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심히 다 쓰고 등록 눌렀더니 로그인이 불안정하다나 뭐래나 다 날아갔음.... 두번째 도전.
원본이랑 겹치는 부분도 있고 하지만 많이 모르시는 것 같아서 그런부분 + ACE모드 추가 부분에 대해서 설명합니다.

지도1 : 노트에서 Group에 가시면 같이 묶여 있는 팀 인원에 대한 정보가 뜹니다. 맵에 따라 안되는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 됩니다. 여기서 팀원이 누구이며 몇 번인지 알 수 있습니다. 또 각 사람이름을 클릭하면 그 사람 장비도 볼 수 있습니다.
지도2 : GPS 자기위치의 좌표를 표시, 현재 994 103 위치에 있죠. 맵만들때 안넣어놓으면 안뜹니다.
지도3 : 가로좌표
지도4 : 세로좌표, 지도 좌표를 읽을 때는 가로, 세로 순으로 읽어줍니다. 맵을 작게 해놓으면 99, 10같은 맨 앞좌표만 나오고 맵을 크게 해 놓으면 더 자세한 좌표가 나옵니다.
지도5 : 대략 저 정도 길이가 50미터, 맵 크기에 따라 수치도 바뀝니다. 지금은 한 칸이 저 길이 두 배니까 약 100미터 되겠죠.
지도6 : 시계, 나침반 이것 역시 맵 만들때 안 넣어 놓으면 지도상에 안나옵니다. 하지만 게임화면 상에서는 각각 O키와 K키를 눌러서 볼 수 있습니다.

단축키 K를 이용해서 봅니다. K키를 두번 빨리 누르면 계속 켜져 있음.
나침반1 : NEWS , 각각 동서남북을 표시, 화살표가 북쪽
나침반2 : 우리가 흔히 쓰는 360도 방위각이 안쪽에 표시되어 있음.
나침반3 : 포병들이 쓴다는 360도 보다 더 자세한 mils단위가 바깥쪽에 표시되어 있음. 여기서는 6000mils

장비는 2개밖에 넣을 수 없습니다. ACE모드에서는 가방에 넣으면 추가 되지만 그래도 동시에 사용하는 것은 2개.
Binocular : 망원경은 별 바뀐것이 없죠. B키
NV Goggles : 야간투시경, N키이용 활성화, 야투경을 켜고 액션메뉴(마우스 휠 돌리면 나오는 메뉴, 이하 액션메뉴로 쓰겠음)
에서 Enable autoadjust......실행시켜주면 주변 광량에 따라 자동으로 감도를 조절해 줍니다. 수동으로 감도 조절하려면 Page up, Down키 이용.
Laser marker : 낙하산 다음에 더 자세히 설명
Parachute : 낙하산, 원본에서는 뛰어내리면 그냥 되었지만 ACE모드에서는 따로 장비해 주어야 함.

공수작전을 할 예정이거나 조종사를 믿을 수 없다면 항공기 탑승전 낙하산 장비는 필수, 안그러면 위와 같은 안타까운 상황을 만납니다.

항공기에서 뛰어 내린후 액션 메뉴에서 Pull ripcord실행, 그러면 위와 같은 화면이 나옵니다.
A,D키로 좌우 방향 조절하고 W, S키로 전후 방향조절합니다. 이 때 낙하지점을 향한 조종도 중요하지만 땅에 도착하는 순간을 예상한 Groun speed(진행속도), Descent Speed(하강속도)도 신경써야합니다. 콘트롤 신공으로 접지시에는 낮은 속도로 도착할 수 있게 잘 조종합니다. 안전하게 착륙했으면 액션메뉴에서 Cut Chute실행해 낙하산을 없애주면 완료.
맨위에 고도는 ASL이라 적혀있는 걸보니 해면 고도 같습니다. 그러니까 해수면보다 높은 곳에 착지할 때는 그 높이 만큼 감안해서 빼줘야 지면과의 고도가 나오겠죠.

레이저마커는 꼭 배터리를 챙겨야 합니다. 하나만 있어도 충분한 듯 한데 혹시 불안하신 분은 2개 챙기세요.
거리측정과 방위측정등 유용한 기능이 많기 때문에 Recon, Spotter, Leader등은 망원경보다는 레이저마커 장비하는게 좋을 겁니다. 실행은 액션메뉴에서 Laser marker를 실행하세요.

우측하단 : 어떤 단위를 선택하고 있는가를 표시해 줍니다. 아까 나침반때 말했던 6000mils가 선택되어 있죠. Degrees가 360방위입니다. 360방위가 더 익숙하니까 360방위로 통일합시다. R키로 변경하면 됩니다.
AZ : Azimut 방위, 나침반에서 읽는 것과 같은 방향입니다. 지금 6000mils단위에서 1500(90도)이니까 딱 동쪽이 되겠죠.
EL : Elevation 고도각, 지금은 수평이라 0입니다. 바로 머리위를 보면 +1500(90도), 바로 발 밑을 보면 -1500(-90도)이겠죠.
BAT : 배터리 유무표시.

목표를 조준하고 마우스 왼쪽을 누르면 XMT에 불이 들어오면서 아래 MLT에 거리가 나옵니다. 끌려면 다시 왼쪽클릭
지금 사람까지 거리가 300미터입니다. XMT에 불이 들어오면 레이저가 켜졌다는 뜻입니다.
추가로 지금 R키를 이용해 각도를 Degrees로 변경했더니 AZ에 90으로 수치가 바뀐것이 보입니다.

마지막으로 레이저마커의 중요한 기능한가지, 바로 항공기 유도입니다.
지상에서 레이저를 켜고 타겟을 조준하고 있으면 어떤 타겟을 말하는지 조종사가 알 수 있습니다.
조종사는 어느정도 거리(정확히는 모르겠고 대략 1500미터정도?)까지 접근해서 Tab키(락온키)를 눌러주면 위 화면과 같이 Laser target이라고 뜹니다. 이 타겟을 목표로 사격하시면 됩니다. 특히 AV-8에서 쓰는 GBU탄은 폭탄까지 유도가 됩니다.
성공여부는 투하시의 고도, 속도, 거리등 여러 조건에 따라 틀리겠죠.
원본에서는 AH-1, AH-6등 회전익기도 연동이 되었던 것 같은데 ACE 모드에서는 AV-8, A-10같은 고정익기만 되네요.

첫댓글 ㅎㅎㅎㅎ..... 초보분들이 보기 좋게 만드셨군요.... 수고 하셨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