孟子 集註 (맹자 집주)
卷之四 公孫丑 章句 下 (권지사 공손추 장구 하)
47 孟子 (맹자) 가, 去齊 (거제) 하실새, 宿 於晝 (숙 어주) 러시니,
1 3 2 3 2 1
48 有欲 爲王 留 行者 坐而 言 (유욕 위왕 유 행자 좌이 언) 이어늘,
7 10 2 1 4 3 6 8 9
不應 (불응) 하시고, 隱几 而臥 (은궤 이와) 하신대,
2 1 2 1 3
解釋 47 맹자가, 제 나라에 떠나실새, 주(晝)땅에서 유숙하시니,
48 왕을 위하여 떠남은 만류하는 사람이 있어서 앉아서 말 하고자하거늘 ,
대답하지 아니하시고, 책상에 기대어 누우신대.
字解 47 孟子 (맹자) 去: 갈 거. 齊: 제 나라 제. 宿: 잘 숙 (유숙하다란 뜻)
於: 어조사 어 (~에서란 뜻) 晝: 제 나라 서남의 근읍인 주(晝)땅 임)
48 有: 있을 유. 欲: 하고자할 욕. 爲: 할 위 (위하다란 뜻) 王: 임금 왕.
留: 머무를 유, 기다릴 유 (만류하다란 뜻) 行: 갈 행 (떠나다란 뜻)
者: 사람 자. 坐: 앉을 좌. 而: 말이을 이, 어조사 이. 言: 말할 언.
不: 아닐 불. 應: 대답할 응. 隱: 의지할 은 (기대다란 뜻)
几: 안석 궤 (궤나, 책상이란 뜻) 而: 말이을 이, 어조사 이. 臥: 누울 와
49 客 (객) 이, 不悅 曰 弟子 齊宿 而後 敢言 (불열 왈 제자 제숙 이후 감언) 이어늘,
1 3 2 4 5 6 7 8 9 10
夫子 臥而 不聽 (부자 와이 불청) 하시니, 請 勿復 敢見矣 (청 물복 감견의) 로리이다,
1 2 4 3 1 5 2 3 4
曰 坐 (왈 좌) 하라, 我 明語子 (아 명어자) 하리라, 昔者 (석자) 에,
1 2 1 2 4 3 1
魯 繆公 (노목공) 이, 無人乎 子思之 側 則 不能 安 子思
2 3 5 4 2 3 6 10 7 9 8
(무인호 자사지 측 즉 불능 안 자사) 하고, 泄柳 申詳 (설유 신상) 이,
1 2
無人乎 繆公之 側則 不能 安其 身 (무인호 모공지 측즉 불능 안기 신) 이러니라.
6 5 1 2 3 4 11 9 10 7 8
解釋 손님이, 기쁘지 아니 하여 말하기를 제자가 목욕 재계하고 유숙한 뒤에야 감히
말씀드리거늘. 부자 (맹자,선생님)가 누우시고 듣지 아니 하시니, 청컨대
다시는 감히 뵈옵지 못하리 로이다, 말하기를 앉아라, 내가 분명히 그대에게
말하리라, 옛날에, 노 나라 목공(왕)이, 자사의 곁에 사람이 없으면 곧 감히
자사를 편안케하지 못하시고, 설유와 신상이, 목공(왕)의 곁에 곧 사람이 없으면
그 몸을 능히 편안하게하지 못하였느니라.
字解 客: 손님 객. 不: 아닐 불. 悅: 기블 열. 曰: 말할 왈. 弟: 제자 제. 子: 제자 자.
齊: 재계할 재 (목욕 재계란 뜻) 宿: 잘 숙 (유숙이란 뜻) 而: 말이을 이,어조사 이.
後: 뒤 후. 敢: 감히 감. 言: 말씀 언. 夫子(맹자, 선생님) 臥: 누울 와.
而: 말이을 이, 어조사 이. 不 : 아닐 불. 聽: 들을 청. 請: 청할 청.
勿: 말 물 (못하다란 뜻) 復: 다시 부, 敢: 감히 감. 見: 볼 견 (뵈옵더ㅏ란 뜻)
矣: 어조사 의. 曰: 말할 왈. 坐: 앉을 좌. 我: 나 아. 明: 밝힐 명 (분명히란 뜻)
語: 말씀 어, 子: 임자 자 (그대란 뜻) 昔: 옛 석. 者: 어조사 자. 魯: 노 나라노.
繆: 실오리 목. 公: 존칭할 공. 無: 없을 무. 人: 사람 인. 乎: 어조사 호.
子思 (자사) 之: 어조사 지 (~ 으란 뜻) 側: 곁 측. 則: 곧 즉
不: 아닐 불 (못하다란 뜨) 能: 능히 능. 安: 편안할 안. 子思 (자사)
泄: 샐 설. 柳: 버들 유. 申: 펼 신. 詳: 자세할 상. 無: 없을 무.
人: 사람 임. 乎: 어조사호. 繆公( 목공) 之: 어조사 지 (~ 의란 뜻)
側: 곁 측. 則: 곧 즉. 不: 아닐 불 (못하다란 뜻) 能: 능히 능.
安: 편안할 안. 其: 그 기. 身: 몸 신.
魯 繆公(노목공): 노(魯) 나라의 임금 임. 泄柳 (설유): 노(魯) 나라 사람 임.
申詳(신상): 공자(孔子)의 제자인 자장(子張)의 아들 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