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는 국내의 세력이 강하여 inward가 어렵다고 배웠습니다.
저는 현지화가 중요한 한국시장에서 성공한 브랜드는 무엇이 있는지 생각해보았고 최근 동부산에 국내 네번째 매장을 오픈한 이케아를 떠올렸습니다.

이케아는 스웨덴의 가구 제조 기업입니다. 이케아는 스칸디나비아 특유의 디자인과 저렴한 가격, 그리고 무엇보다 소비자가 직접 운반하고 제작해 조립과 배송 비용이 없는 DIY 제품
판매로 발전하고 유명해진 기업입니다. 현재 오스트레일리아, 독일, 미국, 캐나다, 오스트리아, 프랑스 ,벨기에, 체코, 아랍에미리트, 중국, 러시아, 일본, 터키, 태국, 대한민국 등 세계 29개국에
355개의 매장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케아는 어떻게 한국에서 성공할 수 있었을까요?
이케아가 성공할 수 있었던 가장 큰 이유는 철저한 시장조사에 있습니다. 이케아 코리아의 대표인 슈미트갈
대표는 매장을 오픈하기 전부터 직원들의 집부터 시작해 수많은 한국인의 집을 방문하며 한국인들의 주거 생활을 연구했다고 합니다. 한국은 서양과 달리 욕실이 습식 문화이고 자녀가 생겼을 때 집을 꾸미는 데 많은 변화가 일어나며, 마당이 있는 집보다는 고층 아파트가 많다는 것을 알고 이에 적용한 제품을 준비하는 데 많은 노력을 기울였습니다.

또한 사람에 대한 투자가 우선이라고 생각하여 직원 교육과 임금 이외에도 직원들의
육아와 복지 등에 집중하였고, 회사가 직원들과 함께한다는 생각을 심어주기 위해 노력하였습니다. 이케아는
여성 인력을 중요하게 여기고 배려하며, 관리자급의 성비를 5대
5로 유지하고 있습니다. 또한 비정규직과 정규직의 차별을
거의 두지 않고 같은 시간을 일했으면 동일 임금을 지급하고, 보너스와 보험 등의 혜택도 모두 같이 제공한다고
합니다. 연장자에 대해서도 정년의 나이를 만 65세로 연장하는
등 이들에게 기회를 부여하기 위한 방법을 지속적으로 모색하고 있습니다.

이케아는 다양한 현지 사회공헌활동(CSR)도
하고있습니다. 광명점의 경우 광명전통시장 고객쉼터와 새마을전통시장 고객지원센터에 직원들이 방문해 다양한
이케아 제품들을 직접 조립해 기부했고, 보건소와 거리가 멀어 이용에 불편을 겪고 있는 광명시 구도심권
소외계층을 위해 광명시 시민건강진흥센터를 2018년 1월
말 완공해 광명시에 기부하기도 했습니다. 고양점은 오픈 1주년에
고양시 인근 어린이들을 위한 `행복의 나눔` 캠페인을 진행하기도
하였고, 고양점에서 고객이 제품을 구매할 때마다 1건당 1000원의 기부금을 적립하여 고양·파주지역 다문화가정을 지원하는 고양이민자통합센터의 교육환경 개선을 위해 기부하였습니다. 또한 이케아는 지속가능한 생활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노력 중입니다.
매장 내 모든 일회용 플라스틱 제품에 대한 사용을 중단하였고, 광명점의 경우 건축할 때부터 60억원 이상을 투자해 3000개의 태양광 패널을 지붕에 설치하였으며, 지열 에너지를 활용한 난방시스템 구축, 매장 내 폐기물 90% 재활용, 무료 전기차 충전소 설치 등의 솔루션을 구축하였습니다.
한국의 소비자들은 DIY 제품에
익숙하지 않았습니다. 이에 대해 이케아는 서비스를 잘게 쪼개 다양하게 제공하였습니다. 제품만 저렴하게 구매하고자 하는 이들에게는 직접 배송과 조립을 하게 하였고,
조립만 도움을 원하는 이에게는 조립 서비스를, 조립·배송 서비스를 모두 원하는 이에게는
두 서비스를 모두 제공하였습니다. 이로 인해 소비자 입장에서는 지불한 비용에 따라 서비스 선택의 폭이
넓어지고 기업 입장에서는 제품 이외의 수익도 얻을 수 있게 하였습니다.

온라인 가격이 비교적 저렴한 한국 시장의 통상적인 개념과 달리 이케아 코리아는 온라인, 오프라인 제품과 서비스 가격에 차이가 없습니다. 온라인은 오프라인
매장에 오지 못하는 이들을 위해 옵션을 제공하는 것으로 어플리케이션 통해 가구를 가상배치 해보고 구매할 수 있습니다.
이케아는 한국에 진출하면서 한국의 생활에 맞는 제품들을 만들려고 노력하였고
한국에서 돈을 버는 만큼 한국 소비자들과 사회에 기여하려고 하였습니다. 이 점이 외국 기업에 대한 한국
소비자들의 거부감을 없앴으며 소비의 정당성을 가져왔다고 생각합니다.

이케아는 현재 국내 매출 3위 기업으로
성장 할만큼 국내 소비자들에게 많은 사랑을 받고 있습니다. 1996년 한국에 진출한 까르푸가 10년
만에 철수 한 이유는 한국 소비자들을 이해하려고 하지 않았고 글로벌 스탠더드만 강조하며 전 세계에서 사용되는 글로벌 전략을 동일하게 한국에서도
끼워 맞춰 적용했기 때문입니다. 어떤 기업이 외국에 수출하기 위해서는 그 나라의 문화에 대해 이해하고
이에 맞는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하여야 합니다. 또한 이익만을 쫓지 않고 그 사회와 공존하고자 노력한다면
진출이 어렵다는 한국에서도 이케아처럼 충분히 성공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출처
https://ko.wikipedia.org/wiki/%EC%9D%B4%EC%BC%80%EC%95%84
https://www.mk.co.kr/news/business/view/2019/03/155672/
첫댓글 이케아의 한국진출 성공 사례는 미국 MBA 스쿨에서 최근 주목받기 시작한단다 ^^
중간시험 평가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