. 옛 편지 첫머리에 "포도순절(葡萄旬節)에 기체만강 하옵시고..." 라는 구절을 자주 썼는데, 바로 백로에서 추석까지를 시기를 포도순절이라 했으니 바야흐로 포도의 계절입니다.
- 다산(多産)의 상징 -
그해 첫 포도를 따면 사당에 먼저 고한 다음 그 집 맏며느리가 한 송이를 통째로 먹어야 하는 민속이 있었습니다. 주렁주렁 포도알로서 다산(多産)을 상징하기 위한 주술적인 풍속이었던 것입니다. 또한 조선 백자(朝鮮 白磁)에 포도 문양(紋樣)의 백자가 많은데 이 역시 다산(多産)을 상징하고자 내방(內房)에 두는 주술(呪術) 단지였습니다. 지금도 간혹 처녀가 공개적으로 포도를 먹고 있으면 망측하다고 호통을 치는데 포도에는 다산(多産)을 상징하는 전통적 이미지가 도사려 있기 때문입니다.
- 포도지정 -
부모에게 배은망덕한 행위를 했을 때 포도지정(葡萄之情)을 잊었다고 개탄을 했는데, 포도의 정이란 어릴 때 어머니가 포도 한 알 입에 넣어 껍데기와 씨를 가려낸 다음 입물림으로 먹여주던 그 정이 말합니다.
- 허수아비 -
만곡(萬穀)이 익어가니 백로(白鷺-흰 해오라기)아닌 새들이 한창이고 이를 쫓으려는 허수아비의 수고로움도 향수(鄕愁)처럼 그립기만 한 시절입니다.
첫댓글 와 !!! 백로에 대해서 논문을 쓰셨습니다 ~ 열시미 읽어서 마음의 양식이 되도록 하겠습니다 ~
자료 감사하게 접수 합니다...난 흡수했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