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GoldWave 사용법![]() GoldWave는 오디오 파일 형식 변환, 다양한 효과 주기, 편집 기능을 제공하는 오디오 파일 편집 프로그램입니다. 디지털 오디오는 크게 시퀀싱 오디오 포맷과 샘플링 오디오 포맷으로 나눌 수 있는데, 전자는 MIDI로 대표되며, 후자는 WAVE, MP3가 대표적입니다. 그래서 두 포맷을 별도로 다루는 것이 오디오 프로그램의 일반적인 특징인데, GoldWave는 그 중에서도 후자(샘플링 오디오)의 데이터를 편집하는 프로그램입니다. GoldWave를 이용하여 할 수 있는 주요 작업은 오디오 파일 형식 변환 기능, 오디오 파일에 효과 주기, 자르기와 같은 편집 기능, 노이즈 감소 기능, 오디오 시디 추출 기능으로 요약할 수 있습니다. 모든 일반 오디오 편집 명령과 효과를 비롯하여 내장된 배치 프로세서와 변환기를 이용하여 다양한 작업을 쉽게 할 수 있습니다. | |||||||||||||||||||||||||||||||||||||||||||||||||||||||||||||||||
|
====================================================================================
GoldWave 사용법
===========================================================================
GoldWave 프로그램 설치
GoldWave 프로그램을 내려 받아서 설치하면 자동으로 단축 아이콘이 바탕하면에 생성된다.
단축 아이콘을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연속 두 번 클릭하여 GoldWave를 실행하면 그림과 같이 GoldWave와 Control 두 개의 윈도우 창이 열린다.
두 개의 창은 열렸으나 모두 비활성화 되어 있고 New와 Open만 활성화되어 있을 것입니다. 작업을 하기 위해 제일 먼저 New를 클릭하여 New Sound 창의 Quick settings에서 Voice 버튼을 눌러서 Channels, Sampling rate[㎐], Length[MM:SS.TTT]를 적당히 조정한 후 OK 버튼을 클릭하면 새로운 Sound1창이 하나 열리면서 모든 기능이 활성화 될 것입니다. 이제 기본적인 준비가 되었습니다.
GoldWave 화면 구성
GoldWave 프로그램은 세가지 원도우(Main Window, Control Window, Sound Window)로 구성되어 있다.
1) 메인 윈도우 : 메뉴막대(menu bar), 도구 막대(tool bar) 정보/상태 막대(information/status bar)
2) 컨트롤 윈도우(Control Window) : 사운드 장치 컨트롤과 실시간으로 시작적인 인터페이스를 제공.
3) 사운드 원도우 : 오디오 데이터가 하나씩 열릴때 마다 생성되고, 오딩 데이터가 모노(mono)라면 초록색 그래프가 보이고 스트레오(stereo)라면 왼쪽 체널은 초록색 그래프로 보어지고 오른쪽 채널은 빨강색 그래프로 보여지게 된다
도구 막대(Main Tool bar) 와 효과 막대(Effect tool bar) 추가 삭제
메뉴의 [Options-->Tool bar]를 선택하면 다음의 인터페이스가 나타난다.
1) 왼쪽에 위치한 구성요소는 추가 가능한 요소이고 오른쪽에 위치한 구성요소는 현재 윈도우에 보여지고 있는 요소이다.
2) 만약 새로 추가하고 싶은 요소가 왼쪽에 있다면 선택하고 "Add"버튼을 클릭하면 된다. 반대로, 현재 있는 요소를 제거하고 싶으면 오른쪽에 있는 요소를 선택하고 "Remove" 버튼을 누르면 된다. Effect tool bar도 같은 방법으로 추가 및 삭제가 가능하다.
3) 위 그림의 아래부분의 체크 상자에서
Visible은 메인 윈도우에서 보여지는지를 결정하는 것이다.
Gray-scale은 메뉴를 회색톤으로 보여준다.
Captions는 tool bar의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이 보여질지를 결정하는 것이다.
열기, 재생, 일시정지, 빨리 감기, 뒤로 감기
GoldWave 프로그램에서 재생에 관련된 명령어들을 오른쪽 하단 창에 뜨는 제어(Control)박스로 분리 되어 있다.
파일 열기
1) 메뉴의 [File-->Open]을 클랙해서 원하는 파일을 연다.
2) tool bar의 을 클랙해서 원하는 파일을 연다.
3) Drag and Drop 방식으로서, 우선 원하는 디렉토리로 이동 후에 원하는 파일을 Goldwave 프로그램에 놓으면 된다.
Control bar의 재생 관련 메뉴
1) 은 재생 버튼으로 재생 버튼은 두 개 존재하며, 이 두 개으 버튼 모두 오디오 데티터를 재생하기 위한 것이다.
2) 은 정지 버튼이다.
3) 은 일시 정지 버튼이다.
4) 은 뒤로 감기 버튼과 빨리 감기 버튼이다.
녹색 재생 버튼과 노란색 재생 버튼
Control 창의 을 클릭하면 Control Properties창이 뜨고 여기서 Green play와 Yellow play를 달리 정의할 수 있다.
1) All : 하나의 오디오 데이터 전체(선택 영역과 비선택 영역 모두)를 재생한다.
2) Selection : 선택된 영역만을 재생한다.
3) Unselected : 선택되지 않은 영역만을 재생한다. 사용자가 선택된 영역을 지울 때, "미리 듣기" 기능을 할 수 있다.
4) View : 현재 열린 오디오 데이터 중 선택된 영역에 상관 없이 시작적으로 보이는 영역만 재생한다.
5) Finish : 선택된 영역의 끝지점의 3초 이전부터 재생한다.
6) Intro/loop/end : 처음부터 재생하지만 선택된 영역은 정해진 회수만큼 반복한 후 오디오 데티터의 끝까지 재생한다.
7) Loop : 체크 박스에 체크하고 선택된 영역의 반복할 횟수를 정한다.
초록색 재생버튼과 노란색 재생버튼을 각각 Unselected와 Selection을 선택하고 OK 버튼을 클릭해서 각각의 재생 버튼을 클릭해보면 차이를 느낄 수 있다.
볼륨 조절, 스피커 좌우, 재생 속도 조절하기
볼륨 조절, 스피커 좌우, 재생 속도 조절은 "Control" 창의 다음과 같은 그림 부분을 이용하여 조절할 수 있다.
1) 첫 번째 슬라이드 막대를 이용하면 볼륨을 조절 할 수 있다.
2) 두 번째 슬라이드 막대를 이용하면 스피커 좌우의 출력을 조절할 수 있다.
3) 세 번째 슬라이드 막대를 이용하면 재생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마우스를 이용하여 조절했을 경우에 정확한 조절이 어려울 수도 있으므로, 정확한 조절을 위해서는 키보드를 이용해서 조절하는 것이 좋다.
영역 선택하기
편집의 기본이 되는 영역을 선택하는 방법
시작 지점 선택
1) 처음 시작 시점의 실정은 사용자가 원하는 지점에 왼쪽 마우스를 클릭하면 된다.
2) 선택을 원하는 시작 시점에 오른쪽 마우스를 클릭하여 나오는 메뉴 중 "Set Start Marker"를 선택해도 된다.
3) 이미 선택된 영역의 시작 시점은 단순히 마우스의 왼쪽 버튼으로 바꿀 수도 있고, "클랙 앤 드래그" 방법으로 시작 시점을 바꿀 수도 있다.
선택 영역의 처음 지점의 왼쪽 영역은 비활성화와 같이 그림 전체가 약간 어두워지고, 클릭된 오른쪽 영역은 다른 영역에 비하여 밝게 나타난다.
끝 지점 선택
1) 오디오 데이터의 끝 지점으로 할 곳에 오른쪽 마우스를 클릭한다. 메뉴에서 끝 지점을 표시(Mark)하기 위해서는 "Set Finish Marker"를 선택하면 된다.
2) 만약 영역의 끝지점을 변경하고자 한다면 "클릭 앤 드래그" 방법으로 끝지점을 바꿀 수 있다.
3) 선택 영역의 끝지점의 오른쪽에 위치한 영역을 끝지점으로 ㅇ둰한다면 단순히 왼쪽 마우스를 버튼을 클릭하면 된다
.
편집(지우기, 잘라내기, 복사하기, 봍여넣기)
편집하고자 하는 오디오 파일을 [ File->Open]을 선택하여 연다.
재생 버튼으로 오디오 데이터를 들어보고 편집을 원하는 영역을 선택한다.
선택된 영역을 지우기, 잘라내기, 복사하기 등 원하는 편집 기능을 선택한다.
1) 지우기(Delete) : 선택된 영역을 삭제한다. 메뉴의 [Edit->Delete], 도구 막대의 , 키보드의 Del
2) 잘라내기(Cut) : 선택된 영역은 삭제되고, 삭제된 부분은 임시 기억장에 저장된다. 메뉴의 [Edit->Cut], , 단축키 Ctrl + X
3) 복사하기(Copy) : 선택된 영역은 그대로 두고, 저정된 영역을 임시 기억장소에 저장한다. 메뉴의 [Edit->Copy], , 단축키 Ctrl + C 복사한 영역은 하나의 파일로도 저장가능한데 메뉴의 [Edit->Copy to]로 한다.
잘라내기 기능과 복사하기 기능을 통해서 임시 기억장소에 원하는 장소에 붙여넣기를 할 수 있다. 우선, 붙여넣고 싳은 곳에 왼쪽 마우스를 클릭하여 영역 선택의 처음으로 지정합니다. 파일 메뉴의 [Edit->Paste], 단축키 Ctrl + V 혹은 의 아이콘으로 붙여넣기를 할 수 있다.
참고로 메뉴의 [Edit->Paste At]을 이용하면 Beginning(시작부분에 붙여넣기, 단축키 Ctrl+B), Finish Marker(선택된 영역의 끝부분에 붙여넣기, 단축키 Ctrl + F), End(끝부분에 붙여넣기, 단축키 Ctrl+E) 등으로 붙여넣기를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편집이 끝났으면 메뉴의 [File->Save] 또는 으로 저장한다.
섞기(mix), 새로운 곳에 복사하기(Paste New), 교체하기(Replace), 묵음(Mute), 선택된 영역외 삭제하기(trim), 묵음 추가하기(insert silence), 원상태로 돌리기(Undo)
섞기(Mix) : 복사하기와 잘라내기로 섞기를 원하는 데이터를 미리 저장한다. 썩고 싶은 다른 오디오 데이터의 영역의 처음 위치를 선택하여 메뉴의 [Edit->Mix], , 단축키 Ctrl + M으로 썩기를 할 수 있다.
새로운 곳에 복사하기(Paste New) : 복사하기와 잘라내기 등으로 저장된 데이터를 완전히 새로운 오디오 데이터를 만든다. 메뉴의 [Edit->Paste New], , 단축키는 Ctrl+P이다.
교체하기(Replace) : Mix는 기존의 데이터와 저장된 데이터를 섞는 것이지만 교체(Replace)는 저장된 데이터를 교체하는 것이다. 메뉴의 [Edit->Replace], , 단축키 Ctrl+R
묵음(Mute) : 선택된 영역을 묵음으로 바꾸는 역할을 한다. 파일 메뉴의 [Edit->Mute]
선택된 영역외 삭제하기(trim) : 선택된 영역외에 모든 영역은 잘라낸다. 잘라내기와 반대라고 생각하면 된다. 메뉴 [Edit->Trim], , 단축키 Ctrl + T
묵음 추가하기(insert silence) : 묵음을 추가한다. 메뉴의 [Edit->Inset silence]를 선택하면 작은 인터페이스 창이 뜨고 여기서 묵음을 원하는 시간 만큼 주면된다.
원래 상태로 되돌리기(Undo) : 이미 명령을 준 편집 상태로 되돌린다. 계속적으로 선택한다면 그 이전의 상태로 계속적으로 되돌려 놓는다. 또는 단축키 Ctrl + Z이다.
GoldWave 프로그램을 이용해서 녹음하기
File 메뉴를 통해서 New를 선택하거나 tool bar에서 을 선택하면 New Sound의 인터페이스가 자동적으로 나타난다
1) Manual quality settings 항목 : 채널 수와 샘플링 레이트를 선택하는 항목으로 기본적으로 선택되어 있는 2(stereo)와 샘플링 레이트(44100)을 선택하면 좋은 음질을 얻을 수 있다. 만약 음질이 좀 떨어지더라도 좀 더 작은 파일을 만듥 싶다면 샘플링 레이트를 작게 하면 된다.
2) Preset quality settings : 음질을 선택하는 란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음질을 선택하면 된다. 자동적으로 Manual quality settings에 값이 변화된다
3) Duration : 새로운 노래의 시간을 선택하는 란으로 기본적으로 정해져 있는 시간은 1분이며, 이 시간이 지나면 녹음은 자동적으로 멈추기 때문에 선택할 때 좀 더 긴 시간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
컨트롤 박스에서 를 누른다. 만약 컨트롤 박스가 보이지 않으면 메뉴의 "Tool"에서 "Control"을 선택하면 된다
1) [Volume]탭에서 녹음을 원하는 요소를 선택하면 된다. 보통 "Strereo Mixer"를 선택하면 된지만 여기서는 마이크를 통해서 음성을 녹음해보자.
2) 준비가 다 되었으므로 컨트롤 박스의 을 눌러 녹음을 시작한다. 녹음을 완성한 후 저장할 때 용량이 크다는 메시지가 나타나면 Save Selection As를 선택해서 용량이 것으로 택해서 저장하면 된다.
두 개의 사운드 믹스하기
[File->Open] 또는 Open 아이콘을 클릭하여 믹스 하고자 하는 두개의 파일(c:/windoews/media에서 ringout.wav와 chimes.wav)을 불러온다. 만약 파일이 없으면 임의의 파일을 불러올 수도 있고 강의화면의 왼쪽 메뉴에 다운로드 받을 수 있도록 해 놓았습니다.
ringout.wav 파일에서 원하는 부분의 영역을 설정하고 Copy를 한다(원하는 부분의 앞쪽에서 마우스 왼쪽 클릭한 후 원하는 끝에서 마우스 오른쪽 클릭하여 나타나는 팝업메뉴에서 "Set Finish Marker"을 선택하면 원하는 영역이 밝게 선택되고 Copy하면 이 부분이 클립보드에 저장된다).
chimes.wav 파일의 원하는 영역을 선택한 후 Trim시키고(이 때 밝게 선택된 영역만 남아 있고 검게 된 부분이 삭제됨) Paste를 클릭하면 클립보드에 저장되었던 ringout.wav 파일이 chimes.wav 파일의 앞부분에 들어오고 전체 선택하여 컨트롤 창의 재생버튼을 눌러서 믹서된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저장은 [File->Save As]하여 다른 이름으로 저장한다.
.
음악 CD에서 사운드 파일 만들기
[File->New]를 누르고 뜨는 New Sound 창에서 Preset quality settings 항목에 CD Audio를 선택하고 누른 후 Channels, Sampling rate, Length를 조정하고 OK 버튼을 눌러 새로운 Sound 창을 준비한다
Device Controls 창의 Properties를 눌러서 Volume 탭에서 CD 플레이어를 선택한 후 [확인] 클릭한다.
메뉴의 [Tools->CD Reader..] 선택하면 CD Reader의 창이 뜬다. 여기서 Title의 원하는 트랙을 선택한 후 Save 버튼을 누른다.
Save 버튼을 누르면 다음과 그림과 같이 Save CD Traks 인터페이스가 나타나고 여기서 저장할 폴더를 적당히 지정하고 OK 누르면 .wav 파일 형태로 저장된다.
폴더에 저장된 파일을 열어서 재생하면 CD 파일을 사운드 파일로 만들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동영상에서 소리파일 가져오기 및 잡음제거
샘플 동영상(vodsample.avi) 파일을 다운로드 받아서 적당한 폴더에 저장한 후 동영상 파일을 사운드 파일로 변환하고 삽입되어 있는 잡음들을 제거해보자.
다운로드 한 샘플 동영상 파일을 GoldWave를 실행하여 [File->Open]에서 열기하면 자동으로 사운드 파일만 가져온다.
잡음제거1 -- 윙~윙~하는 잡음제거
1) 잡음은 메뉴의 [Effects -> Filter ->Noise Reduction]을 선택하여 잡음을 제거할 수 있다.
2) 윙~ 윙~ 하는 잡음 제거는 Preset Shapes에서 Reduce Hum을 선택하여 제거한다.
매미소리 잡음제거
1) 샘플 동영상 파일에는 제작할 때 매미 소리가 잡음으로 삽입되어 있는데 이것은 GoldWave의 고음역에서 잡음제거 항목으로 제거할 수 있다.
2) 메뉴의 [Effects -> Filter ->Noise Reduction]을 선택하여 고음역에서의 잡음 제거는 Preset Shapes에서 Hiss Removal을 선택한 후 OK 버튼을 누른다.
이거 팁게시판으로 올려주셧사하는 소망이 ㅠㅠ
==========================================
사운드 에디터 GoldWave 활용
사천중학교
교사 함택윤
- 차 례 -
1. 사운드의 이해
2. 사운드 편집 프로그램의 종류
3. GoldWave란?
4. GoldWave의 구성 요소
가) 전체 화면 구성
나) 디바이스 콘트롤 윈도
다) 사운드 윈도우
라) 상태 바
5. 기본적인 메뉴 구성
가. 효과 도구의 기능
나. 편집 도구의 기능
다) 단축 아이콘의 기능
6. GOLDWAVE의 활용
가. 목소리 녹음하기
나. CD 사운드 녹음하기
다. 파일의 부분 삭제 및 복사
라. 두 사운드를 합성하기
마. 사운드 편집하기
7. 다양한 옵션의 활용
가. Resample (Sampling rate 변환)
나. 모노와 스테레오간의 변환 및 bit 변환
다. Pitch 변환
라. Noise 제거
8. mp3 사운드 만들기
1. 사운드의 이해
멀티미디어 PC가 일반화됨에 따라 음악이나 소리를 들을 일이 많아졌다. 그만큼 다양한 파일 포맷도 생겨났다. 그래픽과는 달리 사운드는 모든 포맷을 들을 수 있는 프로그램이 존재하지 않는다. 최근 통합 연주기들이 속속 등장하고 있기는 하지만 정확한 이해가 반드시 필요한 부분이다.
|
악기음은 사운드카드에 내장되어 있는 음원 모듈을 사용하게 되고, 채널은 미디 채널을 사용한다.
4분 기준에 악기의 수에 따라 다르지만 50KB~120KB 정도를 사용하며, 윈도우즈의 매체재생기와 연결되어 있다.
|
MS사와 IBM사가 만든 사운드 파일. 윈도우에서 소리를 녹음하고 듣는데 기본적으로 사용하는 포맷이다. 녹음기로 녹음하듯 아날로그 오디오를 녹음하여 디지털화한 것이다. 8비트 16비트의 분리와 초당 얼마만큼 세밀하게 디지털화하는지에 따라 22K㎑, 44㎑로 나뉘고, 스테레오와 모노, 압축도 가능하다. 윈도우의 녹음기로 사운드카드만 있으면 쉽게 WAV 파일을 녹음할 수 있다. 하지만 윈도우의 녹음기는 시간이 제한된다. 골드웨이브나 쿨 에디트, 사운드포지 등의 프로그램을 쓰면 편집도 가능하고 하드디스크의 남은 용량만큼 시간 제한 없이 WAV로 녹음할 수 있다.
또한 음악 CD를 만들 때는 각각의 트랙을 WAV 형식으로 만든 후에 레코딩 프로그램에서 불러들여야 한다. 음악 CD에서 WAV를 추출하는 CD-DA의 표준 규격은 16bit, 44.1㎑ 2채널이며, 이에 벗어날 경우 변환해야 한다. WAV 추출용 소프트웨어로서 정확한 것은 Adaptec사의 EasyCD Creator 3.5b이다. 다른 프로그램에 비해 곡의 시작과 끝을 가장 정확히 인식하며, 추출 속도를 어떻게 설정하더라도 동일한 결과물을 생성해낸다.
녹음할 음질에 따라 용량이 다르지만 CD 수준의 음질로 녹음할 경우 1분에 10MB 정도의 용량을 차지한다.
오디오 파일로 Audio Interchange File Format의 약자이다. WAV처럼 샘플링된 디지털 오디오 파일이다. 처음 애플 컴퓨터사에서 개발되어 매킨토시 컴퓨터에서 사용됐으며, 실리콘 그래픽스 시스템에서도 사용되고 있다. AIFF 포맷은 8비트 스테레오, 모노로 저장되지만 압축되지 않아 파일 크기가 크다는 것이 단점이다. IEF라는 확장자로도 사용된다. 역시 Cool Edit 등에서 작업할 수 있다. AU는 Audio의 약자. 유닉스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표준 오디오 파일. 썬 마이크로시스템즈에서 만든 사운드 포맷으로 웨이브 파일과 비슷하다. AU 파일은 자바 프로그램에서 오디오 파일로 사용되기도 한다.
썬 마이크로시스템즈사에서 만든 사운드 포맷으로 웨이브 파일과 비슷하며, 인터넷 사이트에서 가끔 만나게 된다. 역시 윈도우 95에서는 지원하지 않지만 네비게이터나 마이크로소프트의 액티브 무비를 설치해서 들을 수 있다.
|
보통 MP3 파일을 만들 때는 음악 CD의 곡을 WAV로 추출하여 변환한다. WAV를 MP3로 변환할 때는 비트레이트(bit rate)가 중요하다. 이 수치가 높을수록 음질이 좋아지고 대신 파일 크기가 커진다. 일반적으로 128Kbit/sec가 대부분이다. 손실 압축이라 자세히 들어보면 CD 음질과는 약간 차이가 난다. 그렇다고 비트레이트를 올리면 파일이 너무 커지게 된다.
이에 Xing의 코덱을 사용하는 Audio Catalyst 프로그램을 권한다. 무엇보다도 코덱 때문인데, Xing의 VBR(Valiable Bit Rate) 기술이 들어 있다. Xing Encoder 1.5의 경우 마찬가지로 VBR이 탑재되어 있지만 dll 파일에 버그가 있어서 16㎑ 부분을 잘라버리는 에러가 발생한다. 3분 동안 말한 것을 녹음한 것과 아무 소리도 내지 않을 것을 녹음한 것을 WAV로 만들면 파일 크기가 같다. 기존의 방식대로 이 2개의 WAV 파일을 MP3로 변환하면 그 크기가 동일하다.
그러나 VBR은 섬세한 소리가 있는 부분에서는 비트레이트를 높이고 소리가 없는 부분에서는 최대한 낮추어 변환해준다. 예로, 40MB의 WAV 파일을 128Kbit로 변환하면 약 3MB, 192Kbit로 변환하면 약 10MB의 MP3 파일이 생성된다. VBR을 이용할 경우 약 5MB의 파일이 생성된다. 하지만 거의 원음과 동일한 고품질의 MP3 파일을 만들 수 있다. 이는 VBR이 320Kb/sec의 비트레이트까지 제한을 두지 않는 인코딩 방식으로 원음 손실이 거의 없기 때문이다.
단점이라면, 위에 말한 대로 방식의 특성상 생성될 MP3 파일의 크기를 가늠하기 힘들다는 것이다. 윈도우의 MP3 플레이어로는, 한글이 지원되며 사용이 편리한 WINAMP와 사이버틱한 인터페이스와 좋은 음질을 자랑하는 SONIQUE 등이 있다. 요즘의 많은 CD 레코딩 프로그램은 MP3를 바로 음악 CD로 만들어주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개인의 컴퓨터 하드디스크에 들어 있는 MP3를 검색하여 다운로드받을 수 있도록 해주는 일종의 MP3 공유 프로그램인 ‘소리바다’라는 프로그램도 나와 있으나, 이와 유사한 미국의 ‘냅스터’는 저작권법에 위배될 소지가 있다는 판결을 받아놓고 있는 상태이다.
바) M3U
오디오 압축 파일인 MP3의 목록 파일. 리스트 형식으로 입력된 순서대로 MP3 파일을 재생할 수 있다. M3U 파일을 만드는 방법은 간단하다. 메모장에서 재생하고 싶은 MP3 파일 이름을 순서대로 입력하면 된다. 주의할 점은 파일 이름을 쉼표나 띄어쓰기로 나누지 말로 엔터로 분리해야 한다는 것이다. 위와 같이 메모장에서 입력한 뒤에 해당 MP3 파일들이 있는 디렉토리에 저장하고, M3U 파일을 더블 클릭하면 된다.
M3U는 MP3 파일 목록을 저장하고 있는 리스트 파일이다.
RA와 RAM은 요즈음 인터넷에서 음성 전송용 플러그 인으로 인기를 끌고 있는 리얼오디오의 파일 포맷이다. 두 가지는 조금 다른데, RA는 실제 소리를 담고 있지만 RAM은 소리를 담고 있는 파일의 위치를 저장한 파일이다. 따라서 RAM은 크기가 매우 작다.
이 두 포맷은 웨이브 포맷을 사용하며 인터넷에서 실시간으로 음성을 전송하는 데 주로 사용된다. 이런 리얼 오디오를 포함한 실시간 음성 파일 역시 하드디스크에 저장할 수가 없는 경우가 많다.
Total Recorder라는 프로그램을 쓰면 저장이 가능하다. 이 프로그램은 사운드카드의 출력을 가로채서 하드디스크에 WAV 형식으로 저장하는 것으로 사운드카드로 나오는 모든 소리를 녹음할 수 있다. 물론 실시간 동영상 파일의 경우에도 그 소리만큼은 저장할 수 있다.
윈도우즈에서는 오디오 CD도 일종의 파일로 간주한다. 오디오 CD에 있는 한 곡 한 곡을 파일로 표현하는 포맷이 바로 CDA이다. 이 포맷은 CD 오디오를 사용하며 웨이브를 사용하는 일은 없다. 오디오 트랙은 Winamp 등의 사운드 플레이어에서 들을 수 있다.
노래방 파일로 MID 파일에 가사를 붙여 음악에 따라 가사가 스크롤되는 방식이다. 이 파일을 사용할 수 있는 윈도우용 노래방 프로그램은 Easykar, Midi-Oke!, Winkaraoke player 등이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노래방 프로그램은 상용이며 셰어웨어로도 잘 배포하지 않기 때문에 구하기가 힘들다.
샘플링된 소리 데이터들을 소프트웨어적인 방법으로 변형, 합성해 음악으로 출력하는 것을 말한다. 아미가 컴에서 시작된 형식인데, Modules의 약자로 음원을 내장한 사운드 파일이다. WAV나 AU 등은 사운드 자체를 디지털화하는 방식이며, MID는 악보처럼 음악의 높낮이, 길이 등의 정보만 가지고 있다. 반면 MOD 파일은 MID처럼 악보 정보와 함께 WAV 같은 음원도 함께 내장한다. 예를 들어 피아노와 기타, 드럼을 함께 연주하는 음악이 있다면 MOD 파일 내에는 악보와 함께 피아노 음색이 내장되어 있다. 이처럼 악보와 음원을 함께 가진 음악 파일을 모듈이라고 한다.
모듈 파일은 악기를 트랙이라는 독립된 채널로 연주한다. 예를 들어, 4가지 악기가 사용된 음악이라면 4트랙을 사용하는 것이다. 보통 4~8가지 트랙을 사용하며 최대 32트랙을 지원하는 포맷도 있다. 따라서 이런 소프트웨어적인 변형, 합성으로 멀티 채널이 지원되지 않는 사운드카드로도 수십 채널을 쓸 수 있다는 것이다.
단점이라면 작업이 어렵고 MIDI보다 음질이 좀 떨어진다는 것이다. MOD 파일을 만드는 프로그램을 트래커라고 하는데, StarTracker, Scream Tracker, Fast Tracker, Digi Tracker 등 다양하며 프로그램마다 고유의 파일 포맷이 존재한다. 이 모든 파일을 들어볼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는 Cubic Player가 있는데 도스용이다. 물론 윈도우95, 98에서도 잘 실행된다.
2. 사운드 편집 프로그램의 종류
디지털 사운드 편집 프로그램이라면 주로 *. WAV 편집 프로그램을 뜻한다.
윈도용 유틸리티에서 가장 유명한 사운드 편집 프로그램으로는 ‘골드웨이브(GoldWave)’와 ‘쿨에디트(CoolEdit)’가 있다. 상용인 ‘사운드 포지(Sound Forge)’나 ‘쏘플러스(SAW PLUS)’, ‘샘플리튜드(Samplitude)’ 등의 프로그램들이 고가면서도 좋은 평가를 얻은 데 반해 골드웨이브와 쿨에디트는 쉐어웨어면서도 이들에 전혀 뒤지지 않을 만큼 막강한 기능을 갖고 있다. 이밖에 케이크워크 같은 미디 작곡 프로그램이나 다른 음악 관련 프로그램도 사용자 응용 능력에 따라 충분히 사용될 수 있다.
3. GoldWave란?
사운드 편집 프로그램 중 쉐어웨어로 유명한 것이 CoolEdit와 Goldwave가 있다. 이 두 소프트웨어 모두 최근 업그레이드되었지만, CoolEdit는 이제 더 이상 쉐어웨어라고 할 수 없을 정도의 크기와 성능, 또한 배포 역시 쉐어웨어 형태가 아닌 정식 버젼의 데모형식으로 발표되고 있다. 하지만 적은 크기에 강력한 기능을 가진 골드웨이브는 최근 점차 덩치만 커져가는 소프트웨어들과 비교하여 작으면서도 강력한 기능을 가지고 있다.
Goldwave는 CoolEdit와 더불어 가장 대중적이고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강력한 사운드 편집 프로그램으로서 거의 모든 현존하는 거의 모든 사운드 포맷을 지원하고, 인터넷에서 많이 쓰이는 Unix용 사운드 포맷들을 지원할 뿐 아니라, 사용자의 편의를 위한 다양한 툴 바, 그리고 사운드 디바이스를 별도로 운용할 수 있는 리모콘과 같은 Device Controls를 내장하고 있어서 비교적 초보자들도 강력한 사운드 편집의 묘미를 느낄 수 있다.
Goldwave는 CoolEdit와 같은 시기에 출발하여 꾸준히 버전 업되고 많은 사용자들이 사용하고 있는 사운드 편집 소프트웨어이다. 최근 발표된 CoolEdit 2000의 용량은 8MB의 고용량이지만 Goldwave의 크기는 846KB로 그 1/10 정도다. 하지만 그 성능은 상당히 뛰어나다.
Goldwave는,
① 사운드를 자유자재로 에디트, 플레이, 레코드, 변환 등을 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모든 멀티미디어PC용 사운드카드를 지원한다. 지원하는 포맷은 WAV, VOC, IFF, AFC, AU, SND, MAT, DWD, SMP, VOX, SPS 등이며 8비트와 16비트 이외에도 특이하게 12비트와 RAW도 지원한다.
② 사운드를 효과적으로 편집 및 제작하는데 필요한 이 프로그램은 32비트가 되면서 속도 면에 대단한 향상이 있었다. 완벽한 멀티태스킹도 일품이다. WAVE, VOC, AU, IFF, AIF, SND 등 거의 모든 디지털 샘플링 사운드를 편집할 수 있으며, 여러 개의 사운드 파일을 동시에 편집할 수 있다. 또한 CD-ROM에서 디지털 사운드를 편집하여 각종 웨이브 파일로 저장 가능하며, CD 플레이어 기능도 제공한다.
③ 다양한 효과, 다양한 파일 포맷으로의 변환, 여러 소스로부터의 레코딩, 원하는 디바이스에서 실행 가능하며, 하드디스크가 허용하는 무한대 용량까지 사운드 파일 편집 및 재생이 가능하다.
보통 매니아들이 주로 이용하는 사운드 편집 프로그램인 ‘sound forge’등은 초보자들이 시중에서 손쉽게 구할 수 있는 프로그램은 아니기 때문에 여기서는 쉐어웨어로 누구나 인터넷에나 손쉽게 download 받을 수 있는 goldwave 4.26 프로그램에 대해서 알아보자.
http://www.atfile.com
4. GoldWave 구성 요소
가. 전체 화면 구성
골드웨이브를 처음 실행시키면 골드웨이브는 쉐어웨어 버젼이라는 말과 함께 영어로 된 도움말이 자동으로 팝업된다. 무시하고 닫고 소리 파일을 불러오면 위와 같은 초기 화면이 된다. 골드웨이브는 전문가도 쓸만한 프로그램으로 집에서 파일을 하나하나 편집하다보면 마치 프로듀서가 된 기분도 된다.
위의 그림은 GoldWave를 실행시킨 다음 사운드 파일을 불러온 경우이다. 메뉴바, 메인 툴바, 효과 툴 바, 사운드 윈도우, 디바이스 컨트롤 윈도우, 상태 바로 구성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맨 처음에 파일을 불러오면 채널이 두개로 나뉘어 진다. 초록색과 빨강색의 파형은 스테레오 사운드라는 것을 의미하며 좌우 스피커를 통해서 소리가 들린다. 물론 효과음 같은 경우는 간혹 스테레오 사운드를 사용해야할 필요가 있지만 배경 음으로 사용할 때는 모노 음으로 해야 용량이 많이 줄어든다.
오른쪽에 작은 창은 앞으로 불러올 파일들을 컨트롤 할 수 있는 디바이스 콘트롤 창이다. 자주 사용하는 창중에 하나이다.
위쪽에 파란 사각형과 분홍 사각형으로 표시되어 있는 툴 바들은 단축키이며, 이들에 대한 설명은 Options항목에 있는 'Tool bar option'이라는 부분을 보면 자세히 알 수 있다.
나. 디바이스 콘트롤 윈도
② 오른쪽에 있는 기능은 위로부터 볼륨, 스피커 좌우 음량, 재생 속도 조절기이며, 아래의 두 창은 클릭하면 펄스모양을 여러 가지 형태로 바꿀 수 있다.
Device Controls는 열려있는 파일의 재생 및 정지 등의 기능을 실행시키며, 이를 통해 현재 파일의 편집 상태를 직접 들을 수가 있다. 또한 recording 버튼을 누르면 CD나 인터넷 등에서 재생되는 음악을 즉석에서 웨이브 파일로 녹음시킬 수가 있다.
플레이 버튼이 일반적인 버튼과 스마일 표시가 되어있는 버튼이 각각 하나씩 있다. 일반적인 플레이 버튼은 불러온 파일의 처음부터 끝까지 플레이하는 버튼이고, 스마일 표시가 되어있는 버튼은 사용자가 필요한 만큼 구간을 정했을 때 그 부분만 플레이하는 버튼이다.
① 소리파일의 영역을 선택할 수 있으며, 편집 상황을 볼 수 있다.
② 선택방법은 위의 그림에서처럼 마우스의 각 버튼을 클릭하면 그 방향의 끝이 된다.
라. 상태 바
활성화된 사운드윈도우의 샘플링비율, 크기, 선택영역,채널, 파일포맷정보를 나타낸다.
왼쪽하단에 나타나 있는 44100Hz는 현재 열려있는 파일의 sampling rate를 나타내는 것이며 이 수치가 높을수록 좋은 quality가 된다.
또한 stereo라는 표시와 경우에 따라 오른쪽 하단에 8bit란 표시가 나타나는데, 역시 현재 열려있는 파일이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며 bit는 8bit와 16bit가 있다.
5. 기본적인 메뉴 구성
가. 효과 도구의 기능
|
소리의 속도를 조절한다. 음성변조에 이용할 수 있다. |
|
에코우 효과를 준다. |
|
필터의 기능. 여기서 자주 쓰이는 기능은 Noise reduction 인데 잡음 제거 기능이 있다. 기본값으로 해놓고 ok를 눌러도 충분하다. 다른 기능들은 한번씩 해보시길……. |
|
말소리를 뒤부터 플레이 해준다. “피가모자라…피가모자라….” |
|
사운드의 볼륨을 조절해 주는 메뉴 나머지는 많이 본 기능, 한번씩 해보길 추천한다. 그리고 Change메뉴는 볼륨을 바꾸는 메뉴인데 %로 나타나기 때문에 예를 들어 200%면 두 배의 크기로 커진다. 작게 녹음된 음의 소리를 키울 때 사용한다. |
나. 편집 도구의 기능
사운드 윈도우에서 편집 하고자 하는 부분을 설정하면 선택영역은 푸른색으로 표시되며, 선택영역의 설정은 위에서 설명이 되었다.
다) 단축 아이콘의 기능
① New : 새로운 화일을 만든다.
② Open : 파일을 불러온다.
③ Save : 저장한다.
④ Undo : 방금 전에 한 작업을 취소한다.
⑤ Copy : 선택된 부분을 복사한다.
⑥ Cpy2 : 선택된 부분을 복사하고 파일로 저장한다.
⑦ Cut : 선택된 부분을 자른다.
⑧ Paste : 복사하거나 자른 부분을 붙여 넣는다.
⑨ PNew : 복사하거나 자른 부분을 새로운 화일로 만들어 붙여 넣는다.
메뉴>Edit 에 있는 paste at는 어떤 위치에 붙일 것인지 결정할 수 있다.
◈ Paste at (붙여넣기 하는 방법)
Beginning : 원래의 파일이 시작되는 위치에 붙여 넣기
Finish Marker : 마우스로 클릭하여 선택된 위치에 붙여 넣기
End : 파일의 끝에서부터 붙여 넣기
⑩ Mix : 소리 혼합하기, 복사하거나 잘라낸 부분을 현재 선택된 부분의 시작점을 기준점으로 섞는다.
⑫ Trim : 선택영역만 남기기, 복사하거나 잘라낸 부분을 현재 열린 파일의 총 길이만큼 채운다.
⑬ Chan : 스테레오일 때만 쓰이는 메뉴, 채널 선택을 할 수 있다.
⑭ View : 현재 창에 보이는 정도의 길이만을 선택한다.
⑮ Sell : 선택된 부분을 최대로 확대해서 보여준다.
⑯ 1 : 1 : 0.001초 단위까지 확대해서 보여줍니다.
⑰ User : 사용자 맘대로 사이즈를 확대한다.
⑱ All : 다 보여준다.
⑲ Help : 도움말
6. GoldWave 활용
가. 목소리 녹음하기
① 골드 웨이브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② [File]-[New]를 선택하여 사운드를 입력할 준비를 한다.
③ 목소리를 녹음하려면 [Voice]를 선택하고 녹음 길이 ([Length]의 아래쪽 화살표를 눌러)를 5초로 선택한다.
④ [OK]를 누르고 편집 창이 뜨면 키보드의 [Ctrl] 키를 누른 상태에서 Device Controls 창의 빨간색 버튼을 누르고 마이크를 통하여 녹음을 시작한다. 녹음할 때는 [Ctrl] 키를 누르지 않으면 녹음이 되지 않는다. 녹음을 중지하고 싶으면 분홍색으로 변한 버튼을 누르면 된다.
⑤ 녹음된 파형이 생기면 정상적으로 녹음이 된 것이므로 [File] -[Save]를 선택하여 폴더를 지정하여 파일 이름을 입력하고 파일 형식을 ‘wav’로 한 다음 [저장]을 클릭 한다.
⑥ 저장이 끝난 사운드를 Device Controls 창의 녹색 Play 버튼을 눌러 재생시켜 보자.
나. CD 사운드 녹음하기
위의 New Sound 대화상자에서Quick settings에서 CD를 선택하고, 채널은 Stereo, 샘플링비율은 44100Hz, Length는 녹음시간을 설정하는 것인데 적당한 시간을 설정해준다.
② 오디오 CD를 구동 시켜야 하므로 메뉴에서 [Tool]-[CD Player]를 선택한다.
③ 화면에 CD 재생기가 나타나면 재생버튼을 선택한다.
④ Ctrl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골드 웨이브의 Device Controls (장치제어) 창의 녹음 버튼)을 선택한다. New Sound에서 지정해 둔 시간이 경과하면 녹음이 자동으로 종료된다.
⑤ [File] - [Save]를 선택한 후, 파일이름을 기록하고 저장 버튼을 선택한다.
⑥ 저장이 끝난 사운드를 Device Controls 창의 녹색 Play 버튼을 눌러 재생시켜 보자.
<녹음 조건설정>
Device Controls (장치제어) 창의 버튼을 클릭하면 왼쪽과 같은 대화창이(Properties)가 나오면 Volume 패널에서 CD 오디오를 체크하고 Volume을 설정한다.
다. 파일의 부분 삭제 및 복사
웨이브 파일을 편집할 때 삭제하고자 하는 파일의 일부분이 있을 것이다. 이 때는 삭제하고자 하는 부분을 마우스로 드래그하여 삭제하고자 하는 구간을 설정하면 그 구간만 파란색으로 선택되어진다. 그리고 Delete key를 누르면 삭제된다.
파일의 부분 복사도 같은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복사하고자하는 부분을 마우스로 설정한 후 ctrl-C를 눌러 복사한 후 붙이고자하는 부분을 마우스로 지정한 후 ctrl-V를 누르면 복사가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컨츄리 꼬꼬의 ‘Gimmie Gimmie’란 노래에서 가수가 ‘Gimmie’라고 부른 부분을 복사하여 여러 번 붙이면 ‘Gimmie Gimmie Gimmie…….’라는 노래 구절과 같은 표현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라. 두 사운드를 합성하기
① 먼저 합성하고자 하는 두 사운드 파일 A, B가 있다면 합성하려고 하는 사운드파일 2개를 연다.
② A 사운드를 먼저 열고, B 사운드를 연다.
③ A 사운드 윈도우를 선택한 후 원하는 부분만 copy 또는 cut을 사용하여 클립보드로 저장한다.
④ B 사운드 윈도우를 선택하여 합성될 곳을 지정한 후 [Edit]-[ mix...를 선택한다.
⑤ 볼륨은 ‘100’이 원음의 볼륨이다.
⑥ 믹서가 성공적으로 되었는지 사운드를 재생해서 확인한다.
마. 사운드 편집하기
① [File]-[Open]을 선택하거나 [Open] 아이콘을 클릭 하여 편집하고자 하는 파일을 편집 창으로 불러온다.
② 잘라내고자 하는 파형의 부분에 마우스를 대고 왼쪽 버튼을 누른다.(왼쪽을 기준으로 한 파형이 선택된다)
왼쪽 버튼을 이용해서 앞부분의 시작구간을 정해준다. 이 작업은 뒷부분 설정하는 작업보다는 쉽다.
③ 파형의 오른쪽 부분에 마우스를 대고 오른쪽 버튼을 누른다 .(오른쪽을 기준으로 한 파형이 선택된다)
스테이지를 살펴보면 각각의 음높이에 따라 파선형태로 세밀하게 표시되어 있기 때문에 정밀한 컷팅을 할 수가 있다.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자기가 선택하고자 하는 구간의 끝에 대고 드래그를 하면서 조절한다. 이 구간을 세밀하게 하는 방법은 그냥 열심히 플레이 버튼을 눌러가면서 구간을 일일이 확인하는 수밖에 없다. 조금은 지겨운 작업이다.
④ 그런 다음에 스마일 플레이 버튼으로 원했던 구간인지 확인 본다.
스마일 플레이 버튼을 이용해서 원했던 구간인지를 반드시 확인하고 마우스 좌우측 버튼을 확실하게 구분한 후 드래그 해서 조정해 준다.
⑤ [Edit]-[Copy]를 선택하거나 [Copy]아이콘을 클릭하면 복사가 진행된다.
⑥ [File]-[New]를 선택하거나 [New] 아이콘을 클릭 하여 새 파일을 준비한다.
◈ Paste at (붙여넣기하는 방법)
Beginning : 원래의 파일이 시작되는 위치에 붙여 넣기
Finish Marker : 마우스로 클릭하여 선택된 위치에 붙여 넣기
End : 파일의 끝에서부터 붙여 넣기
⑨ [File]-[Save]를 선택하거나 [save] 아이콘을 눌러 파일 이름을 입력하고 저장한다.
7. 다양한 옵션의 활용
가. Resample (Sampling rate 변환)
파일의 Quality를 나타내는 중요한 요소의 하나인 Sampling rate를 조절하는 것이다. 편집창의 Effects항목 중Resamples...을 누르면 위의 그림과 같은 창이 나타난다. 오른쪽 부분의 수치가 sampling rate를 나타내므로 바꾸고자 하는 수치로 설정하면 된다.
이 때 sampling rate를 낮췄을 때 파일의 용량이 많이 줄어드는 걸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나. 모노와 스테레오간의 변환 및 bit 변환
웨이브 파일을 Stereo와 mono간의 convert나 파일의 bit를 변환하고자 할 때는 편집창에서 Options - Filetypes...를 차례로 클릭하면 위의 창이 뜬다. 여기서 Attributes 항목을 보고 원하는 type으로 변환한다.
또한 이 창에서는 바로 위에서 설명한 sampling rate 변환도 가능하다.
다. Pitch 변환
웨이브 파일의 Pitch 변환은 주로 사람이나 동물의 목소리를 변환할 때 주로 사용된다.
TV 프로그램에서 범죄자들이나 제보자들의 음성을 변조하여 내보낼 때 주로 사용하는 기법으로 1을 기준으로 하여 수치가 이보다 높으면 고음의voice tone이, 1보다 낮으면 저음의 voice tone으로 출력된다.
편집창에서 Effects항목중 Pitch...를 선택하면 위의 그림과 같은 창이 뜨고 원하는 수치로 바꿔주면 된다.
*기타 Effects항목에 있는 내용들을 한번씩 다 사용해 보면 다양한 효과가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라. Noise 제거
몇 번의 편집 작업을 거치는 동안 파일에 noise가 생성될 수도 있다. 특히 stereo를 mono로, 16bit를 8bit로 낮추든가 또는 sampling rate를 낮추는 경우 주로 noise가 많이 생성된다.
이 때는 편집창에서 Effects항목중 Filter - Noisereduction...을 선택하여 좌측 그림과 같은 창이 뜨면 그림의 좌측하단 box에 있는 Hiss removal과 Reduce hum을 한번씩 구동시켜 주면 잡음이 상당히 감소된다.
이런 작업을 거치고도 일부분 noise가 남아있다면 편집창에서 View항목에 있는User를 선택한 후 마우스로 드래그하면서 손상된 파형을 마우스로 직접 수정해주면 된다.
8. mp3 사운드 만들기
골드웨이브에서 MP3사운드를 만들기 위해서 MPEG Layer 3 CODEC (즉, MPEG Layer 3로 압축하는 프로그램)을 필요하다. 거의 모든 MPEG CODEC이 상용화되어 있기 때문에 여기선 FREEWARE인 MP3 COMPRESSOR를 기준으로 만들기를 한다.
첨부된 MP3 COMPRESSOR를 설치하면 윈도우 시스템 내에 MPGE Layer 3 CODEC이 설치되기 때문에 골드웨이브에서 바로 MP3로 저장이 가능하다. 물론 MP3 COMPRESSOR 자체 내에서도 MP3포맷이 가능하다.
MP3 COMPRESSOR이것만 설치되어 있으면 저장할 때 ‘파일형식’을 ‘WAVE’로 주고 ‘File Attributes’에서 MPEG Layer-3만 선택해서 저장하면 된다.
MP3 COMPRESSOR가 설치되었다면 WAVE파일형식의 File Attributes 목록상자에 이전에 없었던 MPEG LAYER-3 ...가 생긴다. (오른쪽 그림에서 반전된 목록)
<골드웨이브에서 MP3로 저장할수 있는 프로그램>
골드웨이브에서 기본설치만 하시면 WAV로 저장을 할 수밖에 없다. 하지만 아래 프로그램을 설치하시면 골드웨이브에서 직접 MP3파일로 저장을 하실 수 있게 된다.
lamewin32_1.exe
다운로드 : http://www.iya.pe.kr/pds_board/content.asp?idx=15&page=1 |
만약 저장이 안 되면 lame_enc.dll 파일을 c:\windows\system32 또는 c:\windows\system 파일에 복사해 넣으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