접경지역인 철원군은 주민들이 살아가고 있는 삶의 터 대부분이 군사시설보호구역이나 농업진흥지역 등 각종 규제에 묶여 있다. 지역이 이중삼중으로 규제를 받다 보니, 생활불편과 재산권 행사 불이익은 물론 지역발전 및 경제활성화에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지자체에서 지속적으로 군사시설 보호구역 규제 완화와 농업진흥지역 해제를 요구하고 있지만, 정부 차원 등에서 특별한 조치가 마련되지 않는 한 현실적으로 어려운 상황이다. 철원지역 군사시설보호구역과 농업진흥지역의 현주소에 대해 알아본다.
|
 |
|
▲ 철원군의 농업진흥지역은 1만3408㏊의 농지면적 대비 107.8%에 달하면서 낙후된 지역개발 사업 추진에 엄청난 족쇄로 작용하고 있다. 사진은 철원평야 모습. |
영농· 주민생활 불편… 재산권 행사 걸림돌
첨단 플라즈마 단지· 한탄강 종합개발 한계
민관군 지속 대화로 점진적 규제 해제 필요
■ 지역 규제 실태
△군사시설보호구역=군사시설보호구역은 통제보호구역과 제한보호구역으로 나눠진다. 통제보호구역은 민간인통제선 이북지역과 중요한 군사기지 및 군사시설 주변을, 제한보호구역은 군사작전의 원활한 수행을 위해 필요하거나 군사시설의 보호, 주민안전이 요구되는 곳을 말한다. 제한보호구역에서는 군부대의 동의를 받으면 각종 개발, 건축이 가능하다. 지역내 군사시설보호구역은 지난해 7월말 현재 총 889.43㎢ 에 이른다. 이 중 통제보호구역은 50.9%인 452.69㎢, 제한보호구역은 43.87%인 390.17㎢, 해제지역은 0.49%인 4.37㎢, 행정위탁지역은 4.74%인 42.18㎢ 이다. 행정위탁지역은 지역발전 및 주민편익 도모를 위해 작전에 미치는 영향이 경미한 범위안에서 관할부대장과의 협의없이 지자체에서 건축허가 등의 처분을 할 수 있는 곳이다. 군사시설보호구역을 지역별로 보면 갈말읍 171.46㎢, 근남면 129.13㎢, 동송읍 127.49㎢, 철원읍 99.76㎢, 김화읍 87.95㎢, 서면 74.33㎢, 근북면 23.72㎢ 등이다. 군사시설보호구역에서 해제된 곳은 현재 갈말읍 문혜리181외 69필지와 서면 자등리 1797번지외 47필지 등이다.
△농업진흥지역= 농업진흥지역은 농업진흥구역과 농업보호구역으로 분리된다. 농업진흥구역은 농지 조성 또는 농업기반 정비사업이 시행 또는 시행중인 지역으로서 농업생산 및 농지개량과 직접 관련되지 않은 토지 이용행위는 할 수 없으며, 농업인 주택과 비닐하우스, 공동창고 등은 지을 수 있다. 농업보호구역은 농업진흥구역의 용수원 확보, 수질 보전 등 농업환경을 보호하기 위해 필요한 지역으로 일정규모의 관광농원, 주말농장 등이 부분적으로 허용된다. 2012 철원군 기본통계에 따르면 농업진흥지역으로 지정된 곳은 농업진흥구역 1만4383㏊와 농업보호구역 290㏊ 등 모두 1만4673㏊에 이른다. 지역내 읍·면별 농업진흥지역 지정 현황을 보면 동송읍 6316㏊, 철원읍 3145㏊, 갈말읍 1758㏊, 김화읍 1564㏊, 근남면 1157㏊, 서면 425㏊, 근북면 308㏊ 등이다. 특히 농로 등 기타농지를 제외한 논 1만821㏊, 과수원을 포함한 밭 2587㏊ 등 1만3408㏊의 농지면적 중 1만1716㏊인 87.4% 가 농업진흥지역으로 묶여 있다. 전국 47.6% 와 강원도 36.0%에 비해 배의 수준에 가깝다.
농업진흥지역 해제는 △2008년 농업진흥지역 보완정비-갈말읍 문혜리 8.9㏊ △2010년 플라즈마일반산업단지 지정-근남면 사곡리 51.6㏊ △2010년 철원군 군관리계획 재정비-갈말읍 신철원리 3.8㏊ △2011년 철원군 군관리계획 결정-철원읍 외촌리 2.7㏊ 등을 포함해 현재까지 372.2 ㏊에 불과하다.
■ 규제와 문제점
규제로 인한 핵심은 영농 및 주민생활불편, 지역발전 및 경제활성화 걸림돌로 정리할 수 있다. 군사시설보호구역 해제 및 규제완화는 양지리 군부대 민간인 통제소의 북상이전이 13년만에 이뤄졌듯이, 군부대의 적극적인 동의없이는 불가능하다. 물론, 군 지휘관 변경때마다 미묘한 작전개념 변경으로 인한 일관성 결여도 한 몫하고 있다. 농업진흥지역도 ‘절대농지’로 불리는 농업진흥구역으로 지정된 이상, 관련기관 등의 절대적인 협조가 없이는 해제가 어렵다. 사실, 군사시설보호구역 중 통제보호구역과 농업진흥지역 중 농업진흥구역은 공통점이 있다. 지역개발 행위가 어려우면서 지역발전의 족쇄역할을 하고 있다는 점이다. 접경지역이 낙후를 면치 못하고 있는 상황에서 각종 통제는 지역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다양한 정책을 가로막고 있다. 그동안 주민들은 ‘규제 완화·해제’를 꾸준히 요구해 오고 있다. 예로서 관전리 민간인 통제소 북방만해도 농경지가 1000여㏊에 이르면서 농사철 출입농가들의 통행이 잦은 곳이다.
노동당사~구 철원역을 잇는 이 구간에는 제2금융조합 건물, 얼음창고, 금강산 전기철도 등의 근대문화유산이 산재해 있다. 주민들이 농사편의 및 지역경제활성화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이유다. 경원선 철도복원 등을 계기로 수도권 등지로부터 지역을 찾는 관광객들의 편익증진도 고려해야 한다. 수십년째 주민들의 재산권 행사 제약은 고사하고, 한탄강 종합개발과 철원 평화의 시 건설, 첨단 플라즈마 단지 조성, 도시민유치 사업 등의 굵직한 사업도 한계에 봉착해 있는 가운데 ‘떠나는 농촌’ 이 되고 있다.
■ 성과 및 대책은
동송읍 민통선 북방 양지리 군부대 민간인통제소가 지난해 7월 1㎞ 북방인 연주고개로 이전했다. 양지리가 40년만에 민통선 규제에서 벗어나면서 504만7122㎡가 규제 완화의 혜택을 보게 됐다. 올해 근남면 마현리 군부대 민간인통제소도 60여년만에 사라졌다. 주간에는 CCTV를, 일몰 이후 야간에는 통제소를 운영키로 합의했다. 주간만이라도 민통선을 거쳐 철원, 화천, 춘천 등 양방향으로 오가는 주민 및 관광객 불편 등이 해소됐다. 군은 올해 서면·근남면 등 555필지(129만2405㎡)와 철원읍 사요리, 중리, 월하리, 관전리(노동당사 일대) 등 1139필지(120만275㎡) 등에 대해 제한보호구역으로 변경을 추진하고 있다. ‘전면해제’ 보다는 최소한의 지역발전 기대 및 생활불편 해소를 도모할 수 있는 ‘제한보호구역 또는 행정위탁으로의 규제 완화’ 에 우선 중점을 두고 있다. 더불어 농촌진흥지역도 지적도상 잘못표기 돼 온 갈말읍 지포리 288번지외 12필지 1만8372㎡ 에 대해 농업진흥지역 정정계획 공고를 내는 등 해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또 잘못 지정됐거나 산지나 임야 등은 해제하기 위해 힘쓰고 있다. 지난해 5월에는 농지법 개정 요청을 통해 도시지역 중 녹지지역내 농업진흥지역 해제를 건의했으며, 지역 개발계획 수립시 농업진흥지역을 최대한 해제하는 쪽으로 방향을 잡고 있다.
앞으로 민·관·군간의 지속적인 대화가 이뤄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정부와 관련 부처와의 긴밀한 협의가 필요한 사안이면서 타지역과의 형평성 등도 고려해야 하는 만큼, 지역 규제완화·해제가 필요한 당위성을 마련해야 하는 것이 선결과제이기도 하다. 철원/진교원 kwchine@kado.net
군사시설 보호구역 완화 조치
2007년 생창리 5초소 북상이전
2008.4.15 갈말읍 군탄2리 전면적 행정위탁구역 2층 8m이하로 변경
2008.9.22 근남면 육단리 수피령고개 일대 제한보호구역으로 일부 변경
2009.5.4 철원읍 대마리·율이리·사요리 행정위탁 및 고도완화 협의
2009.5.7 서면 와수리·자등2리·사곡2리 행정위탁 합의
2009.5.11 갈말읍 동막리·내대리,동송읍 이평리 6사단 행정위탁 및 고도완화 합의
2010.8.23 갈말읍 군탄리·강포리 고도완화
2010.9.8 김화읍 청양리·학사리·와수리, 갈말읍 지경리 행정위탁 및 고도완화
2010.9.27 철원읍 월하리, 동송읍 이평리·오지리·상노리 행정위탁
2011.1.24 철원읍 율이리 행정위탁
2012.1.2 갈말읍 지포리·군탄리 행정위탁 및 고도완화
2012.7.25 동송읍 하갈리·양지리 제한보호구역으로 일부변경(민통선 북상조정)
2013.3.1 김화읍 용양리~근남면 마현리 말고개 주간 검문 해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