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 프로필 이미지
교육한국당
 
 
 
카페 게시글
The voyage of philosophy (철학의 항해) Unit 15-1 : 칸트의 「순수 이성 비판」의 탄생
안재오 추천 0 조회 186 20.11.13 21:21 댓글 2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 작성자 20.11.23 19:47

    첫댓글 요약

    철학의 항해 : 안재오 박사의 유튜브 철학 교실

    Unit 15-1 : 칸트의 「순수 이성 비판」의 탄생

    칸트의 철학은 비판철학 혹은 선험적 관념론이라고 부른다. 비판철학이란 인간의 인식의 한계를 알고 그 안에서 지식을 추구하는 것이다. 이에 비해 독단주의란 인간 지식의 한계를 모르고 형이상학적인 실체 즉 신, 영혼 혹은 자유의지 등을 가정하는 철학이다. 칸트는 초기에 독단주의에 빠져있다가 나중에 비판주의를 주장하여 그의 최고의 저서 <순수이성비판>을 저술했다.

    그러나 나의 질문은 “칸트가 어떻게 전통적인 독단주의와 그리고 회의주의 마저 극복하고 그의 진정한 철학, 즉 비판적 관념론을 확립할 수 있었는가?” 이다.


    지금까지 칸트의 사상의 발달에 있어서 그의 사상의 분수령, 즉 급격한 변화에 대한 충분한 설명이 없었다.

    완전히 다른 두 형태의 철학 사이에서 칸트는 1769년 그에게 "큰 빛이 주어졌다"고 고백했다. 그의 주요 작품인 《순수 이성의 비판》은 1781년에 출판되었고 루소의 “에밀”은 1762년에 출판되었다. 칸트는 루소의 "에밀"이 출판(1769)된 지 7년 후 특히 “에밀”의 "사보이 보좌신부의 신앙 고백" 에서 루소의

  • 작성자 20.11.23 19:48

    철학에 접했다. 이것이 바로 칸트가 본 큰 광명의 실체이다. 이것은 필자의 추측이고 그 증명은 이제 시행한다.


    칸트 자신도 자기 사상의 급진적인 변화를 "코페르니쿠스적 혁명"이라고 불렀다.

    임마누엘 칸트에 의한 코페르니쿠스적 혁명은 어떻게 일어났는가?

    나의 주장은 다음과 같다: 루소의 “에밀” 이 칸트의 패러다임 변화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더 자세한 내용은 유튜브 참조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