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중은 인간관계의 핵심]
나는 직원들을 만날 때마다
그들의 가슴에 "나는 존중 받고 싶다" 라고 쓰인
목걸이를 차고 있다고 생각하고 그들을 대한다.
- 메리 케이 애시(Mary Kay Ash)
[양파의 특별한 용도]
CC
평생 매일 섭취 해야할 음식을 꼽으라면
양파,마늘,생강 여기에 이의를 제기할 분은 없을듯
단지 문제는 어떤 방식으로 섭취해야 할지를 결정하는 것이 난제임
양파는 겨울철에 그냥 잘라서 방안 여러곳애 비치하는 것만으로도
감기를 예방 한다는 사실은 대부분 아실것이니 패스하고
섭취가 아닌 다른 특이한 방법으로 효능을 활용한 것을 공유함
[발바닥에 '양파' 붙이고 자면 생기는 놀라운 변화]
양파가 식재료뿐만 아니라 '바르는 약'으로도
쓰일 수 있다는 놀라운 사실이 밝혀졌다.
미국의 의학 잡지에서 소개한 내용임
16세기 무렵부터 만병통치약으로 쓰여온
양파의 다양한 효능에 대한 내용이 소개됐다.
감기에 걸렸거나 온몸이 불덩이처럼 달아오른 경우
양파 하나만 있으면 당신은 하루만에 자리를 털고 일어날 수 있다.
양파를 얇게 썰어 발바닥에 깔고 다니거나
양말 속에 넣고 자면 된다.
양파에는 염증과 바이러스를 감소시키는
'황 화합물'이 풍부하게 함유돼 있다.
황 화합물은 박테리아, 세균
그리고 당신의 몸 곳곳에 숨어있는 바이러스를 박멸하는데
탁월한 효과를 가지고 있다.
그렇다면 왜 하필 '발'인 걸까?
발은 7,000개 이상의 신경이 자리하고 있어
'제 2의 심장'으로 불리기도 한다.
[비즈니스정보 교류] 공통
CC
영업을 하시는 분들은 주로 데스크탑보다는
노트북을 많이 사용 하므로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길어서 핵심만 축약한 내용임
[노트북 수명 줄이는 나쁜 습관 5가지]
실수 1 : 팬 질식
팬이 막히는 주범은 먼지와 머리카락이다.
노트북을 담요, 푹신한 소파 등 부드러운 서피스 위에 올려놓으면
통풍구가 눌려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실수 2 : 너무 뜨거워지는 경우
열은 노트북을 망가뜨리는 주 요인이다.
노트북의 부품은 특정 온도 범위 내에서 작동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열이 너무 많으면 성능 저하가 가속화되거나
심하면 부품이 완전히 망가질 수 있다.
실수 3 : 극단적인 배터리 충전률
노트북 배터리를 최대한 오래 사용하려면 100% 충전 상태로 계속 연결해 두고,
배터리가 방전된 상태로 며칠, 몇 주 또는 몇 달 동안 방치하는 등의
극단적인 상황을 피해야 한다.
이 두 가지 극단적 상황 모두 배터리 수명을 단축시킨다.
실수 4 : 추운 날씨에 노트북 사용하기
차가운 음료에 공기 중의 수분이 응결되는 것처럼
노트북 내부에도 같은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노트북 내부에 결로 현상이 발생하면 부품에 전기적 단락이 발생하면
시스템이 즉시 중단된다.
실수 5 : 하드웨어를 부주의하게 다루기
노트북이 무거우면 노트북의 엣지 부분을 들어 올릴 때
노트북 전체가 휘어질 수 있으며, 휘어지지 않도록 설계된
시스템 내부의 부품이 손상된다.
특히 절대로 디스플레이만 잡고 노트북을 들지 말자.
[비즈니스정보 교류] 공통
CC
버킷리스트에 올려 놓아도 이루기 힘든것이 있겠지요
아마도 그중에 하나가 항공모함 탑승 선내 투어 하는것
실지로 검색해봐도 정확한 이미지가 별로 없음
[비즈니스정보 교류] 공통
CC
직장인들의 "공공의 적" 인 불필요한 "업무 회의"
효율적인 회의를 위해서 몇가지 건질것이 있어서 공유함
전체 항목 7개중에서 상식적 인지 가능한 것은 제외함
[한 달에 34시간을 아끼는 방법]
01. 회의 참여 인원 7명으로 제한
미국 경영학의 대가인 마르시아는 "7" 의 법칙’을 공식화해 제시했다.
회의 그룹을 7명 이상으로 늘리면
참가자가 한 명 추가될 때마다 회의 효율성이 10%씩 감소한다.
02. 잿밥에 열을 올리는 사람들
상사와 부서장은 자신의 중요성과 힘을 (자신과 서로에게만) 중요한 수다를 통해 확인한
그리고 팀원들은 부서장이 있기 때문에, 모든 사람이 참석하기 때문에,
그리고 자리를 비우는 것은 업무 거부, 무관심, 심지어 방해로
해석될 수 있기 때문에 계속 참석한다.
아무도 결정적인 질문을 하지 않기 때문에
이 정례화된 미친 짓은 계속된다.
03. 최대 2개의 주제
회의가 진정으로 의미 있는 회의가 되려면
최대 두 가지 주제를 중심으로 진행되어야 한다.
이 두 가지 주제 각각에 대한 명확한 의제와 적절한 준비가 있어야 한다.
한 직원이 한 주제를 전담하여 준비하고 의제를 설정하고 진행을 맡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