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 회 복 지 조 사 론
(Research Method in Social Welfare)
◉ 학점 및 시간 : 3학점 3시간
◉ 교과목 목표
1. 과학적 방법 및 사회복지 조사방법에 관한 기본개념과 기초이론을 학습한다.
2. 양적조사방법론의 설계와 자료수집 방법을 학습한다.
3. 질적조사방법론의 설계, 자료수집 및 분석방법을 학습한다.
4. 조사연구의 설계와 실행을 통해 사회복지조사의 실제 수행능력을 학습한다.
◉ 교과목 개요
본 과목은 사회복지 실천현장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양적, 질적 조사방법론을 학습한다. 조사방법의 기초지식으로 조사방법의 기본개념, 형태와 절차 등을 다루고, 양적조사방법으로 척도구성, 질문지 작성,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 표본추출 등 사회조사의 설계와 설문지조사, 면접조사, 관찰, 실험, 내용분석, 욕구조사, 평가조사 등 자료수집방법을 다루며, 질적조사방법으로 조사 설계, 자료수집 및 분석방법을 다룬다. 한편 실무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직접 조사 설계를 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방법을 다룬다.
◉ 참고문헌
강종수. 2009.《사회복지조사방법론》. 양서원.
김기덕․김용석․유태균․이기영․이선우․정슬기 공역. 2009.《사회복지조사방법론》. Cengage Learning.
김기원. 2009.《사회복지조사론》. 나눔의 집.
김영종. 2010.《사회복지조사방법론》. 학지사.
김정우․양심영. 2009.《사회복지조사론》. 양서원.
김태성․김기덕․이채원․홍백의. 2009.《사회복지조사론》. 청목출판사.
손병덕․신연희․양혜원․이상무․장신재․전미애․최선경․황혜원. 2010.《사회복지조사방법론: 이해와 실천》. 학지사.
유태균 역. 2008.《사회복지질적연구방법론》. 나남.
유태균․이선혜․서진환 공역. 2003.《사회복지 질적연구방법의 이론과 활용》. 나남.
이익섭․이윤로. 2009.《사회복지조사방법의 이해》. 학지사.
임병우․손용진. 2009.《사회복지조사연구방법론》. 청목출판사.
조흥식․정선욱․김진숙․권지성 공역. 2010. 《질적연구방법론: 다섯가지 전통》. 학지사.
채구묵. 2010.《사회복지조사방법론》. 양서원.
최성재. 2009.《사회복지조사방법론》. 나남.
최일섭․김성한․정순둘. 2005.《사회복지조사론》. 동인.
Sullivan, Thomas J. and Cornell R. Dejong. 2001. Applied Social Research: A Tool for Human Services. CA: Brook/Cole Publishing Company.
Rubin, Allen. and Babbie Earl R. 2008. Research Methods for Social Work (6th ed.). CA: Brook/Cole Publishing Company.
◉ 교과목 내용
1. 과학과 사회조사방법
1) 과학의 의의, 과학적 지식 및 방법
2) 사회조사방법의 중요성, 한계성, 윤리성
2. 사회조사방법의 기본개념
1) 변수, 개념, 조작적 정의
2) 가설, 이론
3. 사회조사방법의 형태와 절차
1) 사회조사방법의 형태
2) 사회조사방법의 절차
4. 척도구성
1) 측정과 척도의 의의
2) 척도구성의 기본요건, 분류기준
3) 유형별 척도구성 절차
5. 신뢰도와 타당도
1) 신뢰도의 의의 및 측정방법
2) 타당도의 의의 및 측정방법
3) 신뢰도와 타당도의 관계, 신뢰도와 타당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6. 질문지 작성
1) 질문지 작성의 중요성
2) 질문지 작성 절차
7. 표본추출
1) 표본추출의 의의 및 바람직한 표본의 요건
2) 표본추출(확률 및 비확률 표본추출) 방법
3) 표본의 크기
8. 실험
1) 인과관계와 관련된 개념
2) 내적타당도 및 외적타당도
3)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선정
4) 실험설계 유형(단일사례설계, 준(전)실험설계, 실험설계)
9. 질문지조사 및 면접조사
1) 질문지조사의 의의, 장․단점, 자료수집방법의 유형(집합조사, 우편조사, 전화조사, 전자조사 등)
2) 면접조사의 의의, 장․단점, 종류, 절차(표준화 면접)
10. 관찰, 내용분석 및 2차 자료분석
1) 관찰의 의의, 장․단점, 종류, 절차(조직적 관찰)
2) 내용분석의 의의, 장․단점, 단위와 카테고리, 절차(기존자료의 양적 분석)
3) 2차 자료분석의 의의, 한계점, 분석방법
11. 욕구조사
1) 욕구조사의 의의, 필요성, 욕구의 식별 및 분류
2) 욕구조사에 포함되어야 할 내용
3) 자료수집 방법
12. 평가조사
1) 평가조사의 의의, 목적, 종류
2) 평가조사의 절차
13. 질적연구의 설계 및 연구전통
1) 질적연구의 의의, 장․단점, 설계
2) 질적연구전통(전기연구, 근거이론 연구, 현상학적 연구, 사례연구 등)
14. 질적연구의 자료수집 및 자료분석
1) 질적연구의 자료수집(비표준화 면접, 비조직적 관찰, 기존자료의 질적 검토 등)
2) 질적연구의 자료분석
15. 조사보고서 작성
1) 조사보고서의 양식(학술논문, 보고서 등)과 문체
2) 조사보고서의 형식(절차)과 내용
◉ 참고사항
1. 개별 혹은 조별로 조사연구 주제를 선정하고 설문지를 작성하여 실제로 자료를 수집하고 보고서를 제출하게 하여 조사연구 과정의 실제를 경험해 볼 수 있도록 한다. 조사연구 과정의 경우 가능하면 가설을 검증하는 것을 이해하는 내용이 포함되도록 한다. 담당 교수는 수업내용의 진행에 맞추어 관련과제를 부여하고 적절한 피드백을 주어야 한다.
2. 과목 수강 후에 <사회복지자료분석론>,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등을 수강하도록 권유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