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내 천(巛/川) - 흘러가는 물의 모양
내 천(川)자는 황하강의 흘러가는 물의 모양을 상형화한 글자인데, 초기의 갑골문자를 보면 내 천(川)자는 물수(水)자와 비슷한 글자로 부터 출발하였다.
삼각주를 의미하는 고을 주(州)자는 강이 흘러가는 사이에 있는 섬(川자 사이의 점)을 형상화한 것인데, 농사를 짓는 중국의 마을들은 대부분 양쯔강이나 황하강 위에 있는 삼각주에 위치하고 있다. 이런 이유로 주(州)자는 지역이나 마을, 나아가 행정 단위가 되게 되었다. 항주(杭州), 소주(蘇州), 광주(廣州 ), 귀주(貴州) 등 중국 도시이름에 주(州)가 많이 들어가는 이유가 이런데 있다.
우리나라의 마을이나 행정구역이 대부분 산을 경계로 이루어져 있다면, 중국은 강을 경계로 이루어져있다
섬을 의미하던 주(州)자가 고을이란 의미로 사용되자, 본래의 뜻을 분명히 하기위해 물 수(氵)자가 붙어 섬 주(洲)자가 되었다. 삼각주(三角洲)는 삼각형으로 생긴 섬이라는 뜻이다.
순할 순(順)자는 머리(頁) 속이 물(川)이 흘러가는 대로 따라 간다는 의미이다. 순종(順從)은 순순이 따라한다는 뜻이다.
재앙 재(災)자는 황화강의 홍수(巛)와 화재(火)가 재앙(災殃)이다는 의미이다.
가르칠 훈(訓)자는 말(言)을 물 흐릇듯이(川) 하며 가르킨다(訓)는 의미이다. 훈장(訓長)은 서당에서 글을 가르키는 분이다.
돌 순(巡)자는 냇물이 돌아 흐르듯이(川) 간다(辶)는 의미이다. 순찰(巡察)은 돌아다니며 살핀다는 뜻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