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명예영사관 : 영국, 독일, 호주, 필리핀, 방글라데시, 태국, 아르메니아, 뉴질랜드, 카나다 * 북한(D087)은 나호트카, 중국과 일본은 하바롭스크에 총영사관 주재
러시아어로 "동방을 점령하라"라는 뜻을 담고 있는 블라디보스톡은 러시아의 수도인 모스크바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으나, 이곳에도 러시아의 승리와 비극, 과거와 미래, 자유와 속박의 역사가 표현되어 있음.
오래전부터 러시아에서는 일본 가까이 중국 근처에 자유로운 땅이 있다는 전설이 전해오고 있었음.
청수국(淸水國)이라고 불린 그 놀라운 왕국은 평등과 진실한 믿음의 피난처라고 생각되어 왔다. 청수국을 찾는 가운데 러시아인들은 동해에 도달하게 되었고, 이리하여 블라디보스톡은 러시아 제국을 이룬 동쪽의 마지막 지점이 된 것임.
블라디보스톡은 러시아 극동지역의 가장 중요한 공업, 교통, 문화의 중심 도시임.
블라디보스톡은 높고 나지막한 언덕으로 둘러있는 나폴리를 연상케하는 도시로 구부러진 모습의 깊고 작은 만(灣)인 졸라또이 로그(Golden horn)가 높은 해안으로 깊숙이 들어가 있으며, 이 졸라또이 로그만을 임페리얼 예브게니(Imperial Evgeny) 군도에서 가장 큰 루스끼(Russky) 섬이 감싸고 있음.
태평양 진출을 위한 러시아의 중요한 전략적 항구도시인 블라디보스톡은 시베리아 횡단철도(TSR)의 출발점이며, 종착역이기도 함. 따라서 개인 사업, 국제 무역과 관광 등이 급속도로 성장, 발전하고 있으며, 동시에 수산물가공, 선박수리, 기계제작공업도 지역경제에 큰 역할을 담당하고 있음.
2. 블라디보스톡 역사
블라디보스톡은 1860년에 창립, 1880년에 시로 승격되었으며, 1891.5.19에 황태자인 니꼴라이 2세가 시베리아 횡단철도 기공식에 참석하기 위하여 블라디보스톡을 방문하기도 하였음. 1899년에 현재 극동·시베리아지역에서 최고 권위를 지닌 극동국립대학의 전신인 동양학 대학이 문을 열었으며, 1917년까지 블라디보스톡은 극동지역 중심도시로 성장하게 됨. 내전 초기인 1918년 봄 블라디보스톡에 외국 군대(미국, 영국, 일본, 캐나다, 이탈리아)가 진주하면서, 도시에는 예전의 제국 여러 곳으로부터 피난민들이 모여들게 되었고, 짧은 시간이나마 블라디보스톡은 헛된 망상과 몽상의 수도가 되었음. 1922년 러시아 역사상 마지막 국민회의는 블라디보스톡을 "4번째 로마"로 공포하고 사람들은 유럽으로부터 새로운 황제의 도착을 기다림. 그러나 1922.10.25 극동 공화국 빨치산 부대들이 도시에 진주, 수많은 러시아 사람들이 어쩔수 없이 영원히 고향을 등지게 되었음.
3. 중심 시가지 및 명소
가. 신한촌 기념비
한국의 정치불안과 빈곤으로 인한 한인들의 연해주 이주가 시작되었던 1863년, 양치해, 지신허 등 하산지역 남쪽을 중심으로 최초의 한인촌이 생겨났다. 1870년대에 8,400명으로 집계된 연해주 한인 이주민의 수가 1923년에는 12,000명까지 이르게 되었음. 1929년 하산지역 북부의 포세에트구 한인마을은 한인극장과 문화회관은 물론 한인 자치기관을 두고 있었으며, 행정기관에서는 한글을 사용하는 등 한인정착이 성공적으로 진행되는 듯이 보였음. 그러나 1937년 소비에트 인민위원회의 강제이주 명령에 의해 2차례에 걸친 연해주 한인 강제이주가 집행되면서 현재 러시아·CIS 국가에 산재해 있는 고려인 동포들의 한과 설움의 역사가 시작되는 것임.이렇게 붕괴된 한인촌은 일제침략시 항일운동에 크게 기여한 지역으로 많은 독립지사들의 흔적을 찾을 수 있으며, 1999.8월 한민족연구소가 3.1 독립선언 80주년을 맞아 연해주 한인들의 독립운동을 기리고 재러 고려인들을 위로하기 위하여 신한촌 기념비를 설립하였음. 이에 '2002 한·러 친선특급 시베리아철도 대장정'도 항일 독립운동사에 큰 의미를 지니고 있는 신한촌 항일운동 기념비 앞에서 그 첫발을 시작하였음.
나. 중앙광장(혁명전사광장)
중앙대로인 Svetlanskaya가(街)의 중심에 위치한 광장으로 중앙에 깃발과 나팔을 든 병사의 거대한 동상이 서 있음. 왼쪽에는 White House, 벨르이 돔이라 불리우는 흰색건물의 연해주 주정부 청사가 위치해 있음. 신년축하 축제를 비롯하여 전승기념일에는 퍼레이드 및 불꽃놀이가 펼쳐지며 그밖의 각종 행사가 열리는 이곳 중앙광장은 시민들이 함께 즐길수 있는 대형 야외공연장의 역할을 충분히 감당하고 있음.
다. 아르세니예프 박물관
구시베리아 상업은행 건물로 1906년에 건립되었음. 블라디보스톡의 역사를 넘어 동·식물 자연을 통해 도시의 기원을 더듬을수 있을 만큼 광대한 시각으로 제작되어진 듯함.100년 이상된 고고학, 지리학, 민속학의 수집품들과 희귀한 서류와 책 등이 소장되어 있어 블라디보스톡을 이해하는데 큰 도움이 됨. 흉기들의 전시도 볼만한 관람거리로 다양한 모습으로 솔직하게 역사의 진실을 풀어놓은 블라디보스톡 시민들의 열린 마음을 볼수 있음.
라. 블라디보스톡역(驛)
블라디보스톡역은 1907년-1912년에 Kovalov에 의해 설계, 건설되었으며, 시베리아 횡단철도(TSR)의 시발점으로, 블라디보스톡의 대표적 건물임.
러시아의 건축양식을 충실히 이행하여 설립된 이 역사(驛舍)가 극동에서 느끼는 수도로부터의 엄청난 거리감을 극복하게 하는 동시에 대강국 러시아의 옛 자존심을 대륙으로부터 쉬지않고 나르고 있는 것처럼 보임.
마. 잠수함 C-56 박물관
제2차 세계대전시 첫 출정하여 승리를 거둔 실전 잠수함을 1975년, 그대로 옮겨 보전, 현재는 박물관으로 이용되고 있음. 선실과 기관실 및 조타실 등 잠수함 내부를 세심하게 직접 볼수 있는 것이 정형화된 일반관람에서 벗어나 매우 흥미로움. 잠수함 옆 광장에는 꺼지지 않는 불과 제2차 세계대전 참전용사들의 이름을 담은 기념비가 그들의 넋을 위로하며 승리를 기념하고 있음.
바. 독수리둥지(Orlinoye Gnezdo)산
블라디보스톡 시내거리와 졸라또이로그만(灣)이 훤히 내려다 보이는 언덕임. 바로 아래 위치한 푸니끌료르역(Funikulyor)에서 케이블카를 타며, 주위 풍경과 경사감을 느껴보는 것도 흥미로운 경험이 될 것임.
사. 포대박물관
1986년 건설, 1996년에 복구되었으며, 블라디보스톡 성곽연구회가 입주해 있음. 러·일전쟁 및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사용했던 각종 포대 및 전시물품 등이 진열되어 있음.
아. 스포르치브나야 가반(Sportivnaya Gavan)
블라디보스톡 시민의 휴식처로 여름이 되면, 많은 시민들의 각광을 받고 있음. 또한 근처에는 수족관, 새끼돌고래 및 물개 야외사육장,놀이공원 등이 있으나, 선진국에 비해 시설이 열악한 편임.
Ⅱ. 도착전 준비사항
1.사증(비자)
비자발급은 크게 네가지로 구분.
가. 관광비자
여행사를 통해서 취득
나. 노동비자
투자업체 임직원, 개인투자자 등 거의 모든 사업자 해당.
업체별 쿼터제가 적용되며, 비자 발급 및 연장시 많은 구비서류(세금납부증명서, 건강증명서, 사업자등록증, 지방정부 관계기관 확인서 등)가 요구되며 통상 1개월 소요.
- 기부금 : 일시불로 US$ 4,000 납부하며, 전학할 때 전액 환불받거나 매년 US$ 1,600씩 납부
- 수업료 : 5세는 1년에 US$ 11,000, 6세이상은 US$ 13,600 (교재비 포함, 급식은 없고 각자 도시락 지참)
특기사항
- 러시아어 학습에 부담을 느끼는 단기체류 가정 아동들에게 적합한 곳임. 학비의 부담, 학교건물의 시설낙후와 교실부족, 학생수에 비해 모국어로서의 영어교사가 단 2인뿐이라는 열악한 학습조건 등 학부모들의 불평이 끊이지 않지만 영어를 기본으로 한 외국식 교육을 받을 수 있는 유일한 곳임을 인정할 때, 대부분의 가정들이 초기 학교선택에 갈등하지 않을 수 없음. 많은 상지사, 공관직원들의 자녀들이 재학중이며, 미국인 부부 교사 2인과 음악, 댄스, 보조교사 등을 포함 총 7-8명의 영어소통이 가능한 러시아 현지 교사가 있음.
3) 기타 공립학교
(주로 어학을 전문적으로 가르치는 학교들임)
제13번 영어 전문학교
- 주소 : St. Naberezhnaya 1 (Tel : 41-1846, 1819)
제57번 영어 전문학교
- 주소 : St. Chkalova 15 (Tel : 31-9266, 8262)
제26번 서유럽어 전문학교
- 주소 : St. Amurskaya 14 (Tel : 45-0896)
제76번 동양어 전문학교
- 주소 : St. Pisarevskaya 6/8 (Tel : 45-0939, 4736)
제9번 중국어 전문학교
- 주소 : St. Pushkinskaya 39 (Tel : 22-2332)
제63번 중국어 전문학교
- 주소 : St. Borodinskaya 7 (Tel : 32-4340)
다. 대학 교육
1) 극동국립대학(FESU)
주소 : St. Sukhanova 8 (Tel : 26-1280)
e-mail : rectorat@dvgu.ru
특기사항 : 러시아 극동의 명문대학으로 19개의 단과대가 있음.
2) 극동국립기술대학(FESTU)
주소 : St. Pushkinskaya 10 (Tel : 26-1653, 4871)
e-mail : miningfestu@mail.ru
특기사항 : 기술종합대학으로 해양대를 비롯하여 18개의 단과대가 있음.
3) 블라디보스톡 국립경제대학(VSUES)
주소 : St. Gogolya 41 (Tel : 45-0853)
e-mail : alexander.kovalevski@vvsu.ru
특기사항 : 외국어학부와 국제관광대 등을 포함하여 총 10개의 단과대가 있음.
4) 블라디보스톡 국립해양대학(MSU)
주소 : St. Verkhneportovaya 50a (Tel : 41-4968)
e-mail : office@msun.ru
특기사항 : 항해학부를 포함하여 총 13개의 단과대가 있음.
5) 블라디보스톡 국립수산대학(VSTFU)
주소 : St. Lugovaya 52b (Tel : 44-2294)
e-mail : omsdti@mail.primorye.ru
특기사항 : 수자원학부를 포함하여 총7개의 단과대가 있음.
6) 블라디보스톡 국립경제아카데미매니져먼트대학(VSAEM)
주소 : St. Okeansky prospect 19 (Tel : 265089)
e-mail : fesaem@mail.primorye.ru
특기사항 : 경제학부와 회계대 등을 포함하여 총 7개의 단과대가 있음.
4.자동차
현지도로 노면상태가 매우 불량하고, 시외곽에는 비포장도로도 적지 않으며, 장기간의 혹한으로 차량마모가 크기 때문에 차종은 승용차보다 지프차가 현지 실정에 적합함.
국산 승용차도 적은 숫자이지만 운행하고 있기 때문에 국내 에서 이미 사용중인 차량을 반입하는 방안도 생각해 볼 수 있으나, 부품조달상 어려움을 예상하여 소모부품은 미리 준비하는 것이 바람직함.
블라디보스톡시내에는 승용차의 90%가 일제중고차이며, 기타 국산중고차, 러시아차가 운행중이기 때문에 일제 중고차를 구입하는 것도 무난함.
- 부품조달, 수리, 내구성 등에서 장점
5. 이사화물
러시아로 반입되는 물품에 대한 통관절차는 물품의 양, 기간, 반입의 목적 등에 따라 각각 세부적으로 다르게 정해져 있음.
6.공항
블라디보스톡 국제공항은 아르쫌시에 있으며, 시내에서 차로 40분거리에 위치하고 있고, 우리나라 항공사로는 대한항공이, 현지 주요항공사로는 블라디보스톡 항공사가 취항하고 있음.
국제항공(운행) 교통편
대한항공(KAL)
연락처
·블라디보스톡 지점 : Tel) 32-2000, 1255
·e-mail : vvvsure@hotmail.com
운행시간표
·인천↔블라디보스톡 : 월, 화, 금, 토
- 주3회 기본, 하절기(6월-10월) 주4회 증편 운행
비 고
·편명 : KE
·비행시간 : 2시간 25분 소요
* 한국이외의 제3외국 여행시에도 서울을 경유하여 대부분 KAL을 이용하고 있음.
블라디보스톡항공(Vlad-Air)
연락처
·서울 지점 : Tel) 733-2920
운행시간표
·인천↔블라디보스톡 : 수, 목, 금, 일
- 주3회 기본, 하절기(6월-10월) 주4회 증편 운행
·부산↔블라디보스톡
- 주2회 운행 : 월, 토
비 고
·편명 : XF
·비행시간 : 약 2시간 소요
7.쇼핑정보
백화점 및 쇼핑몰
- 굼/졸라또이 로그/로지나/이그나트/우니베르쌈
가전제품
- 삼정전자/LG/Siemens/Sony/Bosh-Simens/스펙뜨르/
가구 및 생활잡화
- 가구
- 임페리얼/루시츠
- 생활잡화
-프레켄 보그/뜨이시치 멜로체이
유아 및 어린이용품
- 해피랜드/Toys Land/치코/미르
* 기저귀(하기스, 팸퍼스), 분유(러시아산, 네슬레, 시밀락) 등은 현지 구입 가능함. 유모차 등 기본 유아용품과 수입 한국제 의류는 일부 구입이 가능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