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남편을 먼저 떠나보내고
해녀질로 물 숨 참으며
숨비소리 한번이
자식들의 연필이 되고
공책이 되어가며
참을 수 있었던 만큼의 행복은
간 곳 없이
"형…. 엄마가 암이래"
"지금, 이 상태론 수술도 힘들고
길어봐야 6개월이라며 집에 모셔서
맛있는 거나 많이 해드리라고 방금 의사가 말씀하고 가셨어요"
"그럼 간병은 누가하지?"
"난 간병 못 해요"
"저도 못 해요..
수빈이 학원 여섯 군데 따라 다니는 것만 해도 하루가 모자랄 판인데 간병할 시간이 어딨어요"
"그럼 요양병원으로 모시는 건 어때?"
"미쳤어 형!
요양병원에 매달 들어가는 돈은
어쩌고?
"어머니 집 있잖아요
그거 팔아서 하면 되겠네요"
이 세상에 하나밖에 없는
유일한 별이라고 말해주던
내 아들들의 입에서 나온 말을 병실 안에서 듣고 있던 엄마의 두 뺨에
흘러내리고 있는 눈물이
강이 되어 흐르다 하얗게 밝아온
다음날
'"엄마가 사라졌어.."
"병원에서도 모른대"
자식 없는 엄마는 있어도
엄마 없는 자식은 없다 했건만
엄마라고 애 터지게 부르던
그때의 내 자식들이 맞는지 ..
때가 되어야 분명해지는 것들이 주는
앎속에서 회한의 눈물을 머금고
떠나 간 엄마의 상처는 아랑곳없이
세상 이곳저곳을 찾아다니던 두 아들은 어둠이 먹칠한 하늘을 따라 사라진 엄마의 흔적을 쫓다 결국 경찰에 실종신고를 하기에 이르렀습니다
"5년 지나야 사망신고를 할 수 있대
그러려면 경찰에 실종 신고한 근거가 있어야 한대.."
"저도 알아봤는데 재산 상속을 받으려면 해놓는게 맞는 것 같아요"
"그리고 전단 같은 거 돌리는 것도
법적인 근거가 된대요"
"찾는 척이라도 해야지
주위 이목도 있는데..."
이런 자식들 키우느라 애터지게
내 목에 들어가는 물 한 모금
아껴가며 산 시간을 더듬어 보며
이름 모를 거리를
헤매다니고 있을 엄마의 슬픔은
타다만 종이 위 글자들처럼
까만 그을음으로 남겨지던
어느 날
자식을
먼저 떠나 보내지 않으면
부모가 버려진다는
세상 떠도는 이야기를 밑천 삼아
전단지를 들고 지하철 근처에서
뿌려대는 시늉을 해대던
두 아들 내외는
"형 밥 먹고 하자"
"일단 네 형수하고 뿌리는 거 사진이나 찍어줘"
"아…. 힘들어
이 짓 죽어도 못하겠다."
"애들 학교에서 오면 배고플 텐데
도련님 그냥 업체에 맡기는 게
어때요?"
지나면 희미해질 이 순간을
가슴에 담아 놓고 싶지 않았던
두 아들 내외 앞에
엄마의 이름 없는 날들이
37일째 흐르다 멈춰 서던 날
고시텔에서 쓰레기를 버리러 나오는 비슷한 사람을 봤다는 제보를 듣고 달려간 두 아들는
"엄마.."
"어머니"
"누구세요?"
본인들을 알아보지 못하는 엄마를 두고 마실 나간 바람을 따라 집으로 돌아온 두 아들은 소주잔을 사이에 두고 앉았습니다
"형..
차라리 잘 된 거 아냐"
"......"
"엄마 치매로 요양병원 입원시키고
법원에 후견인 신청해 이 집 처분하는 게 어때"
"내 생각도 그렇긴 한데.."
"형도 어차피 사업자금이 더 필요하잖아"
"나도 애들 유학 보내달라는 성화에
하루하루가 지옥같아"
"도련님..
뭘 복잡하게 그렇게까지 해요
어차피 얼마 못 사실 텐데.."
이 슬픔이 슬픔으로
끝나지 않기를 기도하며
멀어져 갔을 엄마의 아픔보다
자신들의 살길이
먼저인 두 아들 내외의 귀에
(((((((딩동))))))
"누구세요?"
"천마 복지재단에서 나왔습니다 "
"무슨 일로 오셨는데요?
"어머니 되시는 김복녀 여사께서
한달 전 이 집을 우리 복지재단에
기부하셨습니다"
"네에?"
새벽불 밝히고 서 있는 가로등을 디딤돌 삼아 엄마가 머물렀던 쪽방촌으로 찾아온 두 아들은
흐르는 물에는
뿌리내릴 수 없는 나무가 되어
사라진 자리에 놓여있는
손편지 위 열쇠를 뚫어지게
바라보더니
"미쳤군, 미쳤어..
그냥 조용히 죽지
왜 안 하는 짓을 하고 그래"
"엄마가 우릴 못 알아본 게 아니었어"
자식 사랑의 끝에서
다 타고 하얗게 재만 남은 것 같은
후회를 안고 멀어진 엄마가
선택한 건 행복이었다는 걸
모르는 두 아들은
"내가 죽었다는 소식이 들려오거든
그 열쇠 안에 있는 것과 함께
묻어다오"
죽음도
삶의 한 조각이라며
쪽지에 적힌 엄마의 마음보다
열쇠 하나를 뚫어지게 바라보던
두 아들은
삶의 무게를 쥐고 나간
엄마의 아픔을
가슴에 담아 놓기 싫은 듯
하얗게 밝아오는 새벽까지
술로 지워내더니
"형...
엄마가 우리에게 남긴 유산이 들어있는 열쇠 아닐까?"
"맞아요…. 설마 자식인데 아무것도 남겨주지 않으셨겠어요 "
"분명 땅문서나 유언장 그런 게 든
열쇠 같아요"
어디가 내가 버려질 곳인지
보이는 곳마다 지뢰밭 같은 불안을
안고사는 노인들의 이야기가
눈물이 되어
바다로 흘러갔을 엄마 보다
그 열쇠가
지하철 물품 보관함 열쇠란 걸
더 먼저 알아낸 두 아들 내외는
"설마 어머니가 자식들하고 손자들
한테 십 원도 안 남기고 다 줄리
없잖아"
라며
열어본 사물함에는
자신들이 돌리던 전단지 한 장이
덩그러니 놓여져 있었습니다
"내 아들들이 날 찾고 있구나.."
내 아들들이 찾고 있는 그 모습이
이승에서 느끼는
엄마의 마지막 행복이었다며
빨간
노을에 멍든 계절이 지는
어느 이름 없는 가을날을 따라
세상을 떠나가고 있었습니다
자식 사랑은
바람에 그린 그림이라는 ....
좋은글(노자규 글)
ㅡㅡㅡㅡㅡㅡㅡㅡㅡ
"난득호도(難得糊塗)"
'난득호도'는 중국인이 가장 많이 선호하는 가훈으로, "바보가 되기란 참 어려운 일이다." 라는 뜻이다.
지기를 낮추고 남에게 모자란 듯 보이는 것이 결국 현명한 처세가 된다는 중국인의 오래된 격언이다.
難得은 얻기 어렵다는 뜻이고 糊塗는 풀칠이니, 난득호도는 한 꺼풀 뒤집어써서 제대로 보지 못한다는 말로, 바보처럼 굴기가 어렵다는 의미이다.
총명한 사람이 똑똑함을 감추고 바보처럼 사는 건
참 어렵다.
‘난득호도’는 청나라 문학가이자 화가 서예가로 알려진 정판교(鄭板橋)가 처음 사용한 말이다.
"바보가 바보처럼 살면 그냥 바보지만,
똑똑한 사람이 때로는 자기를 낮추고 똑똑함을 감추고 바보처럼 처신하는 것이 진짜 똑똑이다" 라는 것이다.
"자신의 날카로운 빛을 감추고 겸손한 태도를 보인다"는 것이 어쩌면 동양 철학의 핵심인 것 같다.
요즘은 똑똑한 사람이 차고 넘쳐나는 세상이 되었다.
똑똑함을 내세운 사람들 끼리의 불협화음이 세상을 어지럽게 만들고 있어, 헛 똑똑이들의 세상이라 아니할 수 없다.
다들 저 잘난 맛에 사니, 지거나 물러서기 싫고, 손해보는 것은 죽기보다 싫다. 더 갖고 더 가지려다가 한꺼번에 모두 잃는다.
똑똑하다는 말은 참 듣기 좋은 말이지만, 세상살이는 총명 그 자체가 즐거움과 행복을 가져다 주지 못한다.
결국 난득호도의 어리석음이 총명함을 이긴다.
난득호도는 뛰어난 재능을 감추고 모자란 듯 바보처럼 살기가 더 어렵다는 뜻이다.
정말로 똑똑한 사람은 자신을 낮추고 상대방을 존중하며, 때론 침묵의 지혜를 선호하는 예의 바른 사람이 아닌가 싶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
친구(親舊)~!
애지중지.
(愛之重之) 키웠던
자식(子息)들
다 떠나니
내 것이 아니었다...!
꼬깃꼬깃
숨겨 놓은
옷장속
지폐(紙幣)들도
사용(使用) 하지않으니
내 것이 아니었다...!
긴머리칼 빗어 넘기며
미소(微笑)짓던 멋쟁이 그녀~!
늙으니
내 것이 아니었다...!
나는 서재(書齊)
아내는 거실(居室)
몸은 남이되고
말만 섞는 아내도
내 것이 아니었다...!
칠십인생
(七十人生) 살아보니
내 것은 없고
빚만 남은 빚쟁이처럼
디기 서럽고 처량(凄凉) 하다...!
내 것이라곤 없으니
잃을 것도
숨길 것도 없다...!
병(病)없이 탈없이 살아도
길어야 십년(十年) 이다...!
아 생각해보니 그나마도
좋은 건 친구(親舊) 였다...!
좋아서 손잡아 흔들어주고
웃고 말하며
시간(時間)을 잊게 해주니~
서로에게 좋은 말 해주고
기운(氣運)나게 하고
돌아서면 보고 싶고
그리운 사람들
그는 친구였다...!
친구야 ! 고맙다
잘 먹고
잘 살거라
부디 아푸지말고 오래 오래 보자구나...!
세상(世上)이 다 변(變)하여도
변함이 없는 건
오직 친구뿐이더라...!
건강(健康)은 몸을
단련(鍛鍊)해야
얻을 수 있고
행복(幸福)은 마음을 단련해야 얻을 수 있다...!
내면(內面)보다 외모(外貌)에 더 집착(執着)하는 삶은
알맹이보다 포장지(包裝紙) 가 비싼 물건(物件)과 같다...!
꿀이 많을수록
벌도 많이 모이듯
정(情)이 많을수록 사람도 많이 모인다...!
음식(飮食)을 버리는 건
적게 버리는 것이요
돈을 버리는 건
많이 버리는 것이고
인연(因緣)을 버리는 건
모두 버리는 것이다...!
입구(入口)가 좁은 병(甁)엔
물을 따르기 힘들듯
마음이 좁은 사람에겐
정을 주기도 힘들다...!
죽지 못해 살아도 죽고
죽지 않으려 살아도
결국(結局)엔 죽는다.
굳이 죽으려고 살려고 아둥바둥 애쓰지 마라...!
삶은 웃음과 눈물의 코바늘로
행복(幸福)의 씨실과
불행(不幸)의
날실을 꿰는 것과 같다~!
건강(健康) 가득한
멋진 시간(時間) 되시기를 기원(祈願)
합니다.
ㅡㅡㅡㅡㅡㅡㅡㅡ
◇ 볼링식 대화 vs 탁구식 대화
대화도 잘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대화 방식이 잘못되면
자칫 오해가 생기거나 관계가 깨지기 쉽습니다. 따라서 대화에도 기술이 필요합니다.
대화를 잘하기 위해서는 우선 볼링식 대화를 하지 않아야 합니다. 공을 굴려서 핀을 전부 쓰러뜨려야 이기는 볼링처럼 날 선 말로 대화 상대를 제압하려 해서는 안 됩니다.
그래서 볼링식 대화를 하는 사람들은 누구에게도 환영받지 못합니다. 상처받은 사람들이 하나, 둘 떠나고 나면 주위에는 아무도 남지 않을 것입니다.
반면 탁구식 대화는 좋은 대화 방법입니다. 서로 공을 주고받는 탁구처럼 혼자만 말하는 것이 아니라 상대를 배려하며 따뜻한 말을 주고받는 것입니다.
대화를 부드럽게 이어가기 위해서는 서로를 이해하려는 노력과 말로 상처 주지 않으려는 배려가 필요합니다. 이러한 탁구식 대화에서는 대화 상대 간의 신뢰와 정이 싹트게 됩니다.
understand(이해하다)는 under(밑에서)와 stand(서다)를 합한 단어입니다. 곧, 상대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상대보다 낮게 있어야 한다는 뜻입니다.
대화할 때도 마찬가지입니다. 자신을 낮추고 상대의 마음을 헤아린다면 대화를 성공적으로 이끌 수 있을 것입니다.
오늘도 기분좋은 하루보내세요!
첫댓글 부모는 자식의 거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