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른 믿음은 희유함<금강경 제6분 정신희유분>
수보리가 부처님께 여쭈었다.
“세존이시여! 자못 어떤 중생이 있어 이와 같은 말씀이나 글귀를 듣고 진실한 믿음을 내겠나이까? ”
부처님께서 수보리에게 말씀하셨다.
“그런 말을 하지 말지니라. 여래가 열반에 든 후, 후오백세에도 계를 지키고 복을 닦는 이는
이 같은 글귀에 능히 신심을 내고 이를 진실로 여길 것이니라.”
“마땅히 알라. 이 사람은 한 부처님이나 두 부처님, 서너 다섯 부처님들께만 선근을 심은 것이
아니라, 이미 한량없는 천만 부처님 계신 곳에서 온갖 선근을 심었으므로 이 글귀를 듣고는
이에 한결같은 마음으로 깨끗한 믿음을 일으키는 사람이니라.”
“수보리여! 여래는 이 모든 중생들이 이러한 한량없는 복덕을 얻게됨을 모두 알고 모두 보느니라.
왜냐하면 이 모든 중생들은 다시는 아상, 인상, 중생상, 수자상이 없으며, 법이라는 생각도 없고,
또한 법 아니라는 생각도 없기 때문이니라.”
“왜냐하면 이 모든 중생들은 만약 마음에 어떤 상을 취하게 되면 곧 아상, 인상, 중생상, 수자상에
집착한 것이고, 만약 법이란 생각을 취해도 곧 아상, 인상, 중생상, 수자상에 집착하는 것이기
때문이니라. 왜냐하면 법이 아니라는 상을 취해도 곧 아상, 인상, 중생상, 수자상에 집착한 것이기
때문이니라. 그러므로 마땅히 법에 집착하지 말고 법 아닌 것에도 집착하지 말지니라.”
“이러한 까닭으로 여래는 항상 ‘너희 비구들이여! 나의 설법도 뗏목과 같은 줄을 알라’고 설한 것이다.
이렇게 법도 오히려 놓아버려야 하거늘, 하물며 법 아닌 것이랴.”
<금강경제6분 , 정신희유분(正信希有分)>
[출처] 바른 믿음은 희유함 <금강경>|작성자 일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