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화재청(청장 김현모)은 「로제타 홀 한글점자 교재」를 문화재로 등록 예고하고, 「진해 근대역사문화공간」,「김지섭 의사 편지」, 「한성미술품제작소 은제 공예품(이화문 합)」, 「제주 구 육군 제1훈련소 지휘소와 정문」 4건을 문화재로 등록하였다.
이번에 등록 예고되는 「로제타 홀 한글점자 교재」는 1897년 창안한 한글점자(4점식)를 사용하여 배재학당의 한글 학습서인 「초학언문」의 내용 일부를 수록한 교재로, 기름 먹인 두꺼운 한지에 바늘로 구멍을 내어 만들었다.
미국인 선교사인 로제타 셔우드 홀(Rosetta Sherwood Hall, 1865-1951)이 제작한 이 교재는 시각장애인 오봉래를 비롯한 평양여맹학교 학생들의 교재로 활용되었으며, 1926년 「한글점자 훈맹정음」(6점식)이 박두성에 의해 창안되기 전까지 사용돼 우리나라 시각장애인을 위한 특수교육 태동의 상징적 유물로서 역사적 가치가 충분하다. 이 유물은 30일간의 예고 기간을 거쳐 의견을 수렴하고, 문화재위원회의 심의를 통해 문화재로 최종 등록될 예정이다.
아울러, 문화재청은 「진해 근대역사문화공간」, 「김지섭 의사 편지」, 「한성미술품제작소 은제 공예품(이화문 합)」, 「제주 구 육군 제1훈련소 정문」 4건을 문화재로 등록하였다.
국가등록문화재「진해 근대역사문화공간」은 1910년에 조성된 우리나라 최초의 근대계획도시의 역사적 가치를 가지고 있다. 19세기 중반 서구 도시경관의 개념이 도입된 군사도시로서 방사상 거리, 여좌천, 하수관거 등 도시의 뼈대를 이루는 기반시설을 비롯하여, 근대도시의 생활을 보여주는 진해우체국, 진해역 등 공공시설물과 육각집, 흑백다방 등 상업시설들이 당시 모습 그대로 잘 남아 있어 근대유산으로서 보존과 활용 가치가 높다.
국가등록문화재 「김지섭 의사 편지」는 김지섭 의사가 1924년 1월 5일 일본 도쿄 왕궁 입구의 이중교에 수류탄 3발을 던지고 투옥된 후, 옥중에서 동생과 부인에게 보낸 편지 4건이다. 강력한 의열 투쟁에 나섰던 항일 투사 김지섭의 진솔한 내면세계와 인간상을 이해하는 데 귀중한 자료이다.
동생 김희섭에게 보낸 편지 3건에는 판결 언도일을 앞둔 상황에서도 의연한 태도, 투옥된 동지의 안부, 아들에 대한 애틋함과 가족에 대한 염려가 담겨있다. 아내인 권석희에게 보낸 유일한 한글 편지에는 수감된 일본까지 면회를 오려는 아내를 만류하는 절절한 안타까움이 담겨있다.
한편, 의열단은 1919년 조직된 항일 무장독립운동 단체로, 김지섭을 비롯한 의열단원의 활동을 통하여 항일독립 사상을 고취시키는 데 큰 역할을 했다.
국가등록문화재 「한성미술품제작소 은제 공예품(이화문 합)」은 대한제국 황실의 후원으로 ‘조선의 고유한 미술품 제작’을 목적으로 설립된 한성미술품제작소(1908~1913)의 공예품으로, 새겨진 명문(‘漢城美術, 한성미술)’을 통해 이 제작소에서 생산된 것임을 알 수 있다. 조선 왕실의 전통 문양과 대한제국의 상징인 이화문이 새겨져 있고, 전통공예가 주물과 압축 기법 등 근대적인 방식으로 전환되는 시대적 특징을 볼 수 있다. 수량도 희소하여 근대 공예사적으로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 한성미술품제작소는 이후 이왕직미술품제작소(1913~1922), 조선미술품제작소(1922~1937)로 명칭이 바뀌면서 운영되었다.
국가등록문화재 「제주 구 육군 제1훈련소 지휘소와 정문」은 6·25전쟁 당시 제주도에 설립한 육군 제1훈련소(강병대)의 정문 기둥이다. 이미 등록된 제주 구 육군 제1훈련소 지휘소와 함께 6·25전쟁 관련 유산으로 역사적인 상징성이 있으며 훈련소가 위치한 북쪽과 부대시설인 교회, 병원 등이 위치한 남쪽의 경계가 되어 훈련소의 외부와 내부를 구분하는 장소적 의미도 있다. 또한, 기둥 축조에 사용된 제주 현무암과 조개껍질 등의 건축 재료는 지역적 특성도 잘 나타나 있다. 아울러, 「제주 구 육군 제1훈련소 정문」은 등록 예고 기간을 거쳐 기존에 등록된 「제주 구 육군 제1훈련소 지휘소」와 함께 연계하여 문화재로 등록되었다.
* 제주 구 육군 제1훈련소 지휘소(2008. 10. 1. 등록) : 광복 직후 한국군 창설 및 훈련 상황 등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유산으로 6·25전쟁 당시 대규모 신병 양성 기지로 당시 제주도가 지닌 지리적·군사적 가치를 상징하는 문화재
문화재청은 이번에 등록된 문화재 4건을 지방자치단체, 소유자(관리자) 등과 협력하여 체계적으로 보존‧관리해 나갈 것이며, 항일독립유산 등 다양한 근현대문화유산을 지속 발굴·등록하는 적극행정을 추진하여 문화재의 가치를 확산해 나갈 계획이다.
1 (등록예고) 「로제타 홀 한글점자 교재」
□ 문화재명 : 로제타 홀 한글점자 교재
□ 종 별 : 국가등록문화재
□ 소 재 지 : 경상북도 경산시 진량읍 대구대로 201
□ 제작연대 : 1897년
□ 수량/규격 : 1건 1점 / 세로 21.3cm, 가로 13.4cm
□ 소 유 자 : 대구대학교 점자출판박물관
□ 등록 사유
「로제타 홀 한글점자 교재」는 1897년 창안한 한글점자(4점식)를 사용하여 배재학당의 한글 학습서인 「초학언문」의 내용 일부를 수록한 교재로, 기름먹인 두꺼운 한지에 바늘로 구멍을 내어 만들었다. 이 교재는 미국인 선교사인 로제타 셔우드 홀(Rosetta Sherwood Hall, 1865-1951)이 제작하고, 시각장애인 오봉래를 비롯한 평양여맹학교 학생들을 가르치는데 활용되었으며, 1926년 「한글점자 훈맹정음」(6점식)이 박두성에 의해 창안되기 전까지 사용하던 교재로 우리나라 시각장애인을 위한 특수교육 태동의 상징적 유물로서 역사적 가치가 충분하다.
1. (등록) 「진해 근대역사문화공간」
□ 문화재명 : 진해 근대역사문화공간
□ 종 별 : 국가등록문화재
□ 소 재 지 :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화천동, 창선동 일대
□ 등록대상 : 진해 근대역사문화공간(71,531.6㎡/103필지)
번호 | 명칭 | 건립 년도 | 용도 | 수량·규모 | 소재지 | 비고 |
1 | 진해 구 태백여인숙 | 1963 | 주택 | 지상1층 2동 | 창원시 진해구 여좌동 761-61 | |
2 | 진해 보태가 | 1945 | 공공시설 | 지상2층 1동 | 창원시 진해구 충무동 8-3 | |
3 | 진해 화천동 근대상가주택 | 1938 | 공공시설 | 지상2층 1동 | 창원시 진해구 화천동 21-5, 21-6, 21-7 | |
4 | 진해 송학동 근대상가주택 | 1913 | 상가 | 지상2층 1동, 지상1층 1동 | 창원시 진해구 송학동 13-3, 13-4 | |
5 | 진해 대흥동 근대상가주택 | 1913 | 상가 | 지상2층 1동 | 창원시 진해구 대흥동 4-2∼7, 6-1∼4 | |
6 | 진해 흑백다방 | 1913 | 상가 | 지상2층 1동 | 창원시 진해구 대천동 2-8 | |
7 | 진해 일광세탁 | 1957 | 상가, 주택 | 지상2층 1동 | 창원시 진해구 통신동 3-2, 3-3, 3-4 | |
8 | 진해 육각집 | 1913 | 상가 | 지상3층 1동 | 창원시 진해구 대천동 1-9 | |
9 | 진해 창선동 근대상가주택 | 1913 | 상가, 주택 | 지상2층 1동 | 창원시 진해구 창선동 1-1 1-2, 1-3, 1-5 | |
10 | 진해 황해당인판사 | 1913 | 상가, 주택 | 지상2층 1동 | 창원시 진해구 중평동 23-9 |
□ 등록 사유
ㅇ「진해 근대역사문화공간」은 1910년에 조성된 우리나라 최초의 근대계획도시의 역사적 가치를 가지고 있으며, 19세기 중반 서구 도시경관의 개념이 도입된 군사도시로서 방사상 거리, 여좌천, 하수관거 등 도시의 뼈대를 이루는 기반시설이 당시 모습대로 남아 있어 보존 및 활용 가치가 높다.
ㅇ 진해 구 태백여인숙
- 마당을 가운데 두고 객실들이 툇마루로 연결되어 있던 근대기의 숙박시설의 원형이 부분적으로 남아 있는 시설로서 숙박시설뿐만 아니라 생활공간으로의 특징과 당시 목조주택에 건축 특징을 잘 유지하고 있어 진해지역의 근대시기를 대변해 줄 수 있는 문화유산으로 등록할만한 가치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ㅇ 진해 보태가
- 1940년대 의료시설로 지어진 건물로서 모더니즘 건축양식이 반영된 입면디자인 등 당시 진해 방사형 가로에 자리한 건물 중 발전된 건축양식을 보여주고 있으며, 건축구조와 재료의 사용에 있어서 당시 건축적 특징을 확인할 수 있는 문화유산으로 등록할만한 가치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ㅇ 진해 화천동 근대상가주택
- 처음 건축된 1938년에서부터 1984년에 이르는 시대적 변화과정을 가로변에서 볼 수 있는 독특한 사례이며, 또한 우리나라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공유벽체를 활용한 가로경관을 형성하고 있어서 의미가 있다. 부재와 창호 등 건축구성요소가 원형을 유지하고 있어 진해의 근대시기 변화과정을 대변하는 문화유산으로 등록할만한 가치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ㅇ 진해 송학동 근대상가주택
- 근대도시계획에 의해 형성된 도로면을 따라 장옥형태로 지어진 건축물로 건축형태와 구법, 내부공간구성 등 해방 전 가로형 상가주택의 특징 보여주고 있으며, 건축구성요소가 원형을 잘 유지하고 있어 지역의 생활문화와 도시·건축사적 가치가 내재하고 있어 등록문화재로서 보존가치가 크다고 판단된다.
ㅇ 진해 대흥동 근대상가주택
- ‘ㄱ’자로 배치된 장옥형태의 건물군 중에 드물게 남아 있는 단층 구조물로서 진해 원도심부에서 수용한 다양한 기능의 건축유형을 설명해 줄 수 있는 중요한 근대시기의 건물이며, 국내 장옥형 가옥 중 도로가 겹쳐지는 모서리 블록에 장옥을 ‘ㄱ’자로 배치한 특이한 예로서도 등록문화재로서 보존가치가 크다고 판단된다.
ㅇ 진해 흑백다방
- 광복 후, 군사 중심도시인 진해의 문화예술인들의 문화활동 근거지로서 역할을 하였다는 기록이 남아있고, 현재도 그 연장선상에서 지역예술인들의 활동무대로서 장소성의 의미를 가지며, 원래 구조와 공간, 외관을 유지하고 있어 진해의 근현대 문화사적 유적지로 등록할만한 가치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ㅇ진해 일광세탁
- 광복 후 1948년부터 시작한 세탁소가 3대를 이어 현재까지 영업하고 있으며 2층에는 정당사무실, 교회, 해군전우회 등으로 사용한 이력이 있어 각 시대의 건축적 특징을 잘 담아내고 있는 건축물로 진해의 근현대 도시, 건축, 생활사적 모습을 담고 있는 문화유산으로 등록할만한 가치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ㅇ진해 육각집
- 진해의 도시조성 초기의 중요 경관요소인 육각탑으로 근대도시계획의 중심지에 상징적 요소이며 건물 본체가 원래의 골격을 지닌 채 남아 있어 이 지역의 근대현대사를 증언해 줄 수 있는 귀중한 사료로서 문화유산으로 등록할만한 가치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ㅇ 진해 창선동 근대상가주택
- 진해의 도시계획적 특성을 가장 잘 나타내어주는 건축물로 모서리 대지 형상에 대응하는 건물 배치, 양단에 위치하는 부정형의 평면과 지붕은 독특한 구조의 짜임을 가지고 있으며, 4연립 점포주택 형식의 건물 원형을 간직한 귀중한 근대사 자료로서 등록할만한 가치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ㅇ 진해 황해당인판사
- 진해 시가지 형성의 초기 유구로서 100년 넘게 원형을 유지하며 지금까지 사용되어 온 귀중한 건축물로 모서리 대지에 자리한 일식목구조의 상가주택에 특징과 근·현대 도시의 생활문화요소가 집적되어 있어, 도시경관과 건축사적 의미에서 문화유산으로 등록할만한 가치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2. (등록) 「김지섭 의사 편지」
□ 문화재명 : 김지섭 의사 편지
□ 종 별 : 국가등록문화재
□ 소 재 지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목천읍 독립기념관로 1
□ 제작연대 : 1924년 등
□ 수량/규격 : 4건 5점 / 세로 24.9cm, 가로 33.8cm 등
□ 소 유 자 : 독립기념관
□ 등록 사유
‘김지섭 의사 편지’는 의열단원 김지섭이 1924년 1월 5일 일본 도쿄 왕궁 입구의 이중교에 수류탄 3발을 던지고 투옥된 후, 옥중에서 동생과 부인에게 보낸 편지 4건으로, 강력한 의열 투쟁에 나섰던 항일 투사 김지섭의 진솔한 내면세계와 인간상을 이해하는 데 귀중한 자료이다. 동생 김희섭에게 보낸 편지 3건에는 판결 언도일을 앞둔 상황에서의 의연한 태도, 투옥된 동지의 안부, 아들에 대한 애틋함 및 가족에 대한 염려가 담겨있다. 아내인 권석희에게 보낸 유일한 한글 편지에는 김지섭이 수감된 일본까지 면회를 오려는 아내를 만류하는 절절한 안타까움이 담겨있다.
한편 의열단은 1919년 조직된 항일 무장독립운동 단체로, 김지섭을 비롯한 의열단원의 활동을 통하여 항일독립 사상을 고취시키는 데 큰 역할을 했다.
3. (등록) 「한성미술품제작소 은제 공예품(이화문 합)」
□ 문화재명 : 한성미술품제작소 은제 공예품(이화문 합)
□ 종 별 : 국가등록문화재
□ 소 재 지 : 서울시 종로구 율곡로 3길4 서울공예박물관
□ 제작연대 : 1908년 ~ 1913년
□ 수량/규격 : 1건 2점 / 전체높이 12.4cm, 지름 18.2cm
□ 소 유 자 : 서울공예박물관장
□ 등록 사유
‘한성미술품제작소 은제 공예품(이화문 합)’은 대한제국 황실의 후원으로 ‘조선의 고유한 미술품 제작’을 목적으로 설립된 한성미술품제작소(1908~1913)의 공예품으로, 명문(‘漢城美術(한성미술))’을 통해 이 제작소에서 생산된 것임을 알 수 있다. 조선 왕실의 전통 문양과 대한제국의 상징인 이화문이 새겨져 있고, 전통공예가 주물 및 프레스 기법 등 근대적인 방식으로 전환되는 시대적인 특징을 볼 수 있으며 수량도 희소하여 근대 공예사적으로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 한성미술품제작소는 이후 이왕직미술품제작소(1913~1922), 조선미술품제작소(1922~1937)로 명칭이 바뀌면서 명맥이 이어졌다.
4. (등록) 「제주 구 육군 제1훈련소 지휘소와 정문」
□ 문화재명 : 제주 구 육군 제1훈련소 지휘소와 정문
□ 종 별 : 국가등록문화재
□ 소 재 지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상모2교차로
□ 제작연대 : 1952년(추정)
□ 수량/규격 : 기둥 2기/가로 2.5m×세로 2.5m×높이 3.7m * 기둥사이 간격 17m
□ 소 유 자 : 육군본부
□ 등록 사유
국가등록문화재 「제주 구 육군 제1훈련소 지휘소와 정문」은 기존 등록되었던 6·25전쟁 당시 제주도에 설립한 ‘제주 구 육군 제1훈련소 지휘소’에 더하여 정문을 추가로 등록한 것이다. ‘제주 구 육군 제1훈련소 정문’ 은 6·25전쟁 당시 제주도에 설립한 육군 제1훈련소(강병대)의 정문 기둥으로 이미 등록된 제주 구 육군 제1훈련소 지휘소와 함께 6·25전쟁 관련 유산으로서의 역사적 상징성이 있으며 훈련소가 위치한 북쪽과 부대시설인 교회, 병원 등이 위치한 남쪽의 경계가 되어 훈련소의 외부와 내부를 구분해주는 장소적 의미가 있다. 기둥 축조에 사용된 제주 현무암과 조개껍질 등의 건축 재료는 지역적 특성 또한 잘 나타내고 있다.
* 제주 구 육군 제1훈련소 지휘소(2008. 10. 1. 등록) : 광복 직후 한국군 창설 및 훈련 상황 등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유산으로 6·25전쟁 당시 대규모 신병 양성 기지로 당시 제주도가 지닌 지리적·군사적 가치를 상징하는 문화재임.
출처 : 문화재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