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단 섬유에는 천연섬유와 인조섬유..로 구분할 수 있지요. 천연섬유에는 면,양모,견,마 등이 있는데요 각각의 옷감의 가격은 일단 섬유성분과 짜임새 굵기 염색 폭 에 따라서 달라집니다. 일반적으로 견이 제일 비싸고, 양모, 마, 면..이런순서겠네요.
견은 우리가 흔히 실크라고 하지요. 무늬가 이쁘게 들어간 견직물은 양단이라구 하구요, 무늬가 없이 짜여진 건 공단이라고 해요. 또한 겉표면에 줄무늬같은게 쭈욱쭈욱 있는건 수직실크라고 하지요. 천연섬유가운데서 유일하게 필라멘트사(실을 만들기위해서 섬유를 뽑아내는데 길게길게 뽑아지는게 필라멘트사..라고 합니다.)이구요.. 그래서 부드럽고 광택이 좋은 직물을 만들수 있구요. 견직물에 물세탁은 쥐약입니다. 광택도 죽고 줄어들기 일쑤지요. 가끔 물세탁이 가능한 견직물이라고 나오기도 하는데 대개는 (물실크..라고 하던가요?) 폴리에스테르를 견직물처럼 비슷하게 만든거지요. 진짜 실크는 물세탁이 불가능합니다. 가격은..보통 1마에(44inch입니다.) 만원정도가 최저가입니다. 수직실크는 만2천원에서 만5천원선이구요..물론 더 비싼것도 많구요.
양모섬유..에 대해서. 양털을 깎아서 만드는게 양모섬유..모직이지요. 보온성이 좋아서 겨울철 옷감으로 많이 쓰이지만 또한 얇게 만들어서 쿨 울(cool wool)이라고 여름철 옷감으로도 많이 쓰인답니다. 순모직물은 당근..드라이클리닝(실크처럼)해주야합니다. 양모섬유의 겉표면에는 비늘같은게 다닥다닥 붙어있어서 마찰을 심하게 주거나 하면 그게 쭈우욱 줄어듭니다. 줄어들뿐만아니라 옷감이 뻑뻑해지고 두꺼워지죠. 그런데 순모로 된 옷은 (특히 스웨터종류)는 따끔따끔해서 별루 좋지 않던데요.. 그래서 대개 합성섬유가 절반적도 섞인 옷은 한두번의 드라이클리닝후에 물세탁도 가능합니다. 이럴때도 찬물이나 세탁기는 절대 하면 안되구요 미지근한 물에서 울샴푸로 곱게곱게 주물러주듯이 빨아줘야하구요. 요즘 많이 나오는게 또 캐시미어라는게 있지요. 이건 잘 모르겠는데.. 캐시미어는 일반적인 양모보다 훨씬 비싸지만 감촉이나 보온성에서는 더 뛰어나구요. 모직물의 가격은 (더블폭이라고..해서 모직물은 60inch폭입니다.) 만원~만2천원..(두꺼운 모직물의 경우입니당..)정도구요 양복에 쓰이거나..쪼끔 얇은건 또 틀립니다..
면직물..은 잘 아시죠? 가장 흔하게 접하는게 면직물입니다. 물에 들어가면 강도가 세지고 열에도 강하고 두루두루 다루기 쉬운직물이긴 하지만 주름이 너무 많이 가죠. 그래서 합성섬유와의 혼방이 더 많은 편입니다. 흡습성도 좋구요. 가격도 저렴한 편입니다. 44inch폭에 3천원~5천원 사이입니다. 홈패션에 많이 쓰이는 두꺼운 조직은 옥스포드라고 하구요. 청바지와 같은 면제품은 데님이라고 하지요.
마..는 여름철에 많이 입죠? 모시..도 마의 한 종류라고 할 수 있겠네요. 면직물보다도 열에 더 강합니다. 아시는대로 주름도 장난아니게 갑니다. 손질하기도 꽤 까다롭죠. 면이나 그 외 인조섬유와의 혼방은 폭이 44inch~54inch까지도 나오는데 한복에 쓰이는 모시..등은 30cm~50cm정도였던가? 하여튼 폭이 굉장히 좁습니다. 가격은 한복가게에서 파는 그 좁은 폭이 3천원안팎이구요 넓은거..(혼방)은 4천원~5천원 안팎이었던듯합니다. 물에도 강해서 물세탁이 가능하지만 조직이 엉성해서 세탁기에 함부로 돌렸다가는 망가지기 일쑤니 손세탁하셔야하죠.
자..이제 인조섬유 들어갑니다. 인조섬유는 합성섬유를 포함하는 말입니다. 합성섬유란 그 섬유의 원재료까지도 사람이 만들었단 얘기구요 인조섬유는 재료는 자연에서 얻되 제조만 사람이 하는것이지요.. 인조섬유에는 아세테이트와 레이온이 있는데요 원료는 펄프나 면섬유를 떼어내고 남은 찌꺼기 셀룰로오스를 녹인것이구요. 화학적인 방법으루 섬유를 다시 만들어내는 거죠. 둘 다 단독적인 섬유직물로는 잘 안쓰이구요 안감으로 쓰이거나 마직물이나 합성섬유와의 혼방에 많이 쓰입니다. 안감같은 경우에 가격은 천5백원선입니다. 혼방직물같은 경우는 다양..^^; 천연섬유 재료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천연섬유의 장점도 많이 갖구 있지요. 흡습성이라든가..이런면에서.
합성섬유..입니다. 아..방대한 양의 정보가 술술술
나일론은 워낙에 유명하지요.. 가장 처음 만들어진 합성섬유니까요. 흡습성이 거의 없구요, 열에 약한 것은 합성섬유의 대표적 성질입니다. 대신 주름이 잘 가지 않구 직물 목적에 따라 다양한 방법의 직조가 가능한것이 장점이지요.
가장 널리 쓰이는 합성섬유는 폴리에스테르입니다. 두루두루 혼방직물에 많이 쓰이구요, 약방감초처럼 마니마니 쓰입니다.
아크릴은 보온성이 좋구 모직물과 비슷해서 스웨터나 담요 만들때 많이 쓰입니다.
폴리우레탄..은 스판덱스라고도 하지요. 탄력성이 좋아서 고무줄처럼 쫙쫙 늘어납니다. 신축성이 필요한 옷감에 약간씩 섞여 있지요.
이정도가..많이 쓰이는 합성섬유고요.. 라이크라나 탁텔같은 건..합성섬유인데..제조회사에서 붙인 고유명사입니다. 라이크라는 폴리우레탄의 친척정도..로 생각하면 되지 않을까 하네요..
예전엔 합성섬유가 무조건적으루 천연섬유보다 싸구 나쁘게 생각됐었는데요 요즘은 합성섬유라고 무시할수가 없네요. 특히 고기능성 섬유제품은 거의 다 합성섬유거든요. 예를들어 등산복이나 스키복등에 많이 쓰이는 고어텍스 같은 경우는 대개가 나일론 혹은 폴리에스테르로 만들어져있습니다. 가격대는 정말 꽤나 비쌉니다.
그 외 합성섬유의 가격은 정확하게 책정하기가 어려운것이.. 다른 천연섬유와 혼방이 많이 되니까..저두 시장에 자주가면서도 잘 기억이 안나네여..^^;;
옷을 사실때 꼬옥 체크하실것이 옷 안에 붙어있는 care label입니다. 옷마다 특성이 있기때문에 모라고 일반적으로 말씀을 드리기가 어렵거든요. 모직물을 다릴때에는 겉표면이 반질반질해질수 있으니까 면직물을 덮고 다림질하라는 정도.. 합성섬유는 열에 약하니까 조심조심.. 두가지 이상의 섬유가 섞인 직물의 경우에는 낮은 온도의 섬유를 기준으로 다림질 온도를 맞추실것..(그렇지 않으면 낮은게 녹아버리니까요) 등등..이네요..
- 위 내용 간단 요점과 추가사항
섬유는 천연섬유와 인조섬유로 크게 나뉘죠. 1. 천연섬유 -식물성섬유 면 마: 아마, 대마, 저마, 모시 등 -동물성섬유 견(실크) 양모 기타 모: 캐시미어, 앙고라, 모헤어, 알파카 등등등 2. 인조섬유 -재생섬유 아세테이트 레이온 -합성섬유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폴리우레탄 아크릴 등등등
몇가지 언급할것. 견직물에서 양단과 공단을 언급하셨네요. 견직물의 종류는 아주 방대합니다. 다른 직물도 마찬가지겠지만, 대충 기억나는것만 적어봐도 단, 라, 능, 사, 금 등등등 양단, 공단은 단의 일종이죠. 양단은 자카드조직으로 무늬가 들어가 짜여진것...단은 모두 주자직으로 짜여진것인데 모두 줄무늬같은게 쭈욱쭈욱 있지요. 수직실크는 전 손으로 짠것을 이야기하는걸로 알고 있는데, 주자직을 수직이라고도 하는지....?는 전 섬유전공이 아니라 잘 모르겠슴다.
양모섬유겉표면의 비늘은 스케일이라고 하는데, 이 낚시 바늘같은 것이 서로 엉켜서 줄어들게 됩니다. 요즘은 인공적으로 이 비늘을 깎아 내어 미끈하게 만들어서 줄어듬을 방지하기도 합니다. 또한 이러한 효과를 일부러 내어서 서로 엉키게 만든 직물도 있는데, 펠트라고 합니다. 양모로 만든직물은 크게 방모직물과 소모직물로 나눕니다. 방모는 코트등을 만드는...털이 살아 있는 두꺼운 직물이고, 소모직물은 털을 깎아 낸겁니다. 그래서 좀 얇은데, 보통 양복지 생각하면 됩니다. 능직으로 짜여져 있는...
<섬유의 종류와 일반명, generic name>
여러 가지 섬유의 명칭을 개별 생산회사에서 부르는 상품명이 아닌 통일된 명칭으로 나타내는 것은 사용시의 편의성 제공, 정확한 특성의 인지 등 소비자 보호 차원에서 반드시 필요하다.
일반명(generic name)은 family name이라고도 하는데 그들의 화학적 성분에 따라 섬유화학을 기본으로 분류한 것으로 상품명과는 구별된다.
섬유의 한 그룹, 예를 들면 폴리아미드계에서 나일론을 사용하는 것과 같이 그 그룹에서 대표되는 섬유를 부르는 방법을 일반명이라고 볼 수 있다.
이것은 미국연방통상위원회(Federal Trade Commission, FTC)에서 제공하였다.
Cellulosic(셀룰로오스 화합물) |
Acetate
(아세테이트) |
셀룰로오스의 아세트산 에스터로부터 만들어진 섬유의 총칭으로 아세트산 섬유, 반합성섬유로도 분류된다. 셀룰로오스 분자를 구성하고 있는 글루코오스의 치환 가능한 세 개의 수산기 중 평균 2.4개가 아세트산기로 되어 있다.(‘디아세테이트’라고도 함) |
Triacetate
(트리아세테이트) |
3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섬유를 말하며, 셀룰로오스 분자를 구성하고 있는 글루코오스의 3개 수산기가 전부 아세트산기로 치환된 것이다. |
Rayon
(레이온) |
일명 인견이며, 비스코스 섬유, 구리암모니아법 섬유, 아세트산법 섬유 등의 셀룰로오스계의 화학섬유를 총칭하기도 한다. 좁은 의미로는 재생 인조섬유 중에서 셀룰로오스계에 속하는 비스코스레이온을 가리키며 필라멘트와 스테이플로 구별한다. |
Lyocell
(리오셀) |
레이온의 일종으로 종래의 비스코스레이온과는 달리 유기용제와 물을 함께 사용하는 용제방사를 하므로 습식방사시 방사원액 제조로 인한 환경오염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사용한 용제를 회수하여 재사용하므로 환경친화적인 섬유이다.(상품명으로 텐셀, 코셀 등이 있음) |
Mineral(무기섬유) |
Glass
(유리섬유) |
유리를 용융하여 만든 섬유를 말한다. 특수한 조성을 가진 유리를 전기로에서 용해하여 세공(細孔)으로 압출시켜 섬유를 형성시킨 것이다. |
Metallic
(금속섬유) |
금속을 가늘게 압연하여 섬유 모양으로 한 것이다. |
Noncellulosic and Synthetic(합성섬유) |
Acrylic
(아크릴) |
아크릴로니트릴의 단중합 혹은 이와 다른 물질과의 공중합물이다. 즉 아크릴로니트릴을 85% 이상 함유한 섬유이다. |
Anidex
(애니덱스) |
섬유 구성 고분자 중에 1가 알코올과 아크릴산의 에스터가 무게로 50% 이상 포함된 고탄성섬유이다. |
Aramid
(아라미드) |
아미드기에 2개의 방향족환이 직접 결합되어 있는 폴리아미드 섬유로 인장강도, 강인성, 내열성이 뛰어나며 고강력ㆍ고탄력성을 갖고 있다. |
Azlon
(아즐론) |
미국의 인조섬유로 천연의 단백질을 원료로 한 재생 단백질 섬유이다. 우유의 카제인, 옥수수, 콩, 땅콩 등으로부터 만든 섬유 또는 필라멘트를 총칭한다. |
Elastoester
(엘라스토에스터) |
신도, 강도, 신축성(탄성)은 스판덱스보다 약간 덜하지만 세탁가능하고 염소계 표백제에 대한 내성이 우수하며 염색성을 향상시키고 실크 같은 태를 갖게 하기 위해 활용된다. |
Fluoropolymer
(플루오로폴리머) |
폴리테트라플루오로폴리머(PTEE)가 가장 대표적이며, 상품명 테플론과 같은 섬유로서 조리기구의 코팅제로 쓰인다. |
Lastrile
(래스트릴) |
아크릴로니트릴이 10% 이상 35% 미만이 함유된 아크릴로니트릴과 디엔(diene)과의 공중합물로 된 고탄성섬유이다. |
Melamine
(멜라민) |
열경화성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수지에 여러 종류의 충전제를 섞어 만들어진다. |
Modacrylic
(모드아크릴) |
아크릴계 폴리머에 있어서 특히 아크릴로니트릴 함량이 85% 미만인 섬유이다. |
Novoloid
(노볼로이드) |
가교된 노볼락(Novolac)을 무게 분율로서 적어도 85%를 함유하고 있는 섬유이다.(Kynol이 상품명임) |
Nylon
(나일론) |
아미드기(―CONH―)의 연결에 의해 만들어진 축합중합체로 된 섬유이다. 현재 나일론 66과 나일론 6의 두 가지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
Nytril
(니트릴) |
시아노 비닐리덴 섬유(비닐리덴 디니트릴 고분자가 85% 이상 함유됨)를 말한다. |
Olefin
(올레핀) |
긴 쇄상 합성고분자인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기타의 올레핀류 중합체를 85% 이상 함유하는 첨가중합체섬유를 가르킨다. |
PBI |
폴리벤지이미다졸 섬유의 약어로 이미다졸기를 갖는 장쇄 방향족 고분자를 섬유형성 물질로 사용하여 제조한 섬유이다. |
Polyester
(폴리에스터) |
에스터결합(―COO―)에 의해 이루어진 중합체로 된 섬유이다. 현재 시판되고 있는 것은 거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이다. |
Rubber
(고무) |
실온에서 고무탄성을 보유하는 고분자 물질 혹은 그 재료로 천연고무는 고무나무의 절단면에서 얻은 라텍스를 고형, 건조한 것이다. |
Saran
(사란) |
염화비닐리덴, 염화비닐공중합섬유로 폴리염화비닐리덴계 합성섬유이다. |
Spandex
(스판덱스) |
우레탄 결합을 갖는 연쇄가 섬유를 구성하는 화학구조의 80% 이상을 점유하는 것이며 실제로는 500~700%의 신도를 갖는 탄성섬유를 의미한다. |
Sulfar
(설파) |
적어도 85% 이상의 설파이드 결합(―S―)이 두 방향족 고리에 직접 붙어있는 장쇄 합성 폴리설파이드로부터 제조된 섬유이다. |
Vinal
(비날) |
폴리(비닐 아세테이트)를 비누화한 후에 방사한 폴리(비닐 알코올)을 아세틸화한 것이다. |
Vinyon
(비니온) |
염화비닐(85~88%)과 비닐 아세테이트(15~12%)와의 공중합물로 만든 합성섬유이다. |
섬유의 종류와 특징
아세테이트(acetate)
1.섬유명: 원섬유-아세테이트(acetate):1919년 세라니즈사에 의해 제조.
2.구 조: 섬유단면은 매화꽃잎의 모양으로 측면은 1~2가닥의 홈이 파인 선상으로 되어있음.
3.염색가공유무: 분산염료.
4.특 징: 필라멘트사 사용이 대부분이고 견과 비슷한 우아한 광택이나며 견처럼 가볍고 염색이 잘된다. 보온성이 뛰어나고 잘 구겨지지 않는다. 흡수성은 적지만 벌레나 곰팡이의 해를 입지않는다.y
5.용 도: 양산,양복안감,부인용 Formal wear
6.가 격: 1마/2000원
7. 폭 : 110cm
8.구입처: 동대문 종합상가 D동 2층 2683호 은풍상회
나일론(Nylon)
1.섬유명: 원섬유-나일론(Nylon):1938년 미국의 캐로더스에 의해 제조.
2.구 조: 구조단면-원형, 속면-빨대형으로 매끄럽고 광택이 있음.
3.염색가공유무: 염기성 염료.
4.특 징: 장점-마찰정도가 강하고 비중이 가볍고 탄성이 뛰어나 잘 구겨지 지 않고 신소성도 좋다. 약품, 곰팡이, 해충에 강함.(모든 합성섬유의 특징)
단점-흡수성이 낮아서 정전기가 잘 일고, 차가우면서 미끄러지듯 한 질감. 햇빛에 두면 색상 황변. 그늘에 말림.
5.용 도: 스포츠웨어, 아웃웨어, 란제리, 수영복, 스타킹
6.가 격: 1마/6000원
7. 폭 : 90cm
8.구입처: 동대문 종합상가 A동 3층 3205호 現代직물
폴리에스테르(polyester)
1.섬유명: 원섬유-폴리에스테르(polyester)
2.구 조: 구조단면-원형, 속면-빨대형으로 매끄럽고 광택이 있음.
3.염색가공유무: 분산 염료, 카티온 염료.
4.특 징: 장점-탄성이 뒤어나며 가볍고 흡수성이 낮아 빨리 마르며 구김이 안생긴다. 약품, 곰팡이, 해충에 강함. 햇빛에 놔도 변질되 지 않음.
단점-땀을 흡수하지 못함. 정전기도 잘 생김. Philing(보푸라기) 이 잘생김.
5.용 도: 부인복, 신사복, 니트
6.가 격: 1마/2000원
7. 폭 : 110cm
8. 구입처: 동대문 종합상가 D동 2층 2683호 은풍상회
아크릴(Acrylic)
1.섬유명: 원섬유-아크릴(Acrylic):1984년 미국 듀폰사에 의해 제조./현 재섬유-울혼방으로 쓰임.(빨간체크)
2.구 조: 구조단면-원형, 속면-빨대형으로 매끄럽고 광택이 있음.
3.염색가공유무: 산성,분산,카티온 염료 다쓰임.
4.특 징: 장점-가볍고 부드러운 재질감으로 보온성이 뛰어남. 함성섬유중 염색성이 가장 좋음.
단점-흠수성이 낮아 정전기가 발생하기 쉬움. 올걸이에 걸어 말 리면 안됨. 눕혀서 말림.
5.용 도: 아동복, 가발, 인형가죽, 부인복, 신사복, 담요
6.가 격: 1마/2000원
7. 폭 : 100cm
8. 구입처: 동대문 종합상가 A동 3층 3126호 만물사
헤링본(herringbone)
1.섬유명: 원섬유-울(100%)/현재섬유-울, 울혼방(현재섬유wool+화혼방)
2.구 조: 변화능직.
3.염색가공유무: 바트 염료, 산성 염료.
4.특 징: 사문선에 의해 나타나는 사형무늬가 청어의 등뼈와 비슷하다는 점에서 이런이름이 붙여졌고 능직선의 골방향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반대가 된다.
5.용 도: 여성,남성 의복에 모두다 사용.
6.가 격: 1마/6000원
7. 폭 : 120cm
8. 구입처: 동대문 종합상가 C동 3층 3330호 충남상사
케시미어(Cashmere)
1.섬유명: 원섬유-케시미어(100%)/현재섬유-혼방(케시미어+wool+앙고라 or 나일론)
2.구 조: 능직,[경사-견사(실크), 위사-소모사{유럽}/경사-소모사, 위사- 소모사{우리나라}
3.염색가공유무: 동물성(산성 염료)
4.특 징: 캐시미어는 본래 산양모를 원료로 하여 만든것인데 광택이 있으며 매끄러운 감촉을 가진 고급 모직물이다.
5.용 도: 코트.숄, 여.남성 정장 suit
6.가 격: 1마/10000원
7. 폭 : 154cm
8.구입처: 동대문 종합상가 C동 3층 3330호 충남상사
오간자(organza)
1.섬유명: 원섬유-실크(100%)/현재섬유-오간자+폴리에스테르+견
2.구 조: 평직, 섬세한 필라멘트사
3.염색가공유무: 산성 염료.
4.특 징: 전통적으로 꼬임을 많이 준 겹실을 사용하였으며 바삭한 느낌이 있다. 이름은 organzine에서 유래되엇으며 2겹으로 고임을 많이주어 강도를 높인 실크날실을 뜻한다.
5.용 도: 웨딩드레스, 파티 한복,드레스
6.가 격: 1마/4500원
7. 폭 : 110cm
8.구입처: 동대문 종합상가 A동 2층 2086~90호 행복주단
쉬폰(chiffon)
1.섬유명: 원섬유-실크/현재섬유-실크(100%),혼방
2.구 조: 평직
3.염색가공유무: 산성 염료 약0.5%이하(red)
4.특 징: 극히 유연하고, 섬세한 직물로 엷은 투시성 직물. 처음 출시할때엔 28~42D(D:길이에 대한 무게값)의 생사에 편연(필라멘트사,2올이상 합쳐 꼬은석)을 준 것으로 만들었으며 그후엔 강연을 한 실로 재직.
5.용 도: 드레스, 스카프, 원피스(한겹으로는 사용안함, 안감 or 쉬폰을 여러겹)
6.가 격: 1마/7000원
7. 폭 : 120cm
8.구입처: 종로 6가 289-3 종합시장 D-2741호
공단(silk satin)
1.섬유명: 원섬유-실크(100%)/현재섬유-실크+화학섬유혼방
2.구 조: 주자직(경주자직:경사가 잘 보임.)
3.염색가공유무: 산성 염료.
4.특징: 마찰에는 약한편이나 고급비단의 한가지로 두껍고 무늬가 없으며 광택이 있다.
5.용 도: 이불감(한식.겨울용), 한복(겨울용), 블라우스(겨울용)
6.가 격: 1마/7000원
7. 폭 : 120cm
8.구입처: 종로 6가 289-3 종합시장 D-2741호
레이온(rayon)
1.섬유명: 원섬유-비스코스레이온(viscose rayon):1892년 영국에서 제조.
2.구 조: 구조내부는 부드럽고 코어층으로 이루어져 있고,
구조외부는 즈름이 생겨 단단한 skin층 생성.
3.염색가공유무: vat(바트 염료).
4.특징: 필라멘트(fillament)사(장실):견과 같은 광택. 드레이프성, 흡수 성이좋음. 물에 젖으면 약해지고 줄어드는 단점이 있음.
staple사(단실):천연섬유와 같은 느낌, 흡수성, 염색성이 좋음.
5.용 도:셔츠, 블라우스 안감.
6.가 격: 1마/2000원
7. 폭 : 120cm
8.구입처: 동대문 종합상가 A동 2층 2134~2161호 혜성TexTile
폴리우레탄(polyurethane)
1.섬유명: 원섬유-폴리우레탄(스판덱스)/현재섬유-(폴리에스테르 or 면, 다른 필라멘트를 섞어 사용)혼방:1959년 듀폰사에 의해 제조 “라이크라”
2.구 조: 구조단면-원형, 속면-빨대형으로 매끄럽고 광택이 있음.
3.염색가공유무: 혼방섬유 기질에 따른 염색. 염소계 표백제 사용금지[ex)옥시크린]
4.특징: 가볍고, 고무와 같은 신속성과 탄력성을 가지고 있어 5~8배 늘어남. 고무보다 질기고 회복력이 좋음.
5.용 도:거들, 팬티스타킹, 스포츠의류, 양말목 부분.
6.가 격: 1마/2000원
7. 폭 : 120cm
8.구입처: 동대문 종합상가 A동 2층 2134~2161호 혜성TexTile
저마(Ramie,苧麻)
1.섬유명: 원섬유-마/현재섬유-저마
2.구 조: 평직
3.염색가공유무: 정련,표백
4.특징: 쐐기풀에 속하는 모시풀 촉의 식물에서 얻는 안피식물이다. 학명은 B.nivea 라하며 우리나라, 중국, 일본, 인도등 온대지방서 산출된다. 섬유가 가늘고 순백색이며 광택이 많아서 가는실 방적에 적합하다. 마섬유중 제일 질기다. 열전도성이 크고, 염색성도 있을뿐 아니라 연한 양잿물에 넣어 끓이면, 명주실같이 광택이 난다.
5.용 도: 여름용의복, 한복
6.가 격: 1마/4000원
7. 폭 : 30cm
8.구입처: 동대문 종합상가 A동 1층 1283호 솜틀베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