욕봅니다.
“감사(感謝)합니다.”라는 말은 ‘感謝’라는 명사와 ‘합니다’라는 자동사가 만난 용어이다. 국어사전 적으로는 ‘감사(感謝)’는 ‘고맙게 여김. 또는 그런 마음’이라는 뜻이다. 문제는 ‘감사(感謝)합니다.’라는 용어는 일제강점기에 倭國의 식민교육의 일환으로 우리말 ‘고맙습니다.’라는 용어를 倭國이 사용할 수 없다보니 중국에서 사용하는 ‘謝謝(쎄쎄:고맙습니다.)’라는 한문(漢文)을 빌려와 感(느낄 감) + 謝(사례할 사)를 합성하여 만든 왜국식 한자용어이다.
‘감사합니다.’라는 용어는 일제강점기 이전에는 어느 곳에도 찾아볼 수 없다. 따라서 왜국의 식민교육을 위해 만들어진 용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倭國은 칸~사(かんしゃ)라 발음하고 한자로는 感謝(감사)라고 쓴다. 만약 한문을 사용했다면 중국이 사용하고 있는 ‘謝謝(쎄쎄)’라 사용했을 것이다. 그리고 ‘感謝’라는 용어는 일본인들에게도 딱딱한 이미지가 강하여 倭國도 “아리가또(ありがとう:고맙습니다.) 또는 아리가또(ありがとう:고맙습니다.)고자이마스(ございます:감사합니다)”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이 두 용어는 높임말이냐 아니냐의 차이이다.
국립국어원은 “ ‘감사합니다’를 일본식 표현으로 보는 견해가 있기는 합니다. 그러나 ‘감사(感謝)’가 일본에서 만들어진 한자어라는 주장에 대한 명확한 증거가 없으며, 또한 우리말은 ‘공부하다, 축구하다’처럼 ‘명사’ 뒤에 ‘-하다’가 결합된 낱말이 많이 있습니다. 따라서 ‘감사합니다’와 ‘고맙습니다’는 ‘한자어’와 ‘고유어’의 차이로 이해하시는 것이 어떨까 합니다. 아울러, 우리나라에서는 한자어가 언어생활에서 누려 왔던 무게감 때문에 고유어보다 더 정중한 느낌을 나타낸다고 보기도 하지만, 한자어보다 고유어를 살려 써야 한다는 생각으로 ‘고맙다’를 더 선호하는 사람도 있다는 점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라는 답을 하였다고 한다.
아직도 그렇게 생각하는지 답해 주시기 바랍니다.
또한 ‘국립국어원’도 ‘국어(國語)’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식민교육의 영향을 그대로 따라하는 집단에 불과하다는 점을 알려드리고자 합니다. 국어라는 용어 역시 倭國의 식민사관으로 만든 용어로 일제강점기 당시의 국어란 ‘일본어’를 이르는 말이다. 우리는 우리글을 세종대왕이 창제한 한글이라 말한다. 그런데 한글은 배우지 않고 국어를 배운다는 것은 부끄러운 일이다. 정작 한글을 연구하고 바른 한글에 대해 기준을 정하는 단체가 왜국의 식민사관으로 만든 용어를 그대로 사용하고 있다는 점에서 ‘국립국어원’도 참으로 신뢰하기 어렵다.
이점도 함께 답해 주시면 고맙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