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부비만은 배에 과도한 지방이 축적된 상태로, 한국인 허리둘레 기준으로 남자 90cm(35.4인치), 여자 85cm(33.5인치) 이상인 경우에 해당된다. 체내의 지방은 그 분포에 따라 피하지방과 내장지방으로 나눌 수 있는데, 특히 내장지방(체내 장기를 둘러싸고 있는 체강 내에 축적되는 지방)의 축적이 심할 경우 건강 위험률이 높아져 내장비만을 복부비만과 같은 용어로 사용하기도 한다.
원인
내장지방이 축적되는 이유는 나이의 증가, 과식, 운동 부족, 흡연, 유전적 영향 등이 복합적으로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남자의 경우 군대에서 제대한 후 또는 결혼 직후이며, 여자가 복부 비만이 되는 시기는 폐경기 이후이다
증상
뚜렷한 증상이 없는 경우가 많다. 전체적으로 체중이 증가하면서 허리둘레가 늘어나 자각하게 되지만 체중이 정상인 경우에도 복부비만인 경우가 있다. 내장지방 축적으로 인해 횡격막이 과다 신장되어 호흡운동 시 폐의 움직임을 방해하면, 수면 중 코를 골다가 호흡을 멈추는 수면 무호흡증을 유발할 수 있다
진단
허리둘레 측정이 간편하고 해석이 쉬워 복부비만 진단에 널리 사용된다. 한국인의 경우 남자 90cm(35.4인치), 여자 85cm(33.5인치) 이상을 복부비만으로 진단한다. 보통 늑골(갈비뼈) 하단부(가장 아래부분)와 장골능(골반뼈의 엉덩이 위쪽 끝) 상부의 중간점에서 측정하는 방법이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 부위는 대개 배꼽 부위를 지나게 된다. 허리둘레는 내장지방량과 높은 관련이 있으며 체질량지수보다 심혈관질환을 더 잘 예측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단점으로는 전체 지방량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비만이 심할수록 내장지방량과 관련성이 감소할 수 있다
상체비만은 하체에 비해 상체에 근육이 많이 발달되었거나 지방의 축적이 많은 경우, 성격이 급하며 사상 체질적으로는 소양인에게 잘 나타납니다.
상체비만의 경우 어깨, 가슴, 팔, 상복부 등이 하체에 비해 굵고 큰 편입니다.
이러한 상체비만인 사람은 급하고 불같은 성격을 갖고 있으며 인체의 기운이 주로 위쪽으로 상승하기 때문에 하체에 비해 상체가 더욱 발달되어 있으며, 이에 비해 하체는 빈약하거나 힘이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감정적으로도 평소 느긋한 마음을 갖도록 하는 것이 좋고 신선한 야채와 해물류를 자주 섭취함으로써 변비를 예방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서늘한 기운으로
인체에 상승하는 열기운을 중화시킬 필요가 있습니다.
다이어트 할 때에도 여러 사람들과 어울리는 것 자체를 즐기다 보니 그런 즐거움에 취해 감정적으로 다이어트에 집중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으며, 조급한 성격으로 급하게 살을 빼려고 하므로 장기간에 걸친 꾸준한 다이어트시 실패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런 경우는 자신이 다이어트 하는 것을 주위에 알림으로서 도움을 받는 것이 가장 현명한 방법입니다.
1. 근육형 상체비만
체지방율이 비교적 높지 않으며 어릴적부터 상체비만의 경향을 가지고 있습니다.
체중조절을 위해 항상 운동에 더 중점을 두며, 성격이 급하고 손목과 특히 발목이 가느다란 편이고 행동은 민첩합니다.
이러한 경우 상체의 살을 빼기 위해 상체로 무게가 많이 가는 운동 즉, 아령, 덤벨, 팔굽혀 펴기 등을 하게 되면 오히려 상체의 근육발달을 부추기게 됩니다. 상체의 운동은 줄이고 다리를 많이 이용한 전신 운동을 해야 효과적입니다. 그리고 평소에 특히 운동의 비중보다 식사 조절에 포인트를 두어야 효과적인 체중감량이 가능합니다.
2. 지방형 상체비만
체지방률이 비교적 높은 경우입니다.
예전에는 상체가 마른 편이었는데 나이가 들면서, 혹은 체중이 많이 늘면서 살이 붙는 경우입니다. 식사시간이나 식사량등 식습관이 좋지 않으며 손목, 발목이 가늘지 않고 동작은 둔하고 운동신경이 발달되지 않은 편입니다.
이러한 지방형 상체비만은 일단 전반적인 체중감량을 위해 적절한 식이요법과 운동을 병행하되 상체의 부위별 근육 단련 운동을 조금씩 하는 것이 부위별 지방 연소와 아름다운 체형 형성에 도움이 됩니다.
상체에 비해 하체의 근육 발달과 지방 축적이 많은 경우입니다.
이런 체질은 사상의학에서 소음인이나 일부 태음인에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
하체 비만인 사람들은 기운이 자꾸 아래로 쳐지고 내려가는 체질로 소화기능이 약한 사람이 많습니다.
그러므로 진취적이고 적극적인 마음을 가지고 무리한 운동보다는 가벼운 운동과 활동을 하는 편이 좋으며 규칙적인 식사로 위장에 부담을 주는 음식은 피해야 합니다. 또 부종이 심한 경우에는 염분 섭취를 줄이는 것이 좋습니다 - 퍼온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