망주석 세호의 의미
<어사 박문수선생 묘소 망주석의 세호의 모습이 전형적인 도룡뇽의 형상이며
左上右下의 모습에 우측의 세호가 중간 있는것은 특이한 형태이다>
임진왜란 후 도롱뇽서 서민적 다람쥐로 변화
우리나라 매장 풍습에는 봉분 앞에 방향을 정해 상석, 묘비, 장명등, 문인석,
망주석 등을 세운다. 지체가 높을수록 석조물들이 즐비하다.
그 중 재미있는 것이 망주석이다. 봉분 맨 앞 좌우 서있는 돌기둥이 망주석이다
팔각형의 둥그스름한 생김새도 남근을 닮은 기자석이고 3분의 1 지점에
작은 동물 형상이 디자인되어 있다.
동물문양은 망주석을 오르거나 내려가는 모습이며 없는 것도 있다. 지형, 풍수
등에 따라 다르다. 망주석에는 보통 맨 위에 연꽃 문양을 새겨 놓고
아래는 소반을 새긴다.
망주석은 망두석으로도 불리는데 영혼이 나와 쉬는 곳이다. 또는
밖에 나갔던 영혼이 망주석을 보고 찾아오는 표식이라고도 한다.
오래된 망주석에는 도롱뇽이 디자인되어 있다.
도롱뇽은 양서류로 물과 육지에서 활동이 가능하다. 민간에서 영혼은 육지보다는
물을 좋아한다고 믿는다. 때문에 영혼이 무덤을 빠져나와 속세를 구경할 때
수륙을 넘나드는 도롱뇽을 타고 다닌다고 생각했을 것이다.
하지만 양반들은 용도 용나름이지 도롱뇽을 타고 다닌다는 것이 어색했는지
세호(細虎 : 작은 호랑이)라는 명칭을 붙였다.
그러던 것이
임진왜란을 지나면서 변화를 겪는다.
도롱뇽이나 세호까지는 귀족들의 문화였다면 세호가 민간으로
내려오면서 슬그머니 다람쥐가 된 것이다. 서민들은 다람쥐의
생리를 잘 알고 있었다.
다람쥐는 가을이 되면 열심히 도토리와 먹잇감을 주워 땅에 묻어
숨겨둔다. 하지만 다람쥐는 자기가 숨겨둔 도토리의 10%도
못 찾는다. 그렇다면 나머지 90%는 발화하여 도토리나무로
성장할 수 있다는 결론이다.
육지에 남아 있는 도토리는 모두 동물의 먹이가 되거나 아니면
썩어 버린다. 하지만 다람쥐가 모은 도토리는 90%가 나무가 된다.
망주석의 다람쥐가 오르는 것은 쉬러가고 내려가는 것은 일하러 가는 것이다.
결국 세호는 다산과 만복을 기원하는 의미를 심어놓은 것이다.
더욱이 도토리는 배고픈 서민들의 끼니였고 망주석의 모양이
기자석임은 예사로운 의미는 아니다고 여겨진다
*祇子石(토지신기.아들자.돌석)이란?
기자란 아이를 낳기 위한 치성을 드리는 행위를 말하며 주로 산신과 생명의
원천을 연결시키는 산신신앙의 형태로 기자석을 만들어 기원하는 돌을 말함
*세호의 또다른 의미는 음택 주인이 본인의 집을 찾아올수 있도록
문패와 같은 의미도 있고
*부인의 친정쪽의 기를 꺽어놓기 위한 방책으로 부인의 앞에 있는
망주석의 세호를 내려오게 하였다는 설도 있다
*또하나는 망자들의 타계순에 따라 그리했다는 설도 있다
이런 설에 대한 자세한 연구 검토후 새로 보강하겠읍니다
2007.3.26
근곡풍수지리연구소
대표풍수사 김홍엽
첫댓글 감사함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