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10월 27일(수)
생명의 삶 Q.T. 묵상 - [다시 하나님 앞에]
●성경본문 : 욥기 13:20~28
욥은 자신의 처절한 상황을 가지고 비장하게 다시 하나님 앞에 섭니다.
우리 역시 때로 처절하고 비장하게 하나님 앞에 서야 하는 시간이 있습니다.
욥의 기도는 우리의 마음이 무너지고 상황이 절망적일 때, 어떤 모습과 마음으로 하나님께 나아가야 하는지를 보여줍니다.
욥은 하나님 앞에 나아가 서기 위해 두 가지를 요청합니다.
“곧 주의 손을 내게 대지 마시오며 주의 위엄으로 나를 두렵게 하지 마실 것이니이다” (13:21)
여기서 말하는 ‘주의 손’은 상처 입은 이들을 어루만져 낫게 하는 그런 손이 아닙니다.
새번역은 이 대목을 ‘나를 치시는 그 손’으로, 공동번역은 ‘당신의 주먹을 거두어 달라’고 번역하고 있습니다.
‘주의 위엄’이란 ‘주님의 진노’를 뜻합니다.
영어 성경(ASV)은 ‘thy terror'라고 번역했습니다.
과연 하나님의 하시는 일을 ‘테러’라고 할 수 있을지요! 욥의 심정이 잘 드러난 단어라고 할 밖에 없습니다.
“그리하시고 주는 나를 부르소서 내가 대답하리이다 혹 내가 말씀하게 하옵시고 주는 내게 대답하옵소서” (13:22)
욥에게 있어서 기도는 일방적인 것이 아니었습니다. 하나님과의 대화입니다.
기도의 가장 핵심적인 특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기도 시간에 우리가 아뢰기만 하고 하나님의 음성을 들으려 하지 않는다면 곤란합니다.
욥은 먼저 자기 죄목을 알려 달라고 요청합니다.
그는 형벌을 당한 것이라고 여길 수밖에 없는 상태였고, 그 원인을 도저히 이해할 수 없었기 때문입니다.
여기서 욥의 딜레마를 볼 수 있습니다.
‘의로우신 하나님이 이유 없이 자신을 징벌하실 리가 없다’와 ‘자신의 고통을 하나님의 형벌 외에는 설명할 길이 없다’와 ‘아무리 찾아봐도 나에게 형벌 받을 만한 이유가 없다’는 것입니다.
아마 욥은 죄와 허물로 하나님과의 관계가 깨어졌다고 본 것 같습니다.
하나님이 자신에게 얼굴을 가리셨다고 느껴졌기 때문입니다.
정신적 신체적 고통 못지않게 욥이 견딜 수 없는 것은, 이해할 수 없는 하나님의 침묵입니다.
차라리 그를 엄히 꾸짖어주시기라도 했으면 좋을 텐데 하나님은 묵묵부답이십니다.
하나님의 백성에게 하나님과의 단절은 다른 무엇과도 비교할 수 없는 고통입니다.
욥은 자신이 어렸을 때 지은 죄를 하나님이 다 기록해 놓고 계셨다가 그에 대한 형벌을 내리셨다고 탄식합니다.
자신의 행동을 하나도 빠짐없이 낱낱이 감시하시면서 죄를 찾아내려 하신다고 호소합니다.
하나님이 그렇게 대하신다면 결국 썩어서 사라져 버리게 될 것이라고 한탄합니다.
이런 부르짖음에는 자신을 긍휼히 여겨 달라는 절박함이 담겨 있습니다.
고통 가운데 드리는 기도는 절박할 수밖에 없습니다.
욥은 처참한 상황에서도 하나님께 나아가 기도했습니다.
비록 기도의 내용이 많이 바뀌기는 했어도 기도의 본질인 하나님과의 대화는 더욱 깊어졌습니다.
마음이 쑥대밭인데 기도가 나오겠나 싶지만, 그럴수록 욥처럼 주저함 없이 자기 마음을 정직하게 하나님께 쏟아 내십시오.
억지로 믿음 있는 기도를 하려고 하지 말고, 상한 마음을 있는 그대로 아뢰십시오.
하나님은 우리의 아픔과 슬픔과 고통, 마음의 쓴 뿌리와 상처와 가시까지도 다 아십니다.
하나님 앞에 주저하지 말고 마음에 있는 바를 정직하게 아뢰십시오.
하나님은 우리 아버지이십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