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행2:1
오순절에 성령이 강한 바람과 불로 기도하는 신자들에게 임했고, 그들이 여러 언어로 하나님의 일을 말했습니다. 놀라운 일이지만, 그 일 이후 이천 년이 지났음에도 세상은 여전히 죄악으로 가득 차 있습니다. 그렇다면 성령의 첫 임재는 무슨 의미이고, 신자는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 On Pentecost, the Holy Spirit came to the faithful praying with strong winds and fire, and they spoke of God's work in many languages. It's surprising, but even two thousand years after that, the world is still full of sin. So what does the first coming of the Holy Spirit mean, and how should believers live?
-
오순절은 유월절, 장막절과 더불어 이스라엘의 중요한 3대 절기 중의 하나입니다. 오순절이라는 단어는 50일 째의 절기라는 뜻인데, 유월절 이후 50일을 가리킵니다. 기독교 절기로 말하면 유월절은 부활절과 일치하고, 오순절은 성령강림절과 일치합니다. 오순절에 예수님의 제자들을 비롯한 초기 기독교의 구성원들이 한 곳에 모였습니다. Pentecostal is one of the three important seasons in Israel, along with Passover and serpentine. The word Pentecostal means the 50th season, meaning the 50th day after Passover. In terms of Christianity, Passover coincides with Easter, and Pentecostal is coincident with the Advent of the Holy Spirit. Early Christian members, including Jesus' disciples, gathered in one place on Pentecost.
-
행 1:15절에 따르면 그들은 대략 120명이었습니다. 그들은 예루살렘에 있는 마가 요한의 어머니 집에서 정기 모임을 열고 있었습니다. 당시 이들이 처한 상황은 녹록지 않았습니다. 자기들이 스승으로 모시고 있었던 예수님이 로마법에 의해서 십자가 처형을 당하고 얼마 지나지 않은 때였습니다. 예수님의 제자들은 예수님의 십자가 처형 직후에 각각 고향으로 흩어졌다가 예수님의 부활을 경험하고 다시 모이기 시작 했습니다. According to line 1:15, they were approximately 120. They were holding regular meetings at the mother's house of Maga John in Jerusalem. At that time, the situation was not easy for them. It was not long after Jesus, whom they had served as their teacher, was executed by the Roman law. The disciples of Jesus scattered to their respective hometowns shortly after the execution of Jesus' cross, and began to gather again after experiencing his resurrection.
-
부활 후 주님은 40일 동안 제자들에게 이따금 나타나시다가 이후로 사라지셨습니다. 이제 제자들은 더 이상 예수를 직접 경험할 수 없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교회가 설립되고 유지되기는 불가능합니다. 어떤 특별한 사건이 없었으면 교회는 시작도 못했고, 유지되지도 못했을 겁니다. 그 특별한 사건이 일어난 날이 바로 오순절입니다. After the resurrection, the Lord appeared occasionally to his disciples for 40 days and has since disappeared. The disciples could no longer experience Jesus in person. Under these circumstances, it is impossible for a church to be established and maintained. The church would not have started or would not have been maintained without any special events. It was Pentecostal on the day of the special event.
-
누가는 오순절 날 있었던 특별한 현상을 생생하게 보도합니다. "홀연히 하늘로부터 급하고 강한 바람 같은 소리가 있어 그들이 앉은 온 집에 가득하며" 그들이 모인 곳은 외부와는 단절된 다락방이라는 실내 공간입니다. 옛날에는 지금처럼 유리로 된 창문도 없었습니다. 거기에서는 하늘이 보이지 않습니다. 여기서 말하는 하늘은 실제 하늘이 아니라 하늘이라는 단어가 가리키고 있는 특별한 사건입니다. Someone vividly reports on a special phenomenon on Pentecostal Day. "There is a sudden, strong wind-like sound from the sky, so the whole house where they sit is filled with space called an attic," where they were cut off from the outside. Back in the old days, there were no glass windows like now. You can't see the sky from there. The sky here is not really the sky, but the special event that the word sky indicates.
-
고대 이스라엘 사람들에게 하늘은 궁극적인 생명이 은폐되어 있는 곳으로 알려져 있었습니다. 급하고 강한 바람 같은 소리가 온 집에 가득했다고 합니다. 본문이 더 이상 자세하게 묘사하지 않아서 그게 무슨 현상인지를 우리가 정확하게 알아낼 수는 없습니다. 다만 그들이 바람이라는 단어로 표현한 어떤 것을 경험한 것만은 분명합니다. To ancient Israelis, the sky was known as the place where the ultimate life was hidden. It is said that the whole house was filled with sounds like urgent and strong winds. We cannot accurately figure out what the phenomenon is because the text does not describe it in more detail. However, it is clear that they have only experienced something expressed in the word wind.
-
바람이라는 뜻의 헬라어는 ‘프노에’입니다. 프노에는 영을 가리키는 프뉴마와 어근이 같습니다. 프노에는 단순히 바람이라는 뜻인데 반해서 프뉴마에는 영, 힘, 숨, 그리고 바람이라는 포괄적인 뜻이 있습니다. 고대인들에게 바람은 지구에서 가장 신비한 현상이었습니다. 보이지는 않지만 구체적인 힘으로 존재하는 현상입니다. 어떤 때는 부드럽게, 어떤 때는 강력하게 경험됩니다.
The Hella word for wind is 'Pnoe.' Pnoe has the same root as Pnoe, which refers to zero. Pnoe simply means wind, while Pnoe has a comprehensive meaning of zero, force, breath, and wind. To ancient people, wind was the most mysterious phenomenon on Earth. It is an invisible but concrete force that exists as a phenomenon. Sometimes it is experienced smoothly and sometimes it is powerful.
-
따뜻하기도 하고 차갑기도 합니다. 갑자기 나타났다가 갑자기 사라지기도 합니다. 사람은 어머니 자궁에서 나오면서 숨을 쉬기 시작해서 죽으면 숨을 그칩니다. 봄기운에 따뜻한 바람이 불면 들판과 숲에 온갖 식물이 돋아납니다. 생명을 만들어내는 신기한 능력입니다. 고대인들만이 아니라 현대인들에게도 바람은 신비롭습니다. It is both warm and cold. It appears suddenly and then disappears. A person exits the mother's womb and begins to breathe and stops breathing when he dies. When the warm wind blows in the spring energy, all kinds of plants sprout in fields and forests. It is a fascinating ability to make life. The wind is mysterious not only to ancient people but also to modern people.
-
지구에 바람 현상이 시작 되었다는 사실 자체가 놀랍습니다. 공기가 없는 곳에는 바람이 없습니다. 에베레스트 산처럼 공기가 희박한 높은 산에는 바람도 약합니다. 새들이 날아다니는 모습도 제 각각입니다. 새가 날아다닌다는 것은 바람과 하나 될 때 가능합니다. 바람이 지구의 생명을 가능하게 하는 원천이라면 바람을 하나님이라고 해도 틀린 말이 아닙니다. The fact that wind phenomena have begun on Earth is amazing. There is no wind where there is no air. Wind is also weak on high mountains where the air is thin, like Mount Everest. The way birds fly is also each of me. It is possible for birds to fly when they become one with the wind. If wind is the source of life on Earth, it is not wrong to say that wind is God.
-
시인이라면 그렇게 불러도 됩니다. 우리는 기독교인이기에 하나님의 통치, 하나님의 존재방식이라고 하는 게 낫습니다. 성서가 영과 바람을 같은 것으로 보았다는 사실에서 이런 말은 틀린 게 아닙니다. 행 2:2절의 바람에 대한 이야기는 오순절 마가 다락방에 모였던 그들에게 생명의 가장 원천적인 힘이 나타났다는 뜻입니다. If you're a poet, you can call it that. Since we are Christians, it is better to call it God's rule, God's way of being. This is not wrong in the fact that the Bible viewed the Holy Spirit and the wind as the same. The story of the wind in line 2:2 means that the Pentecostal Maga showed the most fundamental power of life to them who gathered in the attic.
-
"마치 불의 혀처럼 갈라지는 것들이 그들에게 보여 각 사람 위에 하나씩 임하여 있더니(3)" 불 자체라고 말하지는 않고 불의 혀처럼 갈라지는 것들이라고 했습니다. 2절에서도 바람 자체라고 말하지 않고 바람 같은 소리가 있었다고 표현한 것과 비슷한 표현입니다. 실제로 불이 나타났다면 마가 다락방은 화재가 났겠지요. "I could see things that split like a fire's tongue and stood one on top of each person (3)," he said, not fire itself, but those that split like a fire's tongue. In verse 2, it is similar to the expression that there was a sound like wind, not the wind itself. If a fire had actually appeared, Maga's attic would have been on fire.
-
고대 이스라엘 사람들에게 불은 바람과 마찬가지로 하나님의 능력을, 곧 하나님의 임재를 가리키는 메타포입니다. 모세도 호렙 산에서 불붙는 가시떨기에서 하나님을 경험했습니다. 불은 모든 사물을 변형시키는 능력입니다. 존재하는 것들을 말살 하기도 합니다. 산불은 산의 모든 것을 초토화시킵니다. 그러나 불이 없다면 지구의 생명 현상은 불가능합니다. For the ancient Israelites, fire is a metaphor for God's power, or God's presence, just like the wind. Moses also experienced God in the thorns that set fire on Mount Horeb. Fire is the ability to transform everything. It also exterminates what exists. Wildfires devastate everything in the mountains. But without fire, life on Earth is impossible.
-
태양이 곧 불입니다. 마가 다락방에 모였던 120명의 사람들에게 생명의 가장 원초적인 능력인 불이 임했다는 말은 2절에 묘사된 바람과 마찬가지로 그들이 생명의 가장 큰 능력을 경험했다는 뜻입니다. 1. 청각적(홀연히 하늘로부터 급하고 강한 바람 같은 소리가 있어 저희 앉은 온 집에 가득하며) 2. 시각적(불의 혀 같이 갈라지는 것이 저희에게 보여 각 사람 위에 임하여 있더니)
The sun is fire. To say that fire, the most primitive power of life, came to the 120 people gathered in the attic, means that they experienced the greatest power of life, just like the wind described in verse 2. 1. Auditory (all of us filled our sitting house with the sound of a sudden, strong wind from the sky) 2. Visual (we could see that it was splitting like a fire's tongue, so we stood on top of each person)
-
결국 사도들은 “저희가 다 성령의 충만함을 받고 성령이 말하게 하심을 따라 다른 방언으로 말하기를 시작 하니라(4). “오순절 성령강림은 선지자 요엘의 예언을 성취한 사건으로 예수그리스도의 부활 승천의 결과입니다. 성령이 오신 것을 보며 그리스도의 구속 사역 중 성육신을 마감하고 왕위에 오르신 것을 깨달아야 할 것입니다. In the end, the apostles said, "We all begin to speak in different dialects as we receive the fullness of the Holy Spirit and let the Holy Spirit speak (4)." The advent of the Pentecostal Holy Spirit is an event that fulfilled the prophecy of Joel, the prophet, and is the result of the resurrection of Jesus Christ. Seeing the coming of the Holy Spirit, you will have to realize that you have come to the throne after the end of the Holy Spirit.
-
현장 리포터 누가의 보도에 의하면 베드로는 특별한 경우에 특정한 사람에게만 한정적으로 허락된 예언과 꿈이 허락 되던 옛 시대가 가고, 성과 계급, 나이를 초월하여 하나님 뜻을 계시하는 일에 참여 하는 새 시대가 도래되었음을 데몬 스트레이션 한 것 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당연히 오순절은 십자가와 부활이 되풀이 될 수 없는 것처럼 단회적인 사건이라고 봅니다. According to a report by Field Reporter Nuga, Peter is a demonstration of the passage of the old days when prophecies and dreams were allowed only to certain people on special occasions, and a new era of participation in the revelation of God's will across sex, class, and age has arrived. Naturally, Pentecostal is a one-off event, just as the cross and resurrection cannot be repeated.
-
바람과 불이라는 메타포를 통해서 사도행전 저자인 누가가 말하려는 핵심이 4절에 기록 되어 있습니다. 이것이야말로 교회가 역사에 등장하고 계속 유지될 수 있었던 토대입니다. 그들이 다 성령의 충만함을 받고 성령이 말하게 하심을 따라 다른 언어들로 말하기를 시작하니라. 이 구절은 두 가지 사실을 보도합니다. 하나는 거기 모인 120명이 성령의 충만 함을 받았다는 사실입니다.
The core of what Nuga, the author of the Acts of the Apostles, is trying to say through the metaphor of wind and fire, is recorded in verse 4. This is the foundation for the church to appear and continue to exist in history. They all begin to speak in different languages as they receive the fullness of the Holy Spirit and let the Holy Spirit speak. This verse reports on two facts. One is that the 120 people who gathered there were filled with the Holy Spirit.
-
성령은 거룩한 영이라는 뜻입니다. 그렇다면 거룩하지 않은 영도 있다는 말이 됩니다. 생명을 고착화하거나 훼손하거나 파괴하는 영은 악한 영입니다. 겉으로 아무리 세련된 것처럼 보여도 악한 영은 생명을 파괴합니다. 악한 영과 거룩한 영이 눈에 보이게 나타나는 게 아니라 판단하기가 어렵긴 합니다. 꾸준히 공부하고 자기를 성찰하고, 세상과 역사를 선지자의 눈으로 통찰해야 합니다.
The Holy Spirit means a holy spirit. If so, it means that there is a spirit that is not holy. An evil spirit is a spirit that adheres, damages, or destroys life. No matter how sophisticated it may appear on the outside, an evil spirit destroys life. It is difficult to judge evil and holy spirits because they do not appear visible. You must constantly study, reflect on yourself, and gain insight into the world and history through the eyes of a prophet.
-
가장 중요한 것으로는 성경과 신학이 말하는 성령에 대한 이해를 심화하는 일입니다. 진짜 보석을 알고 있어야만 가짜 보석을 구분할 수 있는 것와 같습니다. 우리가 예배를 드리고 성경을 공부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습니다. 성령을 받았다는 말은 바꾸면 생명의 영을 받았다는 뜻입니다. 생명의 영은 말 그대로 살리는 영입니다. 살린다는 말은 죽었다는 말에 대립 됩니다. 죽었다는 말과 살았다는 말이 어떻게 다른 지를 생각해보십시오.
The most important thing is to deepen your understanding of the Holy Spirit, which the Bible and theology speak of. It's like you need to know the real jewels to distinguish fake ones. This is why we worship and study the Bible. To say that you have received the Holy Spirit means that you have received the spirit of life. The spirit of life is literally the spirit of life. The word "save" is opposed to the word "dead." Think about how the word "dead" and "living" are different.
-
일단 사람만 보면 죽은 사람과 산 사람이 분명히 구분됩니다. 숨이 멈추고 심장이 정지되고 뇌파가 나오지 않으면 죽은 겁니다. 죽음에 가까이 가는 사람을 살려내는 의사들의 일은 분명히 성령의 일입니다. 그러나 아무리 뛰어난 의사라고 하더라도 죽음을 완전히 막아내지는 못합니다. 그 시간을 조금 늦출 뿐입니다. Once you look at a person, you clearly distinguish between the dead and the living. If you stop breathing, your heart stops, and your brain waves don't come out, you're dead. It's definitely the Holy Spirit's job for doctors to save people who are close to death. However, no matter how good a doctor is, it cannot completely prevent death. It only slows it down a little.
-
죽은 사람을 실제로 다시 살리는 일은 현재와 같은 시간과 공간의 결합으로 진행되는 세상에서는 일어날 수 없습니다. 기독교는 궁극적인 생명으로 변화하는 부활 신앙을 받아들입니다. 이것이 진정한 의미에서 죽음으로부터 살아나는 것입니다. 그래서 우리는 세상을 향해서 하나님을 믿고 예수를 믿으라고, 그러면 생명을 얻는다고 용감하게 선포하고 있습니다. The real life of the dead cannot happen in the present world where time and space are combined. Christianity accepts the resurrection faith, which turns into the ultimate life. This is the real life from death. So we are bravely proclaiming that if we tell the world to believe in God and believe in Jesus, we will get life.
-
그러니 성령에 충만하게 되었다는 말은 모든 죽음의 세력에 저항하겠다는 결단이기도 합니다. 어떤 이들은 성령 충만을 개인의 열광적 신비 체험 정도로 그 의미를 축소시킵니다. 그런 부분도 없진 않지만 성령이 가리키는 신구약성경 전체의 맥락에서 보면 성령 충만은 악한 시대정신에 대한 저항을 전제합니다. 개인과 사회와 국가, 문명 전체에서 성령의 일과 반대되는 일이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Therefore, the word "full of the Holy Spirit" means a determination to resist all forces of death. Some reduce the meaning of the fullness of the Holy Spirit to the level of an individual's enthusiastic experience of mystery. It is not without that, but in the context of the entire New and Old Testament indicated by the Holy Spirit, the fullness of the Holy Spirit presupposes resistance to the spirit of the evil times. This is because the opposite of the work of the Holy Spirit occurs in individuals, society, the state, and civilization as a whole.
-
예수가 로마 총독인 본디오 빌라도에게 고난을 당했다는 사도신경의 한 대목에서도 확인할 수 있듯이 초기 기독교는 로마 제국의 잘못을 공개적으로, 예전 적으로 따졌습니다.'팍스 로마나’(로마의 평화)에 대항해서 ‘팍스 크리스티’(그리스도의 평화)를 외쳤습니다. 전쟁과 정복과 분열의 질서가 아니라 평화와 희생과 일치의 질서를 주장한 겁니다. As can be seen from a passage from the Apostolic Nectar that Jesus was tortured by the Roman Governor-General Bondio Vilado, early Christianity openly criticized the Roman Empire for its wrongdoings. It called for "Paxchrist" against "Pax Romana." It was not an order of war, conquest and division, but an order of peace, sacrifice and unity.
-
그들의 외침을 단순히 인간 개혁과 세상 개혁으로 보면 곤란합니다. 개혁은 필요하지만 그것으로 근본 문제가 해결되는 게 아닙니다. 루터의 종교개혁 운동과 그 이후의 전개 과정을 보십시오. 종교개혁의 후예들인 개신교회가 오히려 이제는 가톨릭교회보다 더 보수적인 집단이 되었고, 더 반동적인 집단이 되었습니다. It is difficult to see their cries simply as human and world reform. Reform is necessary, but it does not solve the root problem. Look at Luther's Reformation Movement and its subsequent development. Protestantism, the descendants of the Reformation, is now more conservative and more reactionary than the Catholic Church.
-
근대 세계 역사에서도 뭔가 근본적인 개혁을 꿈꾸었던 공산당 혁명이 일어났지만 그것도 역시 실패했습니다. 성경과 기독교는 생명을 살리는 일이 하나님에게 속했기 때문에 그 하나님의 일에 참여 하려면 우선 성령을 받아야 한다고 말하는 겁니다. 마가 다락방에서 모였던 120명의 경험이 바로 그것이었습니다. In modern world history, the Communist revolution that dreamed of some fundamental reform took place, but it also failed. The Bible and Christianity say that life-saving work belonged to God, so you must first receive the Holy Spirit to participate in God's work. That was the experience of 120 people who gathered in the attic.
-
두 번째 현상은 거기 모인 사람들이 성령에 이끌려서 ‘다른 언어’를 말하게 된 것입니다. 소위 말하는 방언입니다. 그런데 본문에 나오는 방언은 다른 사람들이 알아들을 수 없는 언어가 아니라 일정한 사람들이 알아듣는 언어였습니다. 뒤로 이어지는 이야기에 따르면 여러 나라에 흩어져 살던 디아스포라 유대인들이 성지 순례 차 예루살렘에 와서 이 사람들에게서 나타난 방언 현상을 보고 이상하게 여겼다고 합니다. The second phenomenon is that the Holy Spirit led the gathered there to speak a 'different language'. It is the so-called dialect. However, the dialect in the text was not a language that others could not understand, but a language that a certain number of people could understand. According to the following accounts, diaspora Jews scattered across the country came to Jerusalem on a pilgrimage to the Holy Land and found it strange to see the dialect phenomenon among these people.
-
마가 다락방에 모인 예수 추종자들은 대부분이 갈릴리 출신이라 당연히 아람어로 말을 하는데 듣는 사람들은 각자 자기들이 살던 나라 말로 듣게 되었습니다. 말하자면 제가 한국말로 기도하는데, 그게 미국 사람에게는 영어로, 독일 사람에게는 독일어로, 중국 사람에게는 중국어로 들린다는 것입니다. 리스 펙트! 이는 성령이 오심으로 하나님 나라가 유대를 넘어 땅 끝까지 전파될 것임을 보여 주신 것입니다. Most of the followers of Jesus gathered in Maga's attic are from Galilee, so of course they speak in Aramaic, but the listeners came to hear themselves in their own language. That is to say, I pray in Korean, which sounds English to the American, German to the German, and Chinese to the Chinese. Respect! This shows that the Holy Spirit will spread beyond Judea to the ends of the earth.
-
성령의 사람들은 세상 사람들과 전혀 다른 가치관으로 말하고 살아내는 사람이고 갈등하고 분열하고 파괴하는 언어가 아닌, 세우고 고치고 붙들어 주는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입니다. 이 대목에서 저는 또 좌절합니다. 오주여! 고쳐주옵소서. 창세기 11장에는 언어 혼란에 대한 상징적인 사건이 나옵니다. 노아 대홍수 후에 사람들은 높은 성을 쌓기 시작했습니다. 당시로서는 어마어마한 토목사업이었습니다. The people of the Holy Spirit are those who speak and live with completely different values from the people of the world, and who speak the language of setting, fixing, and holding, not that of conflicting, dividing, and destroying. This is where I get frustrated again. Oh my God! Fix it. Genesis chapter 11 features a symbolic event for language confusion. After the great flood of Noah, people started building high castles. It was a huge civil engineering project at the time.
-
여기에는 당연히 오늘의 국가 토목사업처럼 각종 이권이 개입되었겠지요. 하나님은 바벨탑을 불의한 것으로 판단하고 사람들의 말을 혼란에 빠뜨렸습니다. 오순절 마가 다락방에서는 다시 언어의 통일, 언어의 소통이 일어났습니다. 이것이 방언의 본질입니다. 그렇습니다. 기독교의 복음이야말로 보편 언어입니다. 생명을 생명답게 할 수 있는 소통의 언어입니다. Of course, various interests were involved in this, like today's national civil engineering project. God judged the Tower of Babel as unjust and confused people's words. In the attic of Pentecostal Maga, the unification of language and communication of language took place again. This is the essence of dialect. That's right. The gospel of Christianity is the universal language. It is a language of communication that can make life like life.
-
오늘 한국교회가 과연 그런 역할을 감당하고 있을까요? 교회는 영적으로 세상의 어른 역할을 하고 있을까요? 분열되어 있는 사람들에게 일치의 길을 제시할 수 있을까요? 남북 분단체제에서 통일의 길을 제시할 수 있을까요? 오히려 기득권에 안주하고 자기를 목적으로 삼으면서 어느 한쪽을 마녀 사냥 하듯이 매도하는 건 아닐까요? 교회가 생명의 영인 성령으로 충만하다면 당연히 언어 혼란을 극복하는 방언의 능력이 나타나야 합니다. Will the Korean church play such a role today? Is the church spiritually acting as an adult in the world? Can we present a way to unity to the divided? Can we present a way for unification in the division system of North and South Korea? Rather, isn't it just complacent with vested interests and self-targeted, blaming one side as if it were a witch hunt? If the church is filled with the Holy Spirit, the spirit of life, of course, the ability of the dialect to overcome language confusion must appear.
-
그게 없다면 성령을 오해했거나 아니면 개인의 황홀한 종교 경험으로 축소시킨 겁니다. 한편 예루살렘에 모인 디아스포라 유대
인들은 마가 다락방에서 일어난 현상을 보고 두 가지 반응을 보였습니다. 하나는 그들이 놀라고 당황스러워 했다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조롱했다는 것입니다. 적나라합니다. If they didn't, they either misunderstood the Holy Spirit or reduced it to an individual's fascinating religious experience. Meanwhile, the Diaspora Jews gathered in Jerusalem reacted in two ways when they saw what had happened in Maga's attic. One was that they were surprised and embarrassed, and the other was that they mocked. It's stark.
-
“다 놀라며 당황하여 서로 이르되 이 어찌 된 일이냐 하며 또 어떤 이들은 조롱하여 이르되 그들이 새 술에 취하였다 하더라(12,13) .“ 이 사람들이 보인 반응은 교회의 정체성에 해당됩니다. 교회가 교회다워지면 세상이 놀랍니다. 그것은 하나님의 일이 교회를 통해서 일어난다는 증거입니다. "저 교회에 다니는 사람들은 다 부자가 된데, 정말 대단해."하는 걸 말하는 게 아닙니다. 교회가 세상과는 다른 꿈을 꾸면서 살아갈 때 세상이 놀랍니다. "They were all surprised and panicked, and they said to each other, "What's going on?" Some people mocked them for saying that they were drunk (12,13)." Their reaction corresponds to the identity of the church. The world is surprised when the church becomes like a church. It is proof that God's work happens through the church. I'm not saying, "All the people who go to that church become rich. It's amazing when the church lives with dreams that are different from the world.
-
그것은 하나님의 통치를 기다리는 종말론적인 꿈입니다. 이런 꿈은 구약 선지자들을 통해서 내려왔으며, 예수 그리스도에게서 완성되었습니다. 더 축소해서 말한다면 죄인이 용납되는 세상을 향한 꿈입니다. 탕자의 비유에서 나온 것처럼 모범생 큰 아들만이 아니라 탕자처럼 살았던 둘째 아들까지 ‘죽었던 둘째가 살아 돌아왔으니 어찌 잔치를 베풀지 않을 수 있겠냐?’ 하는 아버지의 마음이 지배하는 세상을 향한 꿈입니다. 나에게는 그런 꿈이 남아 있는가? 성령의 임재는 어떤 의미이고 신자는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 It is an apocalyptic dream waiting for God to rule. This dream came down through the Old Testament prophets and was completed by Jesus Christ. To paraphrase it further, it is a dream for a world where sinners are accepted. As the prodigy's metaphor implies, not only the eldest son, a model student, but also the second son, who lived like a prodigy, is a dream for a world dominated by the father's mind, "How can we not have a feast now that the second son who died has returned alive?" Do I still have such a dream? What does the presence of the Holy Spirit mean and how should believers live?
-
오순절 성령 강림 사건(1-4)
a.한 곳에 모임:1
b.성령이 각 사람 위에 임함:2-3
c.성령 충만함을 받음:4
우리의 반응(5-13)
a.제자들의 말이 각국 방언으로 들림:5-6
b.듣는 무리가 듣고 놀람:7-8
c.유대인 청중의 출신지 나열:9-11
d.무리의 두 가지 반응:12-13
-
오순절 날이 이미 이르매(1a)
그들이 다같이(1b)
한 곳에 모였더니(1c)
-
홀연히 하늘로부터(2a)
급하고 강한 바람 같은 소리가 있어(2b)
그들이 앉은(2c)
온 집에 가득하며(2d)
-
마치 불의 혀처럼(3a)
갈라지는 것들이(3b)
그들에게 보여(3c)
각 사람 위에(3d)
하나씩 임하여 있더니(3e)
-
그들이 다 성령의 충만함을 받고(4a)
성령이 말하게 하심을 따라(4b)
다른 언어들로(4c)
말하기를 시작하니라(4d)
-
그 때에(5a)
경건한 유대인들이(5b)
천하 각국으로부터 와서(5c)
예루살렘에 머물러 있더니(5d)
-
이 소리가 나매(6a)
큰 무리가 모여(6b)
각각 자기의 방언으로(6c)
제자들이 말하는 것을 듣고(6d)
소동하여(6e)
-
다 놀라 신기하게 여겨(7a)
이르되 보라 이 말하는 사람들이(7b)
다 갈릴리 사람이 아니냐(7c)
-
우리가(8a)
우리 각 사람이(8b)
난 곳 방언으로(8c)
듣게 되는 것이 어찌 됨이냐(8d)
-
우리는(9a)
바대인과 메대인과 엘람인과(9b)
또 메소보다미아(9c)
유대와 갑바도기아(9d)
본도와 아시아(9e)
-
브루기아와 밤빌리아(10a)
애굽과(10b)
및 구레네에 가까운 리비야(10c)
여러 지방에 사는 사람들과(10d)
로마로부터 온 나그네(10e)
곧 유대인과(10f)
유대교에 들어온 사람들과(10g)
-
그레데인과 아라비아인들이라(11a)
우리가 다(11b)
우리의 각 언어로(11c)
하나님의 큰 일을(11d)
말함을 듣는도다 하고(11e)
-
다 놀라며 당황하여(12a)
서로 이르되(12b)
이 어찌 된 일이냐 하며(12c)
-
또 어떤 이들은(13a)
조롱하여 이르되(13b)
그들이 새 술에 취하였다 하더라(13c)
-
성령의 임재_ Immanuel of the Holy Spirit
사람들의 부정적 반응_ People's negative reaction_
성령의 일하심_the work of the Holy Spirit_
-
때가 무르익었을 때 성령의 은혜를 부어 주신 주님, 저희도 그 은혜를 입게 하소서. 온 우주에 충만하신 성령이시여, 또한 내 안에 계신 성령이시여, 저희의 존재를 온전히 사로잡아 주시어 이 땅에서 하늘을 보게 하시고 일상 속에서 신비를 보게 하시며 시간 속에서 영원을 누리게 하소서. 예주의 입술의 말과 생각을 지켜주옵소서. Let us receive the grace of the Holy Spirit when the time is ripe. O Holy Spirit, who is full of the whole universe, and O Holy Spirit in me, take full control of our existence so that we may see the sky on this earth, and see mystery in our daily lives, and enjoy eternity in time. Keep the words and thoughts of the lips of the LORD.
2024.5.3.fri.Cl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