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글 본문내용
|
다음검색
오늘의 역사(1월17일) 오늘은 그레고리력으로 17번째(윤년일 경우도 17번째) 날에 해당한다. |
1900년대 | |
📌06년 외교 관제 개정 : 외부를 폐지하고 의정부에 외사국을 설치, 외교 문서의 보관만 담당 📌18년 고등고시 및 보통고시령 공포. 📌20년 라디오 방송이 시작되다- 세계 최초로 미국의 KDKA국이 라디오 방송 시작 📌23년 블라디보스토크서 고려 공산당 중앙총국 발족 📌30년 서울 학생들 제2차 만세시위 운동 | |
📌46년 해군사관학교, 해군병학교로 창립, 초대교장에 손원일 중령 취임 1946년 1월 17일 오늘 해군사관학교, 해군병학교로 창립, 초대교장에 손원일 중령 취임 | |
📌48년 전기요금 6배 인상 📌51년 남한정부와 국회, 유엔 정전안 반대(중국도 정전 거부) 📌55년 한국군 군사비 재원책정에 관한 한-미 쌍방 합의서 서명 📌57년 저작권법 국회 통과 📌70년 반도조선 아케이드에 큰 불 📌76년 울릉도 근해에서 여객선 침몰, 37명 익사 | |
📌81년 민주한국당, 창당대회를 열고 총재에 유치송추대 1981년 1월 17일 오늘 민주한국당, 창당대회를 열고 총재에 유치송추대 | |
📌81년 북한, KAL기 폭파 사건은 한국측의 자작극 이라고 주장. 1981년 1월 17일 오늘 북한, KAL기 폭파 사건은 한국측의 자작극 이라고 주장. | |
📌84년 전두환 대통령, 국회국정연설에서 폭력정치배제 . 평화적정권교체 강조 📌85년 신민당,창당대회 압사참변-안동문화회관 안동 지구당 창당대회 📌85년 지방도시 다방 윤락티켓 성행,5000-1만원에 종업원 출장 📌85년 84년의 외채이자 40억달러, 경상수지적자 13억 달러로 집계 📌87년 부산지검, 형제복지원장 박인근 강제노역· 특수 감금 등의 혐의로 구속 📌88년 북한, KAL기 폭파 사건은 한국측의 자작극 이라고 주장. 📌89년 제445차 군사정전위 본회의, 휴전 36년만에 판문점에서 비공개로 열려 📌89년 정신문화연구원장 김철준(역사학자)박사 순직 📌89년 검찰, 일해재단 모금관련 정주영 현대그룹 명예회장 소환 📌90년 치안본부, 범인식별위해 유전자(DNA) 지문감정 방법 도입키로 📌90년 조순 부총리주재 통상장관회의, 외국인 투자 신고제를 도입키로 결정. 📌90년 상공부, 2000년까지 2000만평의 지방공업 단지를 새로 조성, 공업의 지방분산을 촉진 📌90년 정부당국은 북한이 12개수용소에 105,000명의 정치범을 수용하고 있다고 공개. 📌90년 한국과 체코, 수교의정서에 가조인 📌91년 걸프전발발-미군주도다국적군 이라크공군 초토화 📌91년 철도청, 수도권전철 경수선을 95년까지 복복선 으로 건설키로 결정. 📌91년 한-소 경협문제를 논의하기 위한 정부 당국자간 제2차 회의가 정부종합 청사에서 개최. 📌91년 서울지검 동부지청, 예체능계 대입수험생의 학부모로부터 2000만원을 받은 건국대 안용기교수 구속. 📌92년 미야자와 일본총리, 한국방문중 정신대문제를 포함한 과거사문제에 대해 한국민에 사죄의 뜻 밝혀 📌92년 국민가계경제연구소,도시가계의 외식비 지출 증가율은 연평균39.1%로 일본의 3.5%에 비해 11배발표 📌93년 서울시, 서울 하루 교통인구가 85년 이후 6년 사이 1.5배 늘어난 2509만명인 것으로 집계. 📌94년 로스앤젤레스 강진 60명사망-진도 6.6 1000여명 다쳐 📌94년 정부, 한반도 비핵화선언을 국제조약화 하자는 미국정부 요구 거부 | |
✿1995년 1월 17일 일본 고베지역을 중심으로한 긴키 지역 대규모 지진 발생 1995년 1월 17일 오전 5시46분 일본 효고현(兵庫縣) 남부 긴키(近畿)지방에 매그니튜드 진도 7.2의 지진이 강타해 미항 고베가 일시에 쑥밭이 되었고 5천5백명의 사망자와 4만명의 부상자에 이재민이 30만명, 재산피해가 9조6천억엔에 이르렀다. 1923년 관동대지진 참사 이후 최악의 도심 지진으로 기록된 이번 지진으로 오사카(大阪)와 고베(神戶)를 연결하는 한신고속도로의 고베선에서 약 5백m에 달하는 고가도로가 무너지는 등 도로 7개소가 끊어졌으며 신간선을 비롯한 국철, 사철, 지하철 등 주요 교통수단이 두절돼 큰 혼란을 빚었다. 진앙지가 고베에서 남쪽으로 20km 떨어진 아와지섬이었고 진앙지 깊이가 지표에서 불과 20km 밑이어서 고베와 오사카를 비롯한 간사이 지역 일대에 특히 큰 피해를 냈다. | |
📌96년 서울지검, 유학성.황영시.장세동.이학봉. 최세창 등 5명 12.12사건 관련 구속영장 청구 | |
📌98년 북한, 연속극 ‘진달래꽃 필 때까지’ 즉각 중단하지 않을 경우 이에 대한 보복조치를 취하겠다고 위협 ▶1998년 1월17일 북한, 연속극 ‘진달래꽃 필 때까지’ 북한은 17일 KBS가 방영중인 연속극 ‘진달래꽃 필 때까지’ 를 즉각 중단하지 않을 경우 이에 대한 보복조치를 취하겠다고 위협했다. 내외통신은 이날 북한이 대남선전용 평양방송 논평을 통해 “남조선괴뢰들이 우리의 거듭되는 경고에도 불구, 끝내 텔레비전 연속국 ‘진달래꽃 필 때까지’ 를 만들어 방영하고 있다” 면서 “우리는 이것을우리에 대한 또 하나의 도전, 정치적 선전포고로 간주해 도발자들에게 이미 필요한 계산을 해놓고 있다” 고 방송이 계속될 경우 보복을 가할 것임을 밝혔다고 보도했다. |
1월 17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7번째(윤년일 경우도 17번째) 날에 해당한다.
구분 | 내 용 |
사건 | 1377년 - 아비뇽 유수 종식. 교황청이 아비뇽에서 약 70년만에 로마로 돌아옴. 1819년 - 시몬 볼리바르, 그란콜롬비아 선포 1893년 - 하와이 왕국 전복 1955년 - 미국 해군이 건조한 최초의 원자력 잠수함인 노틸러스 호가 항해를 시작하다. 1991년 - 다국적군의 공중폭격에 의해 걸프 전쟁, 사막의 폭풍 작전이 시작되다. 1992년 - 김보은 김진관 사건이 발생 1995년 - 고베 대지진. 일본의 효고현 남부에서 지진이 발생하다. 1995년 - 베를루스코니가 이탈리아의 제 73대 총리직에서 물러나다. |
문화 | 1983년 - 영국 BBC에서 아침 시간대 프로그램 〈브렉퍼스트 타임〉 첫 방송. 2006년 - 국민중심당 창당. 2010년 - 국민참여당 창당. 2012년 - 한국예수교장로회가 하승무 목사를 중심으로 창립. |
탄생 | 1560년 - 스위스의 식물학자 카스파 바우힌. (~?) 1820년 - 영국의 소설가 앤 브론테. (~1849년) 1851년 - 영국의 의사 제임스 캔틀리. (~1926년) 1899년 미국의 마피아 알 카포네. (~1947년) 미국의 교육 철학자 로버트 허친스 (~1977년) 1905년 - 아르헨티나의 축구 선수, 축구 감독 기예르모 스타빌레. (~1966년) 1910년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소설가 박태원. (~1986년) 1922년 멕스코의 제57대 대통령 루이스 에체베리아. (~2022년) 미국의 배우 겸 희극인 베티 화이트. (~2021년) 1923년 - 미국의 중국학자 데이비드 니비슨. (~2014년) 1926년 - 대한민국의 정치인 정래혁. (~2022년) 1927년 대한민국의 정치인 최운지. (~2024년) 대한민국의 정치인 정규헌. (~1993년) 1930년 - 미국의 연주가 딕 콘티노. (~2017년) 1931년 - 미국의 배우 제임스 얼 존스. (~2024년) 1935년 - 대한민국의 정치인 김인규. 1940년 대한민국의 민주화 운동가, 이한열 열사의 어머니 배은심. (~2022년) 몰도바의 제2대 대통령 미르체아 스네구르. (~2023년) 우루과이의 대통령, 정치인 타바레 바스케스. (~2020년) 1942년 - 미국의 권투 선수 무하마드 알리. (~2016년) 1943년 - 대한민국의 정치인 권수창. (~1997년) 1944년 일본의 국제정치학자 이노구치 다카시. (~2024년) 프랑스의 배우, 작가 프랑수아즈 아르디. (~2024년) 1946년 - 북마케도니아의 배우 메토 조바노브스키. (~2023년) 1948년 - 대한민국의 시인 고정희. (~1991년) 1951년 - 소련의 역도 선수 유리 자이체프. (~2022년) 1952년 - 일본의 음악가 사카모토 류이치. (~2023년) 1953년 - 일본의 탁구인 야마이즈미 카즈코. (~2024년) 1955년 - 헝가리의 생화학자 커리코 커털린. 1959년 - 일본의 가수 야마구치 모모에. 1962년 캐나다의 희극인 짐 캐리. 일본의 정치인 아즈미 준. 1963년 - 대한민국의 배우 류태호. 1964년 대한민국의 소설가 김소진. 대한민국의 정치인 강기정. 미국 최초의 흑인 퍼스트 레이디 미셸 오바마. 1965년 - 대한민국의 배우 오성열. (~2011년) 1966년 대한민국의 전 축구 선수, 현 축구 행정가 김주성. 캐나다의 종합격투기 선수 게리 굿리지. 1969년 대한민국의 배우 윤유선. 네덜란드의 음악 프로듀서 티에스토. 1970년 - 미국의 영화 감독 겐디 타타코프스키. 1971년 미국의 배우 데니즈 리처즈. 대한민국의 작가 김성호. (~2001년) 프랑스의 배우 실비 테스튀. 대한민국의 정치인 이두아. 1972년 - 일본의 가수, 싱어송라이터 히라이 켄. 1973년 멕시코의 전 축구 선수 콰우테모크 블랑코. 대한민국의 배우 김정태. 캐나다의 배우, 음악가 소피아 시너스. 1974년 대한민국의 성우 최수진. 이란의 샴 쌍둥이 비자니 자매. (라단 비자니, 라엘 비자니) (~2003년) 1975년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김정수. 중국계 미국인 가수 코코 리. (~2023년) 1976년 대한민국의 배우 이상훈. 대한민국의 가수, 작사가 H. 1978년 대한민국의 배우 한상진. 일본의 일러스트레이터 스즈히라 히로. 1979년 - 일본의 유도 선수 우에노 마사에. 1980년 - 미국의 가수, 배우 조이 데이셔넬. 1981년 - 대한민국의 가수 레이. 1982년 - 대한민국의 가수 환희 (플라이 투 더 스카이). 1983년 스페인의 축구 선수 알바로 아르벨로아. 대한민국의 기상캐스터 오하영. 1984년 대한민국의 아나운서 이아롬. 대한민국의 배우 장신영.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유도 선수 오정애. 영국의 전자 음악가 캘빈 해리스. 이탈리아의 방송인, 사업가 알베르토 몬디. 1985년 대한민국의 배우 최성원. 일본의 가수 코사카 리유. 대한민국의 모델 혜박. 1986년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이도윤. 대한민국의 가수 태군. 대한민국의 레이싱 모델 이다연. 1987년 대한민국의 테니스 선수 조민혁. 대한민국의 그룹 아이리스의 전 멤버 이은미. (~2011년) 타이완의 야구 선수 양다이강. 1988년 대한민국의 피아노 연주자, 작곡가 유발이. 대한민국의 배우 최수정. 대한민국의 가수 주미. 1990년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장성우. 1991년 대한민국의 뮤지컬 배우, 가수 송상은.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김원준. 핀란드의 랠리 선수 에사페카 라피. 1992년 브라질의 축구 선수 페드루 엔리케 올리베이라. 일본의 야구 선수 요시다 에리. 1993년 - 스페인의 축구 선수 보르하 이글레시아스. 1994년 영국, 미국의 배우 루시 보인턴. 일본의 성우 우에다 레이나. 대한민국의 가수 지성. 1995년 - 네덜란드의 축구 선수 도미니크 얀선. 1996년 핀란드의 지휘자, 첼리스트 클라우스 메켈레. 1997년 대한민국의 수영 선수 김가을. 미국의 유튜버 제이크 폴. 2000년 대한민국의 가수 겸 배우 찬희 (SF9).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정은원. 2001년 대한민국의 가수 에스더. 아르헨티나의 축구 선수 엔소 페르난데스. 2002년 대한민국의 치어리더 정희정. 2009년 - 대한민국의 아역배우 김하겸. 2013년 - 대한민국의 배우, 모델, 유튜버 기은유. |
사망 | 1468년 - 알바니아의 민족 영웅 스칸데르베우. (1405년~) 1588년 - 명나라의 군인 척계광. (1528년~) 1751년 - 이탈리아의 작곡가 토마소 알비노니. (1671년~) 1884년 - 독일의 조류학자, 파충류학자 헤르만 슐레겔. (1804년~) 1893년 - 미국의 제19대 대통령 러더퍼드 B. 헤이스. (1822년~) 1911년 - 영국의 인류학자 프랜시스 골턴. (1822년~) 1981년 - 대한민국의 시인 김종문. (1919년~) 1994년 대한민국의 정치인 정일권. (1917년~) 미국의 육상 선수 헬렌 스티븐스. (1918년~) 1997년 - 미국의 천문학자 클라이드 톰보. (1917년~) 2005년 - 중국의 정치가, 공산당 총서기, 전 국무원 총리 자오쯔양. (1919년~) 2008년 - 미국의 체스 선수 보비 피셔. (1943년~) 2018년 - 잉글랜드의 배우 사이먼 셸턴. (1966년~) 2019년 - 수단의 정치인 바비케르 아와달라. (1917년~) 2020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인 황순희. (1919년~) 일본의 야구 선수 다카기 모리미치. (1941년~) 2022년 - 미국의 군인 메릴 뉴먼. (1928년~) 2023년 프랑스의 수녀 뤼실 랑동. (1904년~) 루마니아의 영화배우 테오도르 코반. (1957년~) |
기념일 | 내셔널 데이(National Day): 미노르카, 스페인 파트라스 카니발 개막일: 파트라스, 그리스 해군사관학교 개교기념일: 대한민국 |
첫댓글 귀한 역사 잘보고 갑니다.
위 사진의 유치송소개는 이철승 사진같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