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양인격 강의
♣ 陽刃者劫我正財之神. 乃正財之七煞也. 祿前一位. 惟五陽有之. 故爲陽刃. 不曰劫而曰刃. 劫之甚也. 刃宜伏制. 官煞皆宜. 財印相隨 尤爲貴顯. 夫正官而財印相隨美矣. 七煞得之. 夫乃甚乎. 豈知他格以煞能傷身. 故喜制伏. 忌財印. 陽刃用之. 則賴以制刃. 不파傷身. 故反喜財印. 忌制伏也. (파=心+白)
양인이란(陽刃) 나의 정재를 겁탈하는 것이다. 그래서 정재의 칠살이다. 양인은 건록에서 앞으로 한 번 전진한 것이다. 오직 오양간에만(五陽干) 양인이 있기 때문에 양인이라고 한다. 겁재라고 하지 않고 양인이라고 하는 이유는 재를 겁탈하는 작용이 심하기 때문이다. 양인은 마땅히 제복해야 하므로 정관이든 칠살이든 모두 좋다. 재와 인으로 관살을 보좌하면 더욱 귀하게 된다.
무릇 정관이 재와 인수의 보좌를 받으면 아름다운데, 칠살에게도 財印이 있으면 더욱 좋은 것은 왜일까? 다른 격국에서는 칠살은 나를 다치게 하는 자로 제복하는 것을 좋아하고 재와 인수를 꺼리지만, 양인을 쓸 때는 칠살에 의지해서 양인을 제복해야 하기 때문에 칠살이 나를 다치게 할 것을 두려워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오히려 재와 인수를 좋아하고 칠살을 제복하는 것을 꺼리는 것이다.
-> 일주 입장에서는 나를 치는 게 칠살이라면 정재 입장에서는 양인이 칠살이다. 양인살은 자신의 강함을 믿고 기세등등하여 사람들을 윽박지르는 난폭한 살이다. 하여 이 양인살을 제대로 다스리지 않으면 남들을 죽이는 일을 서슴지 않고 실행하는 살인 강도가 될 것인데 강도 살인자가 어찌 이 세상을 살 수 있으리요. 세상 사람들이 가만 놔두지 않을 것이다.
-> 비겁은 교제 협동이란 의미와 공동 분배란 의미와 경쟁 투쟁이란 세 가지 의미가 있다. 비견은 협동이란 의미가 더 강하다면 겁재는 분배와 경쟁이란 의미가 더 강한데 둘 다 같은 의미이다. 공동분배의 개념은 내가 돈이나 명예가 있으면 남에게 나눠주려 하고,(분배) 내가 없으면 남의 것을 나눠먹으려 하는 것이다.(겁탈) 겁재의 특성은 솔직 담백하다. 돈이 있으면서 없다고 거짓말하지 못하므로 남에게 돈이 있다는 것을 알려주고, 경쟁심으로 인해 쪽팔리는 것을 참지 못하여 빌려달라는 말에 치사하다는 소리를 듣기 싫어서 거절하지 못한다.
-> 陰刃은(丁火일주라면) 음간의 관대지란(未) 학설이 있고 제왕지란(巳) 학설이 있는데, 원당은 관대지를 음인으로 보고 있다. 陰刃도 陽刃만큼은 아니라도 아주 강력하다. 陽刃과 陰刃을 합쳐서 羊刃이라 한다. 양이 날카로운 뿔이 두 개 달려있는 것을 상징하는 것이 아닌가 한다.
-> 동해 서락오선생은 양인에 대해서 잘 모르고 있다. 이곳에서는 양인용살격에 인수가 좋다고 말하나 다른 곳에서의 설명을 보면 그것을 모른 채 인수를 신강하게 하는 것으로만 보고 있다. 이곳에서도 제대로 모르는 채 설명하고 있다.
-> 서락오 평주에 '日刃이니 時刃이니 하는 말도 있지만 실제로는 양인이라고 하지 못한다'고 했는데, 原堂이 실전상 경험이 많지 않으나 일인과 시인도 양인격으로 봐야 할 때가 있다. 연해자평에서는 일인격은 거론하나 시인격은 거론하지 않고 있다. 原堂이 몇 개의 실전사례를 보면 시인격도 성립하는 경우가 간혹 있다.
-> 日刃格이나 時刃格은 성립 조건이 있다. 간단히 말하면 월지와 일지를 합친 것이 양인 대 관살의 형국일 때이다.
(1) 일지와 월지가 삼합하여 비겁국이 되면서 관살을 용신으로 쓸 때이다.
월지 인수격에서 장생지의 인수는 中氣가 비겁으로 아주 강하다. 이 때 일지가 양인이면 半三合하여 양인국이 된다. 예를 들어 壬일간에 申月은 지장간에 壬水가 강한데, 일주가 壬子日이면 양인국이 성립한다. 이 때 천간으로 관살이 있어서 용신으로 쓰면 일인격으로 보는 것이다. 간단히 생각해서 官殺 對 劫刃간에 싸우는 형국에서는 양인을 겁재로만 보지 않고 양인으로 본다.
(2) 월지 관살격에 양인 일주가 시지가 일지와 半三合하여 양인국이 되면 이 때도 일시주와 월지가 陽刃 對 官殺간에 싸우는 형국이므로 일인격으로 본다. 이 때 일지와 시지가 바뀌어 있으면 時刃格이 된다.
*** 日刃格과 時刃格은 原堂이 아직 이론을 완전히 정립하지 못했기로 앞으로 지속적으로 연구할 과제다.
-> 동해선생 평주에 '다른 격에서는 관살이 용신일 때 재화가 희신이면 인수가 좋지 않고, 인수가 희신이면 재화가 좋지 않은데, 그러나 유독 양인격만은 刃强殺旺한 것을 좋게 본다'고 했는데, 인강살왕한 것을 좋게 본다는 이 말이 틀린 것은 아니다. 허나 말에 대귀가 이상하다. 타격국은 관살이 용신일 때 인수와 재성중에서 하나만 좋아하지만 양인대살격은 '관살을 생조해주는 재성도 좋고 관살을 식상으로부터 보호해주는 인수도 좋다'고 말해야 한다.
-> 동해선생 평주에 '이미 신왕하여 칠살을 대적할 수 있는데 인수를 좋게 보는 것은 어째서인가? 무릇 칠살과 양인이 대치하고 있을 때는 인수가 칠살과 인수를 통기시키기 때문이다'고 설명하고 있는데, 이 대목이 잘못 이해하고 있는 것이다. 인수가 통관시키면 어찌 칠살이 양인을 다스릴 수가 있단 말인가? 동해선생은 처음부터 양인격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 것이다.
-> 동해선생 평주에 '설사 살인양정이 돼있어도 역시 인수운이 가장 좋다. 일주가 왕할 수록 칠살을 쓸 수 있게 된다'고 했는데, 이 대목도 양인격을 이해하지 못하고 말하는 것이다. 일주가 왕할 수록 칠살을 쓴다는 개념이 아니고, 양인격은 대체로 신태왕하기 때문에 칠살로 制刃해야 하는데, 용신인 칠살이 식상으로부터 다치지 않도록 보호해주는 인수가 필요한 것이지 칠살을 쓰기 위해서 인수로 양인을 강화시키는 것이 아니다.
-> 양인격이 인수를 좋아하는 것은 두 가지 이유에서다.
(1) 신강하여 관살로 制刃하는 명조라면 식상으로부터 칠살을 보호해주기 때문에 인수가 필요한 것이다.
(2) 신약하여 식상으로 制殺하는 명조라면 식상을 강화시키고자 인수가 일주를 도와주는 것이다. 양인격이므로 비겁이 化印爲食할 수 있기 때문이다.
(3) 하여 양인격은 신강약 구분 없이 인수를 좋아하는 것이다. 原堂이 기억하기 좋으라고 설명하기를 양인격 명은 칼찬 건달로 거친 성격에 칼까지 들고 있는 형국이니 인성 교육이 필수이기 때문에 신강약 구분 없이 인수를 좋아한다고 말하고 있다.
己 甲 乙 癸 : 악비 명조(岳武穆)
巳 子 卯 未
己庚辛壬癸甲
酉戌亥子丑寅
-> 본명은 인수운에 잘 나가다가 辛亥대운 辛酉年에 화를 당했다는 악비 명조이다. 辛酉年은 용신인 관살년인데 어째서 사망했을까? 이상하게 보이겠지만,
(1) 첫째는 신강 명조에 대운이 辛亥대운으로 亥卯未 木局을 짜는 신강운이다.
(2) 둘째는 양인은 난폭자이니 어떤 사유로든 沖하면 안 된다. 왜냐면 沖하면 극렬하게 싸우게 되고 싸우면 어느 놈이든 하나가 죽기 때문이다.
(3) 세째는 亥대운은 巳亥沖으로 지장간에서 조용히 있던 巳中 庚金 용신과 기신 丙火 상관이 動한다. 動해서 싸우면 다칠 수가 있는 것이다.
[참고]
- 고전에 보면 小運이란 것이 있다. 요즘에는 별로 사용하지 않는 경향이 있는데, 활용해 보면 잘 맞는 것을 알 수 있다. 小運은 일간 기준으로 양남음녀는 시주를 당나이로(韓國식 나이 계산법) 01세로 보고 순행하고 음남양녀는 역행하는 것이다. 原堂은 小運을 나이별로 운행하기 때문에 歲라고 부른다. 小運은 당해년도에 명주가 어떤 생각을 가지는가를 보는 것이다. 즉, 명주의 관심 사항을 알아보는 것이다.
- 原堂이 개발한 歲運法은(小運法 : 명리학의 역사가 깊으니 어쩌면 이전에 이미 있었을 것이겠지만) 아주 중요한 명리학 수법인데, 많은 학인들이 활용하기를 바란다. 그 활용법은 년운 보는 법과 유사한데, 歲運은 일주의 마음이 가는 곳으로 보아서 하고싶은 관심 사항으로 보고, 年運은 일주가 만나는 사람으로 보아서 그 사람과 함께 하는 일과 그 사람으로부터 도움받는지 여부를 본다. 大運은 일주가 처해있는 직장등 큰 환경으로 본다.
- 참고로 대운과(運) 소운은(歲) 無位有實者로서 가능성을 내포한 인자일 뿐이지 실제로 작용하는 것은 아니다. 년운이나 월운 일진 시진에서 대소운의 인자가 발현하는 것으로 본다. 그러나 작은 운에서(년운 월운 일진 시진 심지어 분진) 지속적으로 대운과 같은 글자가 나타나니 작용한다고 보아도 된다.
- 대운은 원명의 월지가 사회적 환경을 나타내니 사회적 환경이 변하는 것으로 보고, 소운은 원명의 시주가 자신의 마음이나 행동양식을 나타내니 자신이 하고싶은 일이 변하는 것으로 본다. 하여 대운은 환경 조성으로 보고 소운은 개인의 관심 사항으로 본다.
- 年과 月은 사회적 환경으로 보는데 일주가 그런 환경이 조성되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본다. 년주는 사회적인 나의 모습이고 월주는 사회적인 내가 소속되고 싶은 환경이다. 日과 時는 개인적 관심 사항으로 본다. 일주는 혼자 있을 때의 자신의 모습이고 시주는 평상시에 개인의 처세술이다.
己 甲 乙 癸 : 악비 명조(岳武穆)
巳 子 卯 未
己庚辛壬癸甲
酉戌亥子丑寅
-> 양인격의 특징은 合沖을 무척 싫어한다. 辛酉年은 39세로 辛亥대운의 丁未歲이다. 辛亥대운은 亥卯未 木局으로 인수가 양인으로 변질되어 양인살이 강하다. 대운에서 亥卯未 木局으로 양인살이 강해진 상황에서 丁未歲가 오니 상관 丁火가 제멋대로 행동하고자 하는 마당에 辛酉年에 卯酉沖하면 酉中 庚辛金이 요동치는데, 庚辛金 용신과 양인살 卯中 甲乙木이 대판 싸우게 된다. 싸우다 보면 다치게 되는 법이다.
-> 이 예문에서 보듯이 양인용관살격은 상관 겁재가 조합될 때 흉하고 심지어는 죽기까지 하는 것이다. 亥卯未 삼합의 강력한 木局이기에 천간의 희신 癸水 인수는 洩되고 己土 재성은 극제돼 무력해졌기에 상관 丁火가 싸움을 부추기는 상황에서 용신 庚辛金을 치는 것이다.
-> 이상은 십성 격국론인 양인격의 일반론에 의한 풀이이다. 原堂은 난강망을 중시하는 관법인데, 양인격에도 일간별로 그 취용법이 다르다고 본다. 본명은 봄철 甲木이 火氣가 필요해서 未中 丁火를 용신으로 봐야 하는데, 卯未로 합거되어 무력하니 巳中 丙火를 용신으로 본다. 산강명에 식상이 용신이면 식상은 건강과 수명을 본다.(반면, 신약하면 인수로 건강과 수명을 본다)
-> 辛亥대운 辛酉年에 사망한 이유는 대운에서 亥卯未 木局으로 未中 丁火 용신이 묶이고 辛酉年에 巳酉 金局으로 巳中 丙火가 묵이면서 亥대운에 힘을 얻는 癸水가 도식해서 사망한 것으로 본다.
♣ 陽刃用官. 透刃不慮. 陽刃露煞. 透刃無成. 蓋官能制刃. 透而不爲害. 刃能合煞. (透)則有何功. 如丙生午月. 透壬制刃而又露丁. 丁與壬合. 則七煞有貪合忘剋之意. 如何制刃. 故無功也.
양인용관격은 양인이(甲木 일주에 양인 卯木이 투간하면 乙木) 투출해도 두렵지 않다. 그러나 양인용살격은 양인이 투출하면 성격되지 못한다. (甲일주라면) 정관은(辛金) 능히 양인을(乙木) 제압할 수 있으니 양인이 투간해도 해를 끼치지 못하지만, 칠살은 양인이 合해버리니 어찌 공을 이룰 수 있겠는가? 예를 들어 丙일생이 午月에 나고 壬水가 투간하여 양인을 제복하고 있는데, 다시 丁火가 투간해 丁과 壬이 합하면 壬水 칠살이 貪合忘克하니 어찌 양인을 극제하겠는가. 그러니 공이 없는 것이다.
-> 동해선생 평주에 '일원이 도가 지나치게 신왕하면 관살을 써서 制刃하지 않고는 귀격이 되지 못한다. 양인격에 반드시 관살이 있어야 한다는 말은 이런 까닭이다'고 했는데, 양인격이 반드시 관살이 있어야 한다는 말은 양인격이 도가 지나치게 신왕할 때에만 해당되는 것이 아니고 항상 필요한 것이다. 양인이 칼을 잘 쓰는 무사라면 관살은 살인 면허같은 직책이 되는데, 그런 직책이 없다면 불법적으로 칼을 들고다니는 무사이므로 범법자가 되는 형국이기 때문이다.
-> 하여 原堂은 양인격을 봄에 지장간에라도 관살이 있으면 그것을 쓴다. 지장간에도 관살이 없을 때라야 드디어 양인격으로 보지 않고 녹겁격으로 간주하여 식재를 쓴다.
庚 丙 戊 戊 : 52세 坤命
寅 戌 午 戌
60 50 40 30 20 10
壬 癸 甲 乙 丙 丁
子 丑 寅 卯 辰 巳
-> 공무원 출신 역술인인데, 지장간에도 관살이 없기로 식상생재격으로 본다. 寅午戌 火局이 있어서 일행득기성이 있는데, 원리학당에서는 일행득기격을 넓은 의미에서 가상관격으로 보고 식상을 용신으로 본다. 일행득기격에서 인수가 흉하지 않은 것은 많은 비겁이 化印爲食하기 때문이다.
-> 월지 양인격에 관살이 있으면 양인격으로 보고 없으면 녹겁격으로 보는데, 녹겁격이 식상생재를 쓸 때는 不可單用財라고 해서 재화를 단독으로 쓰지 못한다. 항상 식상과 재성이 조합되어야만 제대로 쓸 수가 있다. 겁재 탈재되기 때문이다. 녹겁격이 신강할 때는 식상생재用이나 가상관用의 용신법이 있다.
戊 丙 戊 戊
戌 辰 午 子
-> 동해선생이 '월령이 양인이지만 설기가 너무 심해서 신약하니 인수로 양인을 도와야 한다'고 설명하고 있는데, 이는 잘못된 설명이다. 양인격은 어디에라도 관살이 있으면 그 관살이 용신이다. 설령 깨졌어도 관살을 쓴다. 본명은 양인이 왕한데다가 식상의 도움까지 받아서 제살태과하여 財印의 도움이 필요한 명조이다.
-> 그래서 약신인 인수운에 좋았던 것인데, 인수운에 좋았던 것을 보고서 신약하여 인수가 용신이라고 하면 어쩌는가? 양인격은 (비겁+식상) 대 (재화+관살)을 비교하는 것이다. 양인격은 지지에라도 관살이 있으면 지장간의 관살을 용신으로 쓴다. 관살이 아예 없거나 형충으로 완전히 깨지지 않았다면 힘이 없는 관살이라도 용신으로 쓴다.
-> 양인격에 지장간에도 관살이 없으면 차선 용신은 財貨이다. 헌데 재화를 용신으로 쓰더라도 관살운이 오면 관살은 재화를 보호하는 약신으로 작용한다. --- 이 부분 官殺이 財貨를 보호해주는 것인지 財貨가 관살을 보호해주는 것인지는 즉, 격국이 바뀌는지는 향후 연구사항임. --- 단, 사건은 천간에 財貨가 있으면 운에서 오는 관살이 財貨를 보호해주는 일이 발생한다.
-> 양인격에 관살도 없고 재화도 없으면 그때는 식상을 용신으로 쓰는데, 이때는 가상관격이거나 일행득기격이다. 이때는 양인격이 아니다. 양인격은 오직 관살을 용신으로 쓸 때라야 성격된 사주로서 귀할 수 있다. 用財명조는 富하나 貴가 약하고 가상관격 명조는 총명하나 貴가 약하다.
♣ 然同是官煞制刃. 而格亦有高低. 如官煞露而根深. 其貴也大. 官煞藏而不露. 或露而根淺. 其貴也小. 若己酉丙子壬寅丙午. 官透有力. 旺財生之. 丞相命也. 又辛丑甲午丙申壬辰. 透煞根淺. 財印助之. 亦丞相命也.
그런데 같은 官殺制刃의 격국에도 높낮이가 있다. 관살이 천간에 노출되고 뿌리가 깊으면 貴가 크다. 관살이 지지에 감춰져 있고 천간에 노출되지 않았거나 천간에 노출됐으나 뿌리가 약하면 그 貴가 작다. 예를 들어,
丙 壬 丙 己 : 승상 명조(1)
午 寅 子 酉
정관이 천간에 투출하고 유력하며 旺財가 생조하니 승상의 명이다. 또,
壬 丙 甲 辛 : 승상 명조(2)
辰 申 午 丑
칠살이 천간에 투출하고 뿌리가 얕으나 재와 인이 돕고 있다. 역시 승상의 명이다.
-> 양인격의 왕쇠 판정법은 劫刃과 식상을 한팀으로 보고 재화와 관살을 한팀으로 보고 비교한다. 인수는 양쪽 모두에게 모두 길하니 빼고 비교한다. 劫刃과 식상은 군주에게 반발하는 것이고 재화와 관살은 군주의 다스림에 복종하는 자제심이다. 겁인 식상은 표현 능력이고 재화 관살은 군주에게 충성하는 능력이다.
丙 壬 丙 己 : 승상 명조(1)
午 寅 子 酉
-> 동해선생이 신약하여 인수운에 좋은 것으로 설명하고 있는데, 본명은 신강하여 정관이 용신이고 정관을 보좌하는 財印이 희신이다. 인수가 희신인 것은 신약해서가 아니고 寅木 식상이 기신이라서 제거하는 약신인 것이다.
-> 천간에 희용신군으로 이루어져 있고, 정관이 자좌 장생지에 강하고 午中 己土에 통근하고 寅中 戊土 편관의 도움을 받고 있어서 강하다. 신강한데다 관도 강하여 귀격이다. 동해선생은 본명이 서북운에 발전한 것으로 설명하는데, 본명은 운이 서남의 인수 재화운으로 흘러간다. 중년 이후가 戊辰 己巳 庚午 辛未로 남방運이다.
壬 丙 甲 辛 : 승상 명조(2)
辰 申 午 丑
-> 칠살의 뿌리가 申辰中에 강하게 있다. 재성 金도 申丑中에 뿌리가 강하고, 약신인 인수 甲木도 辰中에 뿌리가 있다. 반면 일주도 양인월이니 강하고 土상관도 네 지지에 강하다.
-> 동해선생이 '辛丑生 명조는 殺刃이 兩停하니 재화와 인수가 모두 좋은데, 암장됐으나 노출되지 않아서 귀가 작다'고 설명했는데, 貴가 작은데 승상을 한단 말인가? 심효첨 원문에 뿌리가 약하다고 했는데, 타서적에서는 깊다고 했으니 아마도 깊을 深자를 얕을 淺자로 오기한 것같다.
[참고]로 원리학당에서는 양간 12운성 장생지를 녹왕지보다 더 강하게 보는 입장이다.(역량이 같거나 그 이상으로 본다) 예를 들면 壬水가 亥子月보다 申月에 더 강하다고 본다.
壬 庚 乙 庚 : 화곤 명조
午 午 酉 午
-> 인터넷 자료를 보니 건륭황제때 20세 己丑年에 궁중에 들어가 황제의 가마를 간수하는 일을 하다가 건륭황제에게 발탁되어 丙子年에 군기대신에 임명되고 내무대신을 겸하면서 군주 대리인이 되어 막강한 권력을 20여년간 행사하면서 뇌물왕으로 이름내다가 50세에 사형당했다고 한다.
-> 동해선생이 '정관이 많은데 壬水를 얻어 손상한다. 戊子 己丑運에 정관을 化官하여 일주를 생조하니 신하들 가운데 최고의 지위에 올랐다. 庚寅대운에 寅午 火局으로 재화가 왕관을 생조하니 패가망신했다'고 설명하고 있는데, 동해선생은 본명을 신약으로 본 것같다.
-> 본명은 신강약 판단이 쉽지 않다. 午火가 셋이나 되니 신약인 것같기도 하고, 壬水가 午火를 암합하면서 극거하고 천간에 金水가 강하여 신강인 것같기도 하다. 본명의 변수는 천간 乙木에게 있다. 乙庚合은 先合後 쟁합으로 본다. 천간에 乙木이 완전히 죽어있다면 신강으로 봐야 할 것이나 乙木이 쟁합으로 합이 풀려 살아있기로 洩水生火하여 신약이다.
-> 戊子 己丑 인수운에 발전한 것은 生金 능력이 좋은 濕土운이었기 때문이다. 북방운이니 水氣가 강한 운이고 양인격이니 양인이 化印爲食하여 壬水 용신을 강하게 한다. 50세 庚寅대운 己未年에 사형당했다고 하는데, 寅대운임을 감안하면 火旺한 대운에 燥土年으로 이때의 己未土는 土克水하는 土이다. 寅午 火局으로 약해진 庚酉金이 化印爲食하지 못한 것이다.
[참고]로 子月은 化土한다고 하는데, 이는 子水는 土性이 있다는 반증이다. 반면 午未合은 不化한다고 하는데, 이는 火土가 모두 강해서 어느 한쪽으로 化하지 못하는 것이 아닐까 추리한다. 火生土하면 결국은 土旺하니 化土할 것같은데 그렇지 않은 것은 왜일까 생각하게 한다.
♣ 然亦有官煞制刃 帶傷食而貴者. 何也. 或是印護. 或是煞太重而裁損之. 官煞輕而取淸之. 如穆同知命. 甲午癸酉庚寅戊寅. 癸水傷寅午之官. 而戊以合之. 所謂印護也. 如賈平章命. 甲寅庚午戊申甲寅. 煞兩透而根太重. 食以制之. 所謂裁損也. 如丙戌丁酉庚申壬午. 官煞競出. 而壬合丁官. 煞純而不雜. 況陽刃之格. 利於留煞. 所謂取淸也.
관살이 양인을 다스리는데 식상이 있는데도 귀하게 되는 것이 있다. 어째서인가? 인수가 있어서 관살을 보호하거나,(印護) 칠살이 태과할 때 다스리거나 없애는 것으로(裁損) 관살을 약화시켜 청하게(取淸) 해주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목동지 명조를 보면,
戊 庚 癸 甲 : 穆同知 명조
寅 寅 酉 午
癸水가 寅午의 정관을 손상하는데 戊가 癸를 합했다. 소위 인수호관이다.(印護) 예를 들어 가평장 명조를 보면,
甲 戊 庚 甲 : 賈平章 명조
寅 申 午 寅
칠살이 두 개나 투간하고 뿌리가 아주 깊은데 식신이 칠살을 제압하고 있다. 소위 식신제살이다.(裁損) 예를 들어,
壬 庚 丁 丙
午 申 酉 戌
관살이 모두 투출했는데 壬水가 丁火 정관을 합하니 칠살이 순수하고 부잡하다. 보편적으로 양인격은 칠살을 남기는 것이 유리한데, 소위 청한 것을 취한다는 것이다.(取淸)
-> 양인격은 양인살을 제압함에 있어서 殺對殺로 제압하는 칠살이 정관보다 더 좋다고 본다. 일반적으로 庚金 일주의 경우 丙火는 조후用으로 보고,(光火) 丁火는 일주를 잘 다스려주는 관살用으로 보는데,(熱火) 양인격에서만큼은 丙火 칠살을 더 좋게 보는데 이는 정관보다 칠살이 더욱 강력하게 양인살을 다스려준다고 보기 때문이다. 이때 丙火는 午未戌中에 통근해야 하는데, 지장간 丁火에 통근하면 熱火인 丁火까지 대행하므로 丙火가 熱火 작용을 하므로 강력하게 일주를 다스려준다고 본다.
-> 심효첨선생은 양인격보다 더 급한 것을 관살혼잡으로 보고 있다. 이 점은 음미할 가치가 있다. 原堂은 개인적으로 양인격에서는 관살혼잡이 그리 두려운 것이 아니라고 생각한다. 양인도 殺이기에 양인살을 제압하는 게 급선무이다 보니 타격국에서는 관살혼잡을 유달리 흉하게 보나, 신강한 양인격에서는 청하지 못하다는 것 말고는 별로 크게 문제되지 않는다고 본다.
戊 庚 癸 甲 : 穆同知 명조
寅 寅 酉 午
-> 양인격이 신약하면 식상으로 제살해야 하는데 인수운도 좋다. 신강하면 재화로 재자약살해야 하는데, 이때도 인수운은 약신으로 좋다.
-> 본명은 寅中 丙火는 조후用이고 午中 丁火가 용신인데, 천간 癸水가 丁火를 치는 기신이다. 戊土 인수는 일주를 생조해서 좋은 게 아니고 기신인 식상을 쳐주기에 좋은 것이다.
甲 戊 庚 甲 : 가평장 명조
寅 申 午 寅
-> 동해선생은 이 명조를 인수격으로 보고 있다. 본명을 인수격으로 본다면 그 보는 법은 두 가지로 생각할 수가 있다.
(1) 일간은 네 지지에 통근하여 불약하다. 그러나 칠살이 더욱 강하니 인수로 화살생신하면서 식상으로 제살해야 한다.(印重身輕) 관살운은 식상이 방어하여 무탈하기도 하지만 인수를 생해주기 때문에 희신이 된다. 재성운만 흉한 명조이다.
(2) 일간도 강하고 인수도 강하다고 본다면 인수투살격에 身重印重하면 洩하는 식상이 용신이 된다. 이 때의 칠살은 인수를 생해서 일주만 강화시키는 존재가 된다. 결국 급신이지命으로 水재화는 희신이 된다. 마치 재자약살격같다.
-> 산음선생은 본명을 양인격으로 보고 있는데, 아마도 金식상으로 木관살을 제살하면서 水재화를 약신으로 보는 것같다.
-> 原堂의 관법은 土일주의 특성을 감안하여 즉, 土일주는 신약이 없는 것을 감안하여 본명은 木을 용신으로 쓴다. 木이 용신이니 수화기제 조후를 감안하여 壬癸水와 丙火를 희신으로 본다. 午月生인지라 金運은 흉하지 않으나 土金이 조합될 때는 흉하게 본다.
壬 庚 丁 丙
午 申 酉 戌
-> 관살이 혼잡되면 사주가 청하지 못하다. 경찰관의 다스림도 받고 건달의 다스림도 받는 양쪽의 지배를 받는 형국이니 좋을 리가 없다. 해서 청순하지는 못하다. 허나 양인격은 난폭자인 양인을 다스리는 마당이니 양인을 다스려서 순하게 해야만 하기 때문에 관살혼잡을 따질 겨를이 없다.
-> 해서 본명이 좋은 점은 오히려 관살이 혼잡된 점이다. 둘 중에 하나가 다친다 해도 다른 하나가 양인을 다스릴 수 있기에 좋다고 보는 것이다. 壬水가 丙火를 충극하는 것이 흉하다 해도 丁火가 壬水를 합거하기에 丙火가 양인을 제압할 수 있는 것이다.
@@@ 참고로 原堂은 壬丙沖은 沖으로 보지 않는다. 단, 천극지충당할 때는 丙火가 壬水에게 다친다고 본다. 예를 들면 丙戌을 壬辰이 천극지충할 때와 같은 경우이다. 이런 경우도 타 지지에 巳午未寅戌이 있으면 흉해를 면한다고 본다. 하여 壬丙沖이 沖으로 작용하려면 천간에 壬丙沖이 있으면서 지장간의 모든 火根이 다 지지충으로 깨질 때라야 한다.
@@@ 이렇게 보는 것은 丙火의 특징은 단지 조후만 할 뿐 생극제화에 간여하지 않는다고 보기 때문이다. 단, 지장간의 丁火를 대행해 주는 역할은 하는데, 丁火를 대행할 때는 火克金한다고 본다. 따라서 丙火가 칠살 작용을 하려면 지지에 午未戌이 있어야 한다.
壬 庚 丁 丙
午 申 酉 戌
-> 본명은 양인살이 申酉戌 方局을 얻어서 아주 강하다. 훌륭한 무사의 자질이 있다.(양인살) 거기에 壬水 식신이 申中에 통근하여 강하다. 칼쓰는 재능이 탁월하다.(식상의 재능) 그런 일주를 다스려줄 관살도 丙丁火 두 개가 투간한 채 午戌中에 통근하여 강하다.(자제심) 직책도 튼튼한 것이다.
-> 본명은 대운이 서북방으로 흐를 때 발전하였기로 관살혼잡된 명조에 제살하는 식상이 용신인 명조로 보기 쉽다. 허나 본명은 壬水를 합거해주는 丁火를 용신으로 본다. 병들고 약을 얻은 명조이기에 대발한 命으로 본다. 대운을 살펴보면 천간으로는 土金이 개두된 것을 볼 수 있다.
-> 관살혼잡이 흉한 것중에 하나는 어느 한 가지에 전념하지 못하여 전문성이 떨어진다는 점이다. 전문성이 떨어지기에 신강명에서도 관살이 희신임에도 혼잡을 꺼리는 것이다.
丙 庚 丁 辛 : 건륭황제 명조
子 午 酉 卯
-> 양인격인데 관살이 모두 투출했다. 丙火는 조후用이고 丁火가 용신이다.
♣ 其於丙生午月. 內藏己土. 可以剋水. 尤宜帶財佩印. 若戊生午月. 干透丙丁. 支會火局. 則化刃爲印. 或官或煞. 透則去刃存印. 其格愈淸. 或財煞竝透露. 則犯去印存煞之忌. 不作生煞制殺之例. 富貴兩空矣.
丙일주가 午月에 출생하면 午中에 己土가 내장되어 있어서 水를 克할 수 있으니 더욱 재화와 인수를 좋아한다. 戊일주가 午월에 출생하고 천간에 丙丁이 투출하고 지지에 火局을 이루면 양인이 변하여 인수가 되는데, 정관이나 칠살이 천간에 투출하여 양인을 제거하고 인수를 남겨 놓으면 그 격국이 더욱 청수하게 된다. 만약 재와 살이 모두 투출하면 인수를 제거하고 칠살을 남기게 되어 꺼리는 바이니, 生殺이나 制殺로 보지 못하며 부귀가 모두 공허하게 된다.
-> 巳午月은 장간 戊己土를 중시하는 점을 기억하자. 자평진전에서 여러 차례 나오고 있다. 많은 학인들이 자평진전을 읽고도 이것을 눈치채지 못하고 있는 점을 기억하자. 火는 生土하니 결국은 土가 강한 것을 기억하자.
-> 양인격은 거친 게 흠이니 午월절 戊土일주는 午火가 양인 역할을 하는 것보다 인수 역할을 하는 게 부드럽다고 설명하고 있다.
-> 午月節 戊土일주가 양인격이지만 인수격이 되는 조건을 기억하자. 천간에 丙丁火가 투간하고 지지에 寅午戌 火局을 구성할 때로 한정하고 있다.
壬 丙 甲 丙
辰 申 午 寅
-> 동해선생이 '申辰이 공합하고 壬水가 통근하니 양인도 왕하고 칠살도 강하다. 재화가 인수를 파하지 않으니 좋다. 그러므로 병권과 형권을 장악하고 생살지권을 쥐었다'고 설명하고 있는데, 본명은 午中 己土 상관을 중시하여 甲木 인수가 약신 역할을 하고 있다. 그렇다고 해서 마치 金재화가 기신인 듯이 설명하면 안 된다. 본명에 金재화는 희신이다.
癸 丙 甲 丙
巳 午 午 寅
-> 동해선생이 '인수는 있는데 재가 없다. 癸水 정관이 無根하니 한 방울의 물이 증발해버려서 쓸 수가 없어서 강한 기세를 좇는 수밖에 없다'고 설명하고 있는데, 양인격은 관살이 아무리 약하더라도 관살을 쓴다. 지장간에라도 관살이 있으면 그냥 관살을 쓴다.
-> 본명은 癸水가 태약하므로 과연 癸水를 쓸 수 있는지 의심이 간다. 허나 천간에 戊己土가 없으니 능히 쓸 수 있다고 볼 수도 있다. 헌데, 癸水가 극제당하는 것보다 더 흉한 것이 합거당하는 것인데, 癸巳柱는 자화간합하므로 癸水가 자좌 장간 戊土에게 상당 부분 합거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原堂은 癸水를 쓴다고 본다.
-> 본명이 癸水를 쓸 수 없다면 적천수 臣盛君衰신성군쇠 용신법을 적용해야 할 것이고, 癸水가 약하지만 쓸 수 있다고 본다면 양인격 용신법을 적용해야 할 것인데, 이런 경우는 과거를 물어서 검증한 뒤에 풀어야 할 것이다.
甲 戊 戊 戊
寅 午 午 午
-> 동해선생이 '비록 丙丁火는 투출하지 않았지만 寅午 공합하고 甲木이 도리어 화세를 조장하고 있다. 반드시 金운으로 가서 洩土하면서 제살해야 좋다. 水運은 그 왕한 기세를 거역하니 도리어 불미하다'고 설명하고 있는데, 본명은 양인격으로 보느냐 인수격으로 보느냐에 따라서 인수운의 喜忌가 달라지게 된다.
-> 본명을 인수격으로 본다면 身重印重하니 洩하는 식상을 용신으로 쓴다. 천간에 土多하여 化印爲食하는 점이 좋다.
-> 본명은 천간에 火인수는 없고 土多하여 양인격이 되는데, 甲木으로 양인을 제압하려 하나 인수가 많아서 급신이지하여 칠살을 쓸 수가 없으니 水재화가 와서 甲木을 도와줘야 한다. 金식상은 수원지 역할을 한다고 본다. 인수격으로 보나 양인격으로 보나 희신은 같게 된다.
甲 戊 庚 甲
寅 寅 午 寅
-> 동해선생이 '인수로써 화살하여 중화를 이루니 富貴福壽를 다 누렸고 名利가 兩全했다. 이 명조의 묘한 점은 재가 없고 庚金이 無根하여 용신으로 쓰지 못한다'고 설명하고 있는데, 辛未대운 이후로 서북방운에 발전한 것을 어찌 설명할 수 있을까?
-> 原堂의 관법으로는 土일주는 신강약을 따지지 않고 그저 木이 잘 자라기만 하면 된다고 본다. 木이 자라려면 수화기제 조후를 봐야 하는데, 여름생이니 水氣가 필요하고 수원지인 金氣도 필요해서 西北方운에 발전했다고 본다.
♣ 更若陽刃用財. 格所不喜. 然財根深而用傷食. 以轉刃生財. 雖不比建祿月劫. 可以取貴. 亦可就富. 不然. 則刃與財相搏. 不成局矣.
월지 양인격이 재를 써야 한다면 격국이 좋아하지 않는다. 그러나 재가 뿌리가 깊으면 식상을 써서 양인을 상생 상생시켜 생재한다.(轉刃生財) 비록 건록격이나 월겁격보다는 못하지만 귀할 수도 있고 부할 수도 있다. 그렇지 않으면 양인과 재가 서로 싸우니 국을 이루지 못한다.
-> 심효첨선생은 양인격에서 관살을 쓰지 못할 때는 파격으로 본다. 그런 경우는 녹겁격으로 간주하고 푼다. 천간에 재성이 투간하면 식상생재 용신법을 쓰는데, 겁재보다 양인이 더욱 강렬하게 탈재하기에 녹겁격보다 못하다고 보는 것이다.
-> 월지 양인격이나 녹겁격에서 식상생재 용신법을 쓸 때는 관살운은 재화를 보호해주는 약신 역할을 한다.
-> 原堂은 지장간에라도 관살이 있으면 관살을 용신으로 잡는다. 이는 양인격의 특징이 양인살이므로 제압하는 게 우선이기 때문이다.
辛 壬 丙 甲
亥 寅 子 申
-> 동해선생이 '寅亥合하고, 木火가 장생지를 얻고, 子申 水局을 이루어 식신 역시 생부를 얻고 있어서 재기가 문호에 통했으니 부격이다'고 설명하고 있는데, 식상생재국은 부격이다. 본명은 신강命에 식상도 왕하고 재성도 왕하니 부격이다.
-> 原堂은 본명의 용신을 丙火로 보지 않고 甲木 식신으로 본다. 그것은 丙火는 조후 차원에서 쓰이는 것이고 생극제화를 하지 않는다고 보기에 용신으로 쓰지 않는 것이다. 본명에서 土運은 旺水를 제압해서 조후를 돕는 용도로 쓰인다고 본다.
戊 戊 戊 戊
午 戌 午 子
-> 동해선생이 '화염토초하므로 水로써 윤택하게 해야 하지만, 水源池인 金식상이 없으니 한 방울의 물이 살아 남기 힘들다'고 설명하고 있는데, 지지의 子水가 강하니 子午沖과 戊癸암합이 있지만 부득이 子水를 쓸 수밖에 없어 보인다.
戊 戊 戊 戊
午 子 午 申
-> 동해선생이 '申이라는 한 글자가 있어서 子水의 뿌리가 돼주니 비록 金水가 투출하지 않아 부귀격은 아니지만 상당히 좋은 형국을 이루었다'고 설명하고 있는데, 천간이든 지지든 희신이 한팀으로 함께 있으면 좋다.
-> 위 두 명조 모두 인수격에 身重印重하여 설하는 식상으로 용신으로 보면서 재성을 희신으로 보거나 양인격에 관살이 없으니 녹겁격으로 간주하여 用財하는 명조로 본다. 다만,
@@@ 戊子柱는 天地로 원앙합하기 쉬운 점을 감안해야 한다. 戊子生 명조는 과거 검증을 통해 從格여부를 확인하는 게 필요하다. 戊申生은 申金이 있기로 不從한다.
@@@ 양인격의 특징은 타고난 건강체라는 것이다. 특별히 어딘가 질병이 있는 경우도 있는데, 그렇지 않은 경우 질병이 별로 없다.
양인취운
♣ 陽刃用官 則運喜助官. 然命中官根深 則印綬比劫之方 反爲美運. 但不喜傷食合官耳.
양인용관격은 정관을 돕은 운이 좋다. 그러나 원국에서 정관이 뿌리가 깊다면 인수운과 비겁운이 도리어 좋다. 그러나 식상운과 정관을 합하는 운은 좋지 않다.
-> 양인용관격은 정관격의 용신법과 같다. 단, 양인격은 신강약을 떠나서 항상 인수운이 좋다. 주먹이 쎄고 거친 성격의 건달은 사람을 크게 다치게 할 수 있으니 인성교육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 동해선생이 '양인이 왕하고 관살이 경미하면 인수로 통관하지 않으면 안 되는데, 그것은 이미 양인의 세력이 너무 강해서 극할 수가 없을 때는 和하는 도리밖에 없기 때문이다'고 설명하고 있는데 이것은 이상하다. 양인살과 칠살의 殺對殺 싸움이니 죽기 아니면 까무러치기인 것이지, 통관이 무슨 소용이란 말인가? 인수가 약한 칠살을 化殺해서 양인살을 강화시키면 양인살이 더욱 날뛰지 않겠는가.
-> 양인격의 용신법은 1순위가 관살이고(財官 대 劫傷 비교) 2순위는 재화이고(食財 대 印比 비교) 3순위는 食傷으로(食財 대 印比 비교) 가상관격이다.(식상用 비겁재화喜) 순서에 입각해서 용신을 잡아야 한다. 관살은 지장간에라도 있으면 용신이 된다. 관살이 용신일 때만 양인격이라 칭하고 食傷財貨가 용신이면 녹겁격이라 칭한다.
丙 壬 丙 己 : 모승상 명조
午 寅 子 酉
庚辛壬癸甲乙
午未申酉戌亥
-> 본명은 신강한 양인격이기에 재관인운이 좋고 비겁 식상운은 흉하다. 천간에 財官 희용신만 있으니 길명이다. 乙亥대운은 比食 조합운이니 흉하나 甲戌대운은 甲己合하여 도로 化土하므로 길하다. 壬申 癸酉대운은 서방운이니 길한데 천간의 비겁이 흉하나 己土가 방어하니 문제없다. 다만, 천간으로 甲乙木이 투간하는 해는 흉하다고 본다. 水克火 木克土로 희용신 火土가 모두 다치기 때문이다.
-> 천간에 희용신이 조합된 길명은 희용신이 모두 다칠 때만 흉하다. 위 명조에 木運만 오면 丙火가 통관 상생시키고, 水運만 오면 己土가 방어해주기 때문에 흉해가 없다. 이런 때는 단지 해당 기신의 십신과 관련된 사건을 통변만 해주면 된다. 형충회합으로 動한 궁위와 動出된 지장간에 대한 통변도 해준다.
♣ 陽刃用煞 煞不甚旺 則運喜助煞. 煞若太重 則運喜身旺印綬. 傷食亦不爲忌.
양인용살격은 칠살이 아주 왕하지 않다면 칠살을 도와주는 운이 좋다. 칠살이 너무 왕하다면 신왕운과 인수운이 좋고, 식상운 역시 꺼리지 않는다.
-> 신강한 양인격에 정관을 쓸 때는 정관을 다치게 하면 안되나, 칠살을 쓰는 경우는 칠살을 제압해도 좋다.
-> 결국 양인용관살격은 신강약 구분없이 인수운은 길하다. 난폭자에게는 인성 교육이 필요한 것이다.
-> 동해선생이 '정관은 생왕해야 좋고 칠살은 제복해야 한다'고 하는데, 양인격은 관살을 따지지 않고 관살이 강해야 한다.
壬 丙 甲 辛 : 모승상 명조
辰 申 午 丑
戊己庚辛壬癸
子丑寅卯辰巳
-> 동해선생이 '신약하니 인수를 써서 化殺해야 하고 양인으로 재성을 극하여 인수를 보호해야 한다'고 설명하는데, 산음선생의 원문에서는 신강하여 壬水 칠살이 용신인데 약해서 재성의 도움이 필요하다고 했다. 이렇게 헷갈리는 것은 양인격은 신강약 구분없이 인수운이 좋은데, 동해선생이 신약할 때만 인수운이 좋은 것으로 알고있기 때문이다.
-> 동해선생이 '월령이 양인인데 만약 식상까지 투출하면 剋洩交集되니'라고 설명하고 있는데, 양인격에서 식상은 일주를 돕는 것임을 모르고 하는 말이다.
戊 庚 癸 甲 : 목동지 명조
寅 寅 酉 午
己戊丁丙乙甲
卯寅丑子亥戌
-> 동해선생이 '寅午 火局 재화가 생관하여 정관이 旺하니 인수 비겁운이 좋고 식상운은 꺼린다'고 설명하고 있는데, 산음선생이 식상이 흉하다고 한 것은 신강명으로 보고 정관을 쓰는 것으로 보았다는 얘기이다. 대운을 보아도 서북방운은 흉운이지만 甲乙丙丁이 개두하여 무난하고 동방 木재운에 生官하여 발전한 命이다. 戊寅 己卯대운은 천간에 약신 戊己土 인수가 투간하여 더욱 길운이다.
甲 戊 庚 甲 : 가평장 명조
寅 申 午 寅
丙乙甲癸壬辛
子亥戌酉申未
-> 동해선생이 인수격으로 보고 壬申 癸酉대운에 가장 발전했다고 설명하고 있는데, 산음선생은 양인격에 식신으로 제살하는 명으로 보고 있다. 본명이 인수격이라면 壬申대운은 水재성이 강한 채 칠살을 生하면 재생살국으로 대흉할 것이다.
-> 본명은 양인격에 木이 용신이고 수화기제 조후를 희신으로 쓰는 명이다. 火旺節이니 金運은 무난하나 土金이 조합되는 운에는 흉하다고 본다.
♣ 陽刃而官煞竝出. 不論去官去煞. 運喜制伏. 身旺亦利. 財地官鄕. 反爲不吉也.
양인격이 관살이 모두 투출하면 거관이든 거살이든 제복하는 운이 좋다. 신왕운 역시 유리하고 재관운은 오히려 불길하다.
-> 신강이든 신약이든 구분 없이 관살혼잡은 청하지 못하니 하나를 제거하는 것은 일단은 좋다. 이는 건달에게도 세금을 주고 국가에도 세금을 내면 부담이 크기도 하지만, 두 곳으로부터 다스림을 받으면 어느 쪽 말을 들어야 할지 갈피를 잡지 못해서 갈팡질팡 피곤하기 때문이다.
-> 양인격에서 관살이 혼잡됐다고 거관류살이나 거살유관하는 것은 신약한 경우에 적용한다. 헌데, 관살이 혼잡됐다면 대체로 신약하기 마련이다. 양인이 월등 강하다면 관살이 혼잡된 점에만 연연해 하기보다는 양인을 제압하는데 중점을 두어야 한다.
-> 관살이 혼잡됐을 때는 항상 식상이 좋다. 식상이 없다면 부득이 인수를 쓴다. 인수를 쓸 때도 식상운이 좋은 것은 식상이 인수를 어쩌지는 못하고 관살을 제압해주기 때문이다.
-> 헌데 관살을 합하는 자가 용신일 때는 합하는 자를 기준으로 인수가 좋은지 흉한지를 판단해야 한다. 양인격은 항상 인수가 좋지만 그러나 식상이 용신으로 정해졌을 때는 인수가 관살을 化殺하는 용도는 적고 도식하는 용도만 강하다면 흉한 것이다. 실전에서 보면 인수가 흉한 경우는 거의 없으니 인수가 무조건 좋다고 보는 것도 크게 무리는 없다.
壬 庚 丁 丙
午 申 酉 戌
癸壬辛庚己戊
卯寅丑子亥戌
-> 신태왕하니 관살혼잡을 운운할 필요가 없다. 혼잡이 오히려 좋은 것이다. 본명이 청한 것은 壬水가 丁火를 합거해서 합관류살해서라기보다는 丁火가 壬水 기신을 합거하여 천간에 기신이 없도록 한 점이다.
@@@ 관살이 중요 변수로 등장한 명조의 왕쇠 판정법
1) 우선 일주 대 관살을 비교한다.
2) 다음으로 일주와 식상을 합친 것과 관살을 비교한다.
3) 관살과 재성이 陰氣 陽氣上 동류이면 재성과 관살을 합친 것과 비교한다.
-- 陰氣 陽氣上 동류란 金水세트나 木火세트와 같은 경우를 말한다.
4) 인수와 일주가 陰氣 陽氣上 동류일 때는 인수와 비겁을 합친 것과 비교한다.
-- 이 수법은 일률적으로 적용하는 것은 아니니 경험으로 터득해야 한다.
-- 陰氣 陽氣상 동류임에도 적용하기도 하지 않기도 하기 때문이다.
참고자료 : 연해자평 양인격
① 夫羊刃者, 號天上之凶星, 作人間之惡殺, 以祿前一位是也.
무릇 양인이란 천상의 흉성이라 부르니 인간 세상에 악한 살성이다. 건록지에서 一位 전진한 것이다.
② 喜偏官七殺, 喜印綬, 忌反伏吟, 忌魁강, 忌三合. 何謂羊刃. 甲丙戊庚壬 五陽有刃, 乙丁己辛癸 五陰無刃. 故名陽刃. 如命中有刃, 不可便言凶, 大率與七殺相似. 凡有刃者, 多主富貴人, 却喜偏財七殺, 然殺無刃不顯, 刃無殺不威, 刃殺俱全, 非常人有之.
편관 칠살을 좋아하고 인수를 기뻐한다. 반음과 복음을 꺼리고 괴강을 꺼리고 삼합을 꺼린다. 어째서 양인이라 부르는가? 甲丙戊庚壬의 五陽은 양인이 있으나 乙丁己辛癸의 五陰은 양인이 없다. 그러므로 陽刃이라고 하는 것이다.
만약 명중에 양인이 있다고 해서 쉽사리 흉하다고 말하면 안 된다. 대체로 칠살과 서로 비슷하다. 대체로 양인이 있는 자는 대부분 富貴人이고, 편재와 칠살을 기뻐하는데, 그러나 양인이 없는 칠살은 현달하지 못하고 칠살이 없는 양인은 위엄이 없으니, 양인과 칠살은 구전돼야 비상한 사람이 된다.
③ 大要身旺, 運行身旺之鄕, 不要見傷官, 刃旺運. 若命中元有殺刃, 歲運又逢之, 其禍非常. 若命有刃無殺, 歲運逢殺旺之鄕, 乃轉生而反成厚福, 如傷官才旺, 身弱殺旺, 最可忌也.
대체로 신왕해야 하고, 운이 신왕의 鄕으로 가야 하며, 상관을 만나는 것과 양인이 왕성한 운은 불필요하다. 만약 명중에 殺과 刃이 있는데 세운에서 또 만나면 그 禍가 비상하다. 만약 명중에 양인은 있고 칠살이 없는데, 대세운에서 殺旺의 鄕을 만나면 轉生돼 오히려 두터운 복을 이룬다. 상관과 재화가 旺하거나 신약한데 煞旺한 것을 가장 꺼린다.(마지막 부분을 달리 번역하면, 상관과 재화가 왕하여 신약한데 살왕하기까지 한 것을 가장 꺼린다)
④ 如庚申己卯甲寅, 此命甲日見卯爲刃, 庚爲七殺, 其殺本傷身, 却藉卯中乙木以配合, 其殺有情, 則殺不能傷身, 正是甲以乙妹妻庚之義. 其身旺南方運, 所以爲貴.
○ 甲 己 庚
○ 寅 卯 申
예를 들어 庚申年 己卯月 甲寅日이라면, 이 명조는 甲일주가 卯양인을 본 것이고, 庚은 칠살인데 칠살은 본래 몸을 상하게 하나, 卯中의 乙木이 짝이 돼 합하니 칠살이 유정해진 즉, 칠살이 일주를 상하지 못하는 것이니 이것이 甲이 乙妹를 庚의 妻로 만드는 의의이다. 그런 까닭에 신왕운과 남방운에 귀해진다.
⑤ 又如戊午戊午戊午甲寅, 此命刃殺全, 而又以午火爲印, 所以爲貴.
甲 戊 戊 戊
寅 午 午 午
또, 戊午年 戊午月 戊午日 甲寅時라면, 이 명조는 양인과 칠살이 구전되고 또 午火인수가 있으므로 귀하다.
⑥ 故喜忌篇云, 戊日午月, 勿作刃看, 歲時火多, 却爲印綬. 又如辛酉甲午戊午甲寅, 此命殺刃全, 而有印綬, 不合年干傷官透出, 運行辛卯, 犯傷官元有之辰, 壬爲財, 是壬辰歲凶事投水而死. 壬水剋火, 印日坐甲之七殺, 謂之生殺壞印, 卽此命見辛爲傷官, 運行辛卯, 忌見官, 午中丁火爲印綬, 最忌傷官與財相見, 緣水生木剋身也.
그러므로 희기편에서 이르기를, '戊일주가 午月에 태어나면 양인으로 보지 말고 歲時에 火가 많으면 인수로 본다'고 하였다.
甲 戊 甲 辛
寅 午 午 酉
庚 辛 壬 癸
寅 卯 辰 巳
또, 辛酉年 甲午月 戊午日 甲寅時라면, 이 명조는 칠살과 양인이 온전하고 인수가 있다. 年干에 상관이 투출한 것은 적합하지 않은데, 辛卯運은 원국에 상관이 있는데다 상관을 범하는데, 壬水가 財인데 31세 壬辰年에 흉사를 당하자 물에 빠져 죽었다.
壬水가 火를 克하는데, - 인수를 깔고 앉고 甲木 칠살이 있는 명조에서 - 이를 일러서 生殺壞印이라 한다. 이 명조가 상관이라 부르는 辛金을 보았는데 辛卯運으로 가면서 정관을 만남이 꺼려지는데, 인수라 부르는 午中의 丁火는 상관과 재를 한꺼번에 만나는 것을 가장 꺼리니 水生木하여 일주를 극한 사연이다.
[原堂 강의]
(1) 양인격에 신강하여 甲木 칠살이 용신인데 상관 辛金이 甲용신을 핍박하여 흉하다. 午中 丁火 인수가 辛金 상관을 쳐서 칠살을 방어하는 중에 壬水 재화가 와서 火인수를 치면서 甲木 칠살을 生하니 강해진 甲木 칠살이 일주를 쳐서 사망했다는 얘기인데, 설명이 틀리다고 보지는 못하나 석연치가 않다. 이렇게 설명하는 것은 인수격으로 보고 설명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2) 양인격으로 설명한다면, 일주가 강한 양인격이니 甲木 칠살이 용신인데, 원국에서 辛金 상관이 甲칠살을 핍박하는 것을 火인수가 보호하던 중에 辛卯대운에 다시 상관견관이 동주된 채 辛卯 상관이 와서 관살을 핍박하여 힘든 중에 壬辰年에 약신인 火인수를 쳐버리니 甲木 용신이 金克木당해 어려운 중에 익수하여 자살했다고 보는 것이다.
庚金이라면 甲木 칠살을 화끈하게 金克木하는데, 辛金이니 金克木이 여의치 않아서 왕짜증 사건이 터지는 중에(상관견관도 있으니 관재 구설수. 甲辛 관계는 寅酉 원진살과 비슷한 형국) 자살을 선택한 것이다. 자살은 水生木으로 도움받은 甲木 칠살이 일주를 치기 때문이다. 결과는 木克土로 살신한 것이지만, 과정은 水克火한 상황에서 金克木으로 甲木 용신이 다치니 힘든 것이 원인인 것이다.
⑦ 又如癸未乙卯甲子己巳, 此命卯刃癸印, 不合時上己巳破印. 運行辛亥, 亥卯未合起羊刃, 辛酉年辛金又旺於酉, 沖起卯刃二辛, 則太過, 金多見甲, 身雖貴, 亦遭刑也. 然雖見辛爲貴, 所忌羊刃, 不可一合一沖也.
己 甲 乙 癸
巳 子 卯 未
辛 壬 癸 甲
亥 子 丑 寅
또, 癸未年 乙卯月 甲子日 己巳時라면, 이 명조는 卯木은 양인이고 癸水는 인수인데, 시상의 己巳가 인수를 파괴하는 것은 부적합하다. 辛亥運에 亥卯未 삼합으로 양인을 起動시키고 辛酉年에 辛金도 酉中에 왕성하여 卯木 양인을 충발시키는데, 두 개의 辛金은 태과한 즉, 金을 많이 보는 것은 비록 귀하게 하는 것이지만, 역시 형액을 만난 것이다. 그러니 辛金 관살을 만난 것은 비록 貴한 것이라 하지만 양인이 合도 하고 沖도 하는 것은 불가한 것이다. (一沖一合은 얼르고 달래는 꼴이다)
[原堂 강의]
-> 설명이 참 어색하다. 시지 巳中 庚金 편관을 쓰는 사주로 보면서 癸水 인수를 약신으로 보는 것같은데, 희신 己土가 약신 癸水를 치는 점을 흉하게 보는 점이 이상하다. 본명이 양인대살격에 칠살을 용신으로 쓴다면 癸水 약신보다 己土 희신이 더 중요한 명조다.
-> 또, 金관살이 용신이면 많아서 나쁠 게 없는데, 두 개는 많아서 흉하다는 점도 이상하다. 이렇게 앞뒤가 맞지 않게 설명하는 것은 뭔가 문제가 있는 것이다.
-> 다 같은 양인격이라도 일주별로 그 용신법은 다르다. 해서 십성 격국론의 한계점이 있는 것이다.
己 甲 乙 癸
巳 子 卯 未
辛 壬 癸 甲
亥 子 丑 寅
--------------
-> 본명을 풀기 위해서는 양인격의 용신법을 적용하기 이전에 우선 甲木 일주의 특징인 春不用金을 알아야 한다. 본명이 壬子 癸丑運에 발전한 것을 보고 水가 희신이라고 생각하면 안 된다.
-> 原堂이 추종하는 난강망에서는 卯月 甲木은 火가 용신이다. 水가 기신이며 土가 약신이다. 본명의 진실한 용신은 未中 丁火이지만 卯未合으로 변질돼 너무 무력하므로 巳中 丙火를 용신으로 쓴다. 丙火는 癸水와 辛金을 무척 싫어한다.
-> 癸丑대운에 癸水는 己土가 방어하고 丑土는 원국의 기신인 子水를 합거하니 무난히 넘어간다. 壬子대운은 丙火가 용신일 때 壬子水는 水補陽光하므로 좋다.
-> 辛亥대운은 丙火 용신이 제일 싫어하는 辛金이 나타나고, 亥卯未 木局으로 희용신인 未中 丁火와 己土가 木局으로 변질돼 濕木이 돼 木克土 水克火한다.(濕木은 습기가 있어서 水氣로 본다)
첫댓글 좋은강의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