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카페 프로필 이미지
초가사랑
 
 
 
카페 게시글
합격수기(공무원) 2019 연구사 공채 원예 직류 합격수기입니다.
AONG 추천 5 조회 7,710 19.08.09 11:06 댓글 86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 작성자 20.07.04 16:01

    먼저 자료수집을 해야 할 것 같아요 응시하시는 직렬 기관의 업무보고 자료를 다운받으셔서 어떠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는지 찾아보고 농업관련 이슈들도 신문기사등을 스크랩해가며 정리해두시는 게 좋을 것 같네요 이와 동시에 인성면접 대비를 위해 공무원 면접책 등을 읽어보시는 것을 추천드려요:)

  • 작성자 20.07.04 16:03

    어느정도 배경지식이 쌓이신 후에는 직접 말해보는 연습을 해보세요!

  • 20.07.04 16:07

    아하 감사합니다! 혹시 스터디를 진행하는 데에 있어서도 팁 같은 게 있을까요??

  • 작성자 20.07.05 11:44

    스터디의 강점은 역시나 다른 직류 사람들의 생각을 들을 수 있다는 점 같아요. 주제발표 연습을 하더라도 각자의 관심분야가 다르다보니 풀어가는 내용이 달랐고 배경지식도 공유할 수 있어서 좋았던 것 같아요. 2주정도 스터디를 했는데 주당 2-3회씩 모였던 것 같아요. 그때마다 주제 1-2개를 정해서 발표연습해보고 남는 시간에 인성면접 답변을 준비해보는 식으로 진행했어요:)

  • 20.07.05 12:26

    아하 좋은 조언 감사합니다!!

  • 삭제된 댓글 입니다.

  • 작성자 20.07.24 22:05

    안녕하세요:) 작성한 종이를 면접안내해주시는 분께서 복사해주십니다 본인것과 심사위원분들것 포함해서요! 발표하실때 적은종이 보고하시되 심사위원분들과도 자주 눈 마주치고 하세요 좋은 결과 있기를 바라겠습니다!

  • 20.08.07 19:04

    혹시 면접때 석사나 실험경험에 관한 질문도 있었는지 궁금합니다!

  • 작성자 20.08.09 18:18

    직접적으로 물어보지는 않으셨습니다. 오히려 제가 실험내용을 어필하고 싶어서 일부 답변에 관련 내용을 덧붙였었는데, 기대했던 것과 달리 이에 대한 추가질문을 하시거나 하지는 않았습니다!

  •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20.10.08 20:29

  • 작성자 20.10.13 22:07

    제 짧은 소견으로는 원예원에는 분자실험을 하는 부서는 많지 않은 것 같습니다. 공무원 특성상 민원처리나 현안대응을 위해 특정 작물을 담당하게 됩니다. 그러다보니 한 분야 가령 분자웍 등을 깊게 파고들기보다는 해당 작물 관련 재배 병해충 육종 등 다양한 분야의 일을 하게 되는 것 같아요. 부서배치는 TO가 남는 곳들 중에서 그 해 들어오신 분들의 관심분야 및 경력 그리고 부서장의 의견 등을 종합해 이루어지는 것 같아요!

  • 작성자 20.10.13 22:09

    @AONG 생명공학 직렬은 제가 상황을 잘 몰라서 다른 분들께 조언을 구하시는 게 좋을 것 같아요!

  • 20.10.13 22:15

    @AONG 앗ㅎㅎ일년 넘은 글이라 기대 안 하고 댓글 썼는데 정성스럽게 답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분자 못할 각오하고 보는거긴 한데 그것 참 아쉽게 되었네요ㅜㅜㅜ

  • 작성자 20.10.13 22:22

    @초코머핀 분석장비 등은 있기 때문에 더 관심을 가지고 개인 시간을 투자하신다면 가능할 것도 같아요ㅎㅎ 다만 제 경우에는 다른 실험이나 재배 관리 때문에 분자웍 전공했음에도 아직까지 파이펫 한번 못만져봤네요... 무튼 그런 고민은 잠시 미루시고 준비하시는 시험 모두 좋은 결과 있기를 바라겠습니다:)

  • 삭제된 댓글 입니다.

  • 작성자 20.11.15 22:14

    두과목모두 정보가 많이 없어서 막막하긴 했습니다 양으로볼땐 확실히 통계학이 적지만 원예학은 재배학과 연계되는 부분이 있어서 부담이 그렇게 크지는 않았어요! 결정을 내리고 하루라도 빨리 공부하시는게 좋을것 같아요~

  • 삭제된 댓글 입니다.

  • 작성자 21.02.13 20:09

    입사동기 중에 지도사로 근무하다가 연구사 시험을 준비해서 붙은 친구도 있었습니다 미련이 계속 남으신다면 시험을 준비해보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만 고민하시는것처럼 위험부담이 커서 저도 쉽게 말씀드리기가 어렵네요ㅠㅠ 근무를 하시면서 공부를 병행해보는것도 고려해보세요 연구원으로 근무하면서 시험보셔서 공채로 연구사된 분들도 꽤 있더라구요! 물론 그만큼 더 마음 독하게 먹고 공부하셔야겠지만요!

  •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21.02.18 16:26

  • 작성자 21.02.20 10:34

    @햄찌랜드 결단을 내리셨군요! 저도 응원하겠습니다:) 좋은결과 있기를 바랄게요!

  •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21.05.13 22:50

  • 작성자 21.05.22 21:58

    @햄찌랜드 너무 답변이 늦지는 않았을지 걱정이네요 필기점수가 낮아도 합격한 분들도 있고 그 반대의 경우도 있으니 좋은결과가 있으리라 믿고 준비하시기 바랄게요ㅎㅎ 저는 최대한 많은 질문들에 대한 예상답변들을 적어봤던것 같아요 그리고 본인의 경험들을 작은 것들이더라도 최대한 나열해보고 그 경험에서 얻은것들 느낀것들도 꼭 정리해보세요! 하고싶은 연구도 고민해보시구요!

  •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21.06.04 16:08

  • 작성자 21.07.30 21:41

    @햄찌랜드 오랜만에 들어와서 확인이 늦었네요. 합격하실 것 같다는 느낌이 늘었는데 다행이네요. 저도 잘 부탁드려요:)

  •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21.04.12 10:59

  • 작성자 21.04.25 11:45

    원예 직렬의 경우 크게 육종과 재배 업무로 구분되며, 육종의 경우 대부분 1인 1작목을 담당하게 됩니다. 이 때 본인이 육종목표를 수립하고 과제를 수행해나가는 경우도 있지만 종자회사나 학교에서 요구하는 형질에 대한 연구를 주로 하게 됩니다. 한편 재배 분야의 경우 육묘, 시설 내 환경관리, 환경스트레스, 생육모델링 등의 업무를 수행하게 됩니다.

    다음으로 대학원 진학의 경우 발령지 근처의 학교를 가는 경우 또는 거리는 멀더라도 본인의 모교를 가는 경우가 있습니다. 다만 작목 선정이나 업무 분장에 있어서 본인의 의사가 반영되는 경우는 희박하기 때문에 업무에 투입된 후 본인이 맏게 되는 일과 가장 가까운 교수님들을 찾아뵙게 됩니다. 연구사로서의 업무를 수행하면서 학업을 병행하는 것이 생각보다 쉽지는 않네요. 도움이 되셨기를 바라겠습니다:)

  •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21.04.25 17:56

  • 작성자 21.04.27 11:57

    @Wisjdbdhej 도움을 청할 선배님들은 당연히 있습니다만 그분들도 맡고 계신 작목이 있다보니 본인의 과제는 오롯이 본인이 해결해나가야 합니다. 그렇지만 재배 및 육종과 관련된 기초적인 내용들은 충분히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대학원에서 실험설계상 도움을 받을 수는 있지만 본인이 직접 논문 프로토콜을 찾아가며 실험을 수행해야하는 것과 유사한 것 같네요ㅎㅎ

  •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21.04.28 14:38

  • 작성자 21.05.22 21:59

    @Wisjdbdhej 네 감사합니다:) 저도 응원하겠습니다 본인의 선택을 믿고 밀고나가시길 바랄게요!

  • 21.05.23 21:53

    안녕하세요! 면접 준비 하고 있는데 혹시 인성 질문이 어떤식이었는지 알수 있을까요?ㅠㅠ 면접관마다 다르겠지만 궁금하네요!ㅎㅎ

  • 작성자 21.07.30 21:38

    오랜만에 들어와서 확인이 늦었어요ㅠㅠ 좋은결과가 있으셨길 바라겠습니다!

  •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21.07.29 16:53

  • 작성자 21.07.30 21:40

    안녕하세요. 면접의 경우 농촌진흥청 단위로도 조사를 했던 것 같습니다. 농업 관련 이슈도 당연히 준비해야 하구요! 근무지는 음성-전주-나주-군위-함안-제주 등 다양합니다. 원예원 조직도를 보시면 알 수 있습니다. 한편 해마다 TO에 따라 전주와 전주 외 지역의 비율이 달라지는 것 같습니다. 도움이 되었길 바랄게요!

  • 21.07.31 17:57

    @AONG 네. 감사합니다! 많은 도움이 됐습니다^^

  •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22.02.26 14:13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