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막 막(漠)자는 의부(義符)로 물 수(水,氵)자 변에 성부(聲符)로 없을 막(莫)자를 했습니다. 없을 막(莫)자는 날 일(日)자의 상하(上下)에 풀 초(艸,艹)자와 큰 대(大)자를 해서 해를 가려서 해가 없어졌다는 뜻을 나타냈습니다. 사막(沙漠) 막북(漠北) 막지(漠地) 막하(漠河) 광막(廣漠) 적막(寂漠) 막연(漠然)
없을 막(莫)자는 날 일(日)자의 위에는 풀(艸,艹)로 가리고 아래에도 풀(艸,艹)로 가려서 위아래를 모두 가린 모양을 해서, 해가 없다는 뜻을 표시했습니다. 막상(莫上) 막불(莫不) 막역지우(莫逆之友) 막대(莫大) 낙막(落莫) 막색(莫索)
해산할 만(娩)자는 의부(義符)로 여자 여(女)자에 성부(聲符)로 면할 면(免)자를 했습니다. 저물 만(晩), 당길 만(挽), 끌 만(輓)자들은 면(免)자가 들어 있어서 ‘만’으로 읽습니다. 만출(娩出) 분만(分娩) 만미(娩媚) 완만(婉娩) 해만(解娩) 순만(順娩)
물굽이 만(湾,灣)자는 의부(義符)로 물 수(水,氵)자 변에 성부(聲符)로 굽을 만(彎)자를 했습니다. 굽을 만(彎)자는 어지러울 련(䜌)자 아래에 활 궁(弓)자를 해서 구불 구불한 모양을 나타냈습니다. 만상(灣上) 만입(灣入) 만내(灣內) 만구(灣口) 만상(灣商) 만외(灣外) 만안(灣岸)
이 글은 국화선생님의 "한자의 비밀" 카페에서 퍼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