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김감독님 응원도 많이 했더랬습니다.
빙그레 시절부터 팬인데요, 99년 우승 후에 거의 관심이 사그러 들었다가 금년엔 관심을 많이 가졌었네요.
김감독님 같은 스타일 싫어했습니다.
선생님으로 친다면, 공부 못하는 아이들에게 숙제 막 내주고, 나머지 시키고, 심지어 얼차려까지 주면서라도 성적 올리는 스타일이죠.
이게 공부 못하는 학생들에겐 어느 정도 먹히는데요, 자율적으로 할 줄 아는 학생들에겐 독이 된다는 거죠.
하지만, 봄에는 김감독님도 많이 부드러워진 듯도 하고, 선수들도 자발적으로 감독님 따르는 듯 해서,
다행이다 여기며 응원을 많이 했습니다.
하지만 어느 시점에서부터 감독님 표정이 자꾸 굳어지더군요.
실책하면 굳은 얼굴.
한대화 감독 시절, 그리고 한용덕 대행 시절,
성적은 안좋아도 끝내기 안타라도 치면 단체로 우루루 몰려 나와서 끝내기 안타 쳐낸 선수를 거의 죽도록 패대기 하던
이글스 선수들의 모습이 그립군요.
류현진 선수는 심지어 발로 얼굴을 차는 삭커킥을 날리기도 하더군요.(물론 안다치는 한도 내에서)
그렇게 낙천적이고 가족적 분위기의 한화팀이었는데요.
김응용감독 부임 이후부터 분위기가 틀어졌습니다.
덕아웃에서 물병 집어 던지고...
김응용-김성한 체제. 사실 해태에서 거의 막장 군대문화를 대표하던 사람들이거든요.
김성근감독님도 꼬장꼬장하며 선수들 주눅들게 하는 스타일은 마찬가지구요.
한화 특유의 낙천성, 가족적 분위기가 팀 성적 향상을 방해한다는 진단도 있었습니다.
물론 그런 부분이 있었죠.
정민철코치도, 장종훈코치도 떠나면서 그런 얘기를 했었으니까요.
더 지적하고 싶었는데, 더 가르치고 싶었는데, 차마 그렇게 못한 부분들이 있어서 아쉬웠다고 얘기들을 했었죠.
하지만 그러한 낙천성을 이렇게 짓밟아 버려선 안된다고 봅니다.
발전적으로 승화시키는 것이 필요했는데요.
김응용-김성근 체제를 거치면서 한화 특유의 낙천성, 자유로움이 사라져 버렸습니다.
선수들의 표정이 많이 굳어버렸습니다.
이것이 가장 큰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감독이 새로 오더라도 이런 부분을 회복시킬 수 있는 감독이 부임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사실 따지고 보면 한국 프로야구판도 감독 스타일이 이미 바뀌었습니다.
김응용-김성근 스타일의 감독 거의 없습니다.
50대 이하 감독들, 거의 부드러운 스타일입니다. 선수들 존중하고 아낍니다.
시즌 초, 김감독님에게 대들어서 지탄을 받았던 롯데의 이종운 감독조차도 선수들을 아낍니다.
자기 선수들을 보호합니다.
류중일, 김경문, 염경엽 등은 대표적 덕장입니다.
김기태감독도 선수들에게 자유를 엄청 주죠.
하다 못해 9위하는 엘지의 양상문감독도 선수들을 닥달하진 않습니다.
신생팀 kt의 조범현감독이 좀 깐깐하긴 하지만 군림하는 스타일은 역시 아니죠.
김태형,김용희도 마찬가지 입니다.
한화는 한화 특유의 낙천성이라는 좋은 문화가 있었습니다.
선후배간의 돈독한 정도 있었고, 못해도 서로 격려하는 문화가 있었죠.
절대로 서로 탓하지 않았고 비난하지 않았습니다.
그런 문화를 발전적으로 계승해야 합니다.
'그런 물러터진 문화가 잘못 되었어.'라고 말하며, 그 싹을 짓밟아 버려선 아무것도 안됩니다.
첫댓글 고된 훈련을 통해 선수들의 수비력이 어느 정도는 향상이 되었다고 봅니다...이기는 경기를 하면 저절로 흥이 나겠지만 어떠한 경기를 하든 즐기는 마음으로 경기를 대하고 최선을 다해 임하면 좋겠어요...이제 선수들이 한고비는 넘었으니 더이상 전처럼 물러터진 모습을 보이진 않을 것 같아요...
글쎄요 다른 부분은 일정 동의 합니다만 낙천성 회복은 그닥 동의 하지는 않습니다 낙천성 보다는 독기를 품고 경기에 집중하는 모습이 더 좋습니다
좋게 말하면 특유의 낙천적 문화이고 나쁘게 애기하면 한화의 성적히 계속 바닥권이다보니 포기하고 이기면좋은거고 져도 걍 좋은거고 그런 보살 문화이죠 . . 언제까지 한화가 성적이 바닥이겠습니까. . 전 독기를 쫌 품었으면 하네요
어쨋든 올해수비는 최고입니다 필승조 또한 최강이구요 다만 야수들도 지치고 투수들도 지치고 ㅠㅠ 마라톤처럼 길게보는 운영을 했어야 했는데 시즌초 너무 달렸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