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낸셜뉴스] 영혼까지 끌어모아 대출을 받아 집을 사는 것을 ‘영끌’이라고 말한다. 2030세대를 통상 지칭하는 말이다. 그렇다면 이들은 무리하게 대출을 받아 집을 샀을까.
최근 한국부동산원에서 발간하는 학술지 ‘부동산분석’ 최신호에 ‘2030세대 영끌에 대한 실증분석’이라는 논문이 실려 눈길을 끌고 있다. 핵심은 실제 '영끌' 비중은 미미하고, 자기 자금 또는 부모로부터 거액을 지원 받아 주택을 매수한 경우가 많다는 것이다.
2030 영끌로 주택 구입?...3.8%에 불과
우선 2019년부터 제공되고 있는 연령대별 아파트 매입 통계를 보면 2030세대가 주택시장에서 영향력을 넓혀가고 있다. 2030세대 아파트 매입 비중을 보면 전국 기준으로 2020년에는 29.2%를 기록했다. 2022년 28.4%, 2023년 31.2%, 올 1~3월 29.9% 등을 보이고 있다. 서울의 경우 2020년 37.3%, 2021년 41.7%, 올 1~3월 35.2% 등 30%대 중반을 유지하고 있다. 2021년에는 10채 중 4채를 20대와 30대가 사들였을 정도다.
20대와 30대는 상대적으로 자본 축적기간이 짧다. 때문에 주택 구입자금의 대부분을 대출로 충당했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그런데 실제로는 무리하게 대출 받아 집은 산 2030세대가 적다는 것이다.
연구진은 영끌 기준을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이 ‘40% 초과’한 경우로 잡았다. DSR 40% 초과 의미는 매년 갚아야 할 원리금 상한액이 소득의 40%를 넘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DSR 40% 초과’ 영끌 매수자는 20대와 30대가 1778명(비중 3.8%)에 불과했다. 40대 이상 1865명(2.2%)과 차이가 거의 없다.
범위를 넓혀 DSR 기준을 30% 이상으로 하면 2030세대 영끌 매수자는 14.7%로 늘어난다. 50% 이상으로 하면 오히려 1.3%로 더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끌에 가려진 자산이전...더 커진 격차
자료 : '2030세대 영끌에 대한 실증분석' 논문
연구진은 “DSR 40% 기준으로 청년 세대의 영끌 매수자 비중은 5%에도 미치지 못한다”며 “30% 기준을 적용해도 10%대에 불과하다"고 분석했다. 한마디로 청년층에서 무리하게 영끌을 통해 집을 산 사례는 극히 드물다는 것이 핵심이다.
연구진은 오히려 20대와 30대의 경우 영끌 매수보다는 충분한 자기 자금을 갖추고 본인 입주용 주택을 구입했거나, 부모로부터 비과세 범위를 초과하는 지원금(증여)을 받은 매수자가 더 많다고 분석했다.
한마디로 영끌 이면에는 부의 대물림이 발견되고 있다는 것이다. 연구진은 “2020년 이후 주택시장에서 세대내 격차가 크게 나타났고, 비과세 한도를 뛰어넘는 자산 이전이 이뤄지고 있다"며 "하지만 영끌 담론에 가려져 거의 논의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
얼마 전 한국부동산원의 한국부동산연구원에서 부동산 광풍이 몰아치던 시기 20. 30 세대의 박탈감과 위기감을 부추기던 영끌이란 현상에 대해 분석한 논문이 발행되어 부의 대물림과 자산의 편중에 대해 생각해볼 거리가 많은 것 같아 공유드립니다.
최근 대학원 진학으로 바빠 카페 활동을 잘 못 하는데 회원님들이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시길 기원합니다~
첫댓글 결국 있는 넘들의 선동질? 사다리 걷어차기는 개뿔.
잘 읽었습니다
영끌프레임 이용한 언론들 농간질이 이렇게 드러나네요
대출은 기본이고 부모에게서 나오는 지원없이 수도권 및 서울 주요지역에서 5억-10억 이상되는 아파트를 매입한 2030이 실존할지 궁금하군요. 있다면 몇만명 중 몇명 비율이 아닐까 싶기도
2222
세대 갈등 운운하면서 갈라치던게 우익들 선전선동으로 보는게 맞을거같습니다.
그리고 대학원에 가셨군요. 건승하시길 빕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