먼저 이 기능의 이해를 돕기 위해 아래 파일을 첨부하니
다운 받아서 실제 변화와 볼륨의 변화 자동연주시 반영여부를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점점 여리게 점점 세게 연주시 볼륨을 자동으로 변화시기기 위한 MPC 기능이 있습니다.
그러나 자주 사용하지 않고 또 복잡하게 입력해야만 하기에 저 또한 잘 사용하지 않습니다.
물론 이를 반영하면 미디 연주시 생동감 있는 연주를 수행할 수 있을 겁니다.
그리고 두번째로 음표 사이마다 볼륨 기능을 주어서 변화를 주기도 합니다. 이는 간단하게 입력하지만
보표가 지저분해 진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숨김 기능으로 인쇄시 보이지는 않지만
그래도 악보를 열어보면 지저분하다는 느낌이 있지요.
그런데 입력할 수 밖에 없는 위 기능으로 자동으로 볼룸이 반영되어 연주되게 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단 텍스트 입력 방법이 아닌 기능으로 셈여림변화 기능으로 입력했을 때 입니다.
여기서
두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먼저 셈여림변화 기능으로 입력했을 때 표기되는 cresc. decresc. 기호 입니다.
이 기능은 한 마디 안에서만 효과가 있습니다.
2마디 3마디 효과는 없습니다.
그러나 < 나 > 이 기호로 몇 마디까지 연결하여 입력 할 수 있겠지요.
이 기능은 입력된 그 마디만큼 그대로 반영되어 연주됩니다. 아주 편하지요.
이 기능도 단점은 있습니다. 다 그렇겠지만 해당 보보에만 해당된다는 것이죠
모든 보표에 이 기능을 적용하고 싶다면 모든 보표에 다 그려 넣어주어야 한다는 겁니다.
보표 간격이 여유가 있어야 표기도 가능하고 보기에도 좋을 겁니다.
자 다운 받아 보시면 위 그림처럼 표기된 화면이 나올 것입니다.
그리고 입력하는 방법은 윗 그림처럼 두 가지 방법이 있을 겁니다.
1마디 2마디와 3마디 4마디 표기 방법은 다르지만 동일하게 점점 세게 점점 여리게
소리가 반영되어 연주 될 것입니다.
어떤 표시로 입력하던 연주될 때 동일하게 볼륨이 적용된다는 것이죠
5마디 처럼 한 마디 안에서도 적용 됩니다.
그런데 이 기능이 마디 단위 입니다. 예를 들면
8마디 9마디 보겠습니다.
높은음자리표의 8마디 9마디는 자동으로 여리게에서 자주세게로 점차 커지면서 연주되지만
낮음음자리표 8마디 9마디는 그렇게 연주되지 않습니다.
8마디 끝이나 9마디 초입에 셈여림 기호가 없기 때문에
얼마까지 볼륨을 기워야 하는지 기준이 없어 기워지지 않지만
9마디는 끝에 아주세게 기호가 있으니 거기까지 키워가며 연주합니다.
즉 이 기호가 끝나는 부분에 기준점이 있어야 거기까지 점점 커지거나
점점 작아지며 연주를 하게 된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7마디 예를 보면
점점 세게 인데 다음 마디가 여리게 입니다.
그렇다면 어떻게 될까요?
점점 세게 표시이지만 이 기호와 무관하게 8마디 첫 표기가 여리게 이니
점점 작아지면서 연주가 됩니다.
그래서 이를 막기 위해 7마디 끝에 인쇄할 때 나타나지 않도록 아주세게 기호를 ff를 숨김으로 입력했습니다.
그러면 7마디에서 점점 세게 연주하고 8마디에서 바로 여리게로 연주가 시작되는 것이지요.
이해하셨나요?
마지막 부분이나 다음 마디 먄 앞에 셈여림 기호가 있다면 자동으로
셈여림의 기능이 반영되어 연주됩니다.
여기서 1마디를 넘어 2마디 3마디 연주에 반영되게 하려면 반드시 < >
이 기호로 반영하거나
만약 cresc. decresc. 이 기능으로 입력하면
각 마디마다 입력하고 마디 첫 마디에 셈여림 기호를 넣어주거나
그 기호에 볼륨크기를 주는 방법입니다.
예를 들면 아래 그림처럼 P 여리게 이지만 볼륨을 90으로 지정했으니
앞마디 p 에서 점점 세게 이니 다음마디 볼륨 90까지 점점 세게 연주가 됩니다.
이런 방식으로 마디마디 첫마디에 볼륨을 지정해 주는 방법이 있습니다.
여기까지 강의를 마침니다.
사용하다 알려줄 기능이 있으면 또 올리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