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파 망원경에 잡힌 베텔기우스
베텔기우스는 확실히 초신성의 후보입니다. 따라서, 언젠가 폭발합니다.
그런데, 그 "언젠가" 가 도대체 언제이느냐로 2가지 의견이 갈린다고 합니다.
첫번째로, 베텔기우스가 늘었다 줄었다 하는 모습을 보면 이미 탄소를 태우는 갈때까지 다 간 상태이므로
얼마 안 가 폭발할 것이라는 의견과, 두번째로 아니다. 이 별은 훨씬 더 오래 살 것이다. 이렇게 말입니다.
즉, 언제 폭발하는지에 대해서는 의견일치가 되어 있지 않습니다.
하지만 지구에게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는, 천문학계는 베텔기우스가 폭발한다고 해도,
지구 생명체에게 치명적인 (예를 들면 전멸....) 피해를 끼칠 가능성은 없다고 하는 데 목소리를 같이 하고 있습니다.
다만 상황에 따라, 운이 나쁠 경우 약간의 피해가 있을 수 있다고 합니다.
일단 베텔기우스가 폭발한다고 가정합시다. 그럴 경우, 베텔기우스는 지금 밝기의 최소 1만배 이상 밝아집니다.
이 밝기는 초승달 정도가 되고, 일부 학자는 연구 결과 보름달 정도까지 밝아질 수도 있다고 합니다.(-12.5등급)
따라서 대낮에도 몇 개월에 걸쳐 환하게 보입니다.
이렇게 뻥 터지고 나서, 수 년에 걸쳐 베텔기우스는 서서히 어두워집니다.
이후 수백년의 기간이 지나면, 찬란한 성운의 고리 모양으로 베텔규스의 산산조각난 시체가 퍼져 나가는 모습을 지구인들이 목격하겠죠.
그리고 우리가 알고 있던 거대한 붉은 별은 기록에만 남는 존재가 되어 버립니다.
그러나, 만약 베텔기우스의 북극이나 남극이 태양계 쪽을 향하고 있을 경우는 문제가 다릅니다.
베텔기우스에서 나온 막대한 감마선과 우주선 입자들이 태양계 및 지구로 쏟아져 들어옵니다.
양극 지대에서는 평상시보다 훨씬 화려한 오로라가 밤을 환하게 밝히는 동시에,
전 지구의 오존층은 급격히 감소하여 지구상의 인간이나 동물들은 유해광선에 노출되어
유전자 변형으로 인한 기형아 출산이나 피부병, 면역력 감퇴로 인한 질병의 창궐 등의 고통을 겪을 것입니다.
그리고 베텔기우스의 북극 남극이 지구를 향한 상태에서 폭발한다면, 그 밝기는 안 그랬을 때보다 몇 배나 더 밝다고 합니다.
흥미있는 사실은, 기원전 1세기 중국 천문 기록에는 베텔규스의 색이 흰색~노란색이라고 표시되어 있습니다.
그런데 기원후 150년 그 색은 붉은색으로 바뀌어 기록되었습니다.
이로 미루어 볼 때, 베텔규스는 이 기간 사이에 적색 거성의 단계에 돌입했다고 추측됩니다.
별들이 보통 중심에서 수소를 태우면서 거성이 되는 과정에서, 색이 흰색-노란색-적색으로 변합니다.
따라서, 이 가설이 사실이라면 베텔규스는 이제 막 적색 거성이 된 것입니다.
보통 적색 거성은 수만년 정도 유지된다는 것을 고려할 때, 가까운 시일 내 이 별이 초신성 폭발을 일으킬 것은 걱정하지 않아도 될 것 같습니다.
첫댓글 헉,,, 태양이 점일정도면 엄청 크군요,,,
우주는 보면 볼수록 빠져들어요..
무섭네요 ;;;
지금 현재 우리가 보고 있는 저 별 빛은 310광년 전의 빛이란 거군요.
우리가 아무렇지 않게 말하는 안드로메다는 무려 200만년 전의 빛입니다....
경이로운 세계이네요 우주앞에서 인간은 정말 한없이 작고 미약한 존재네요
와..무쟈게 크네요 +_+
별은 참 신비한 거 같아요 밤하늘에선 그냥 반짝이는 조그마한 별인데 말이죠. 사진은 전갈자리? 안타레스가 더 큰데, 베텔기우스는 오리온자리 그 노란별이죠? 지구에서도 꽤 머네요 ㄷㄷㄷ 북극성의 꼬리와 봄철 하늘에서 대아크를 그리는 아크트루스도 마지막 사진에선 작고; 밤하늘에서 가장 밝은 별인 시리우스도 정말 작군요;
시리우스와 악트루스는 지구에서 가까이 있기 때문에 밝게 보일 뿐, 실제로는 이렇게 작은 사이즈의 평범한 별들입니다. 안타레스나 베텔기우스는 진짜 무시무시한 괴물들이죠. 지구랑 베텔기우스랑 가까웠다면 엄청난 영향을 받았을겁니다. 그리고 오리온자리 흰 별인 리겔이 진짜 사이즈 대비 엄청 밝은 별입니다. 직녀성으로 알려진 베가도 너무 멀리 떨어져있어서 그렇지 무시무시하게 밝은 별이고 북극성도 실제로는 상당히 밝죠.
엄청납니다.
태양이 저 정도면 지구는 우주랑 비교할 것도 없이 저 행성하고만 비교해도 먼지에 불과하네요 -_-;; 갑자기 씁쓸하네요;;
뭐 사실 우주 전체적인 차원에서 보자면 베텔기우스고 뭣이고 눈에도 안들어올 작은 먼지 쪼가리 하나일뿐...;;
시리우스는 백색왜성일텐데도 저만하면 폭발하기 전에는 얼마나 컷다는 걸까요.
시리우스는 백색왜성이 아닙니다. 태양처럼 크기가 작은 아직 한창 젊은 별에 속하죠. 흰색으로 밝게 빛나는데 그만큼 온도가 높은 별입니다. 이런 부류의 별들이 장수하죠. 시리우스가 밝게 보이는 건 실제 지구로부터 가까이 있어서 그렇기도 한데 절대등급으로 따지고 봐도 태양보다 훨씬 밝은 별은 맞습니다. (시리우스 절대등급 1.4, 태양 4.8... 태양은 밤하늘 여러 별 중에서 허접한 편이고 시리우스는 중간쯤이죠...) 백색외성이라면 절대 저 정도의 사이즈와 밝기가 절대 안나오죠. 단 시리우스는 두개의 쌍성이고 그 중 하나가 백색왜성이긴 합니다. 우리가 흔히 보는 밝은 항성이 시리우스 A고 백색왜성이 시리우스 B죠.
시리우스 B는 8.5등성 정도로 육안으로는 거의 보이지 않습니다. 시리우스 B는 원래 푸른 빛의 항성이었는데 적색 거성이 된 후 쪼그라들어 지금은 백색왜성만이 남아있습니다. 별이 꼭 폭발해야만 생애를 마치는 게 아니라 적당한 크기의 거성들은 별다른 폭발 없이 그냥 쭈그러들어 백색왜성이 되기도 하죠. 큰 폭발이 있었다면 가까운 별 시리우스A에게도 영향이 있었을텐데 별로 그런 것 같지는 않네요. 시리우스B는 천문학사상 최초로 확인된 백색왜성이기도 합니다.
뭔진 모르겠지만 그 웅장함에 압도되는군요 무섭기도 하고 ㄷ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