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피레니언 셰퍼드 도그 (Pyrenean Shepherd Dog)
► 이 명 : 베르지 데 피레네(Berger des Pyrénées), 피레네 십도그(Pyrenees Sheepdog), 쁘띠 베르지(Petit Berger), 피르 셰프(Pyr Shep)
► 외 관 : 피레니언 셰퍼드 도그(Pyrenean Shepherd Dog)의 크기는 키(체고)가 38~52㎝ 정도되는 중소형견이다. 두 종류로 나누어지며, 얼굴에 난 털이 거친 타입 즉 러프 페이스(rough-faced) 타입과 얼굴에 짧고 부드러운 털이 나 있는 타입인 스무스 페이스 (smooth-faced) 타입으로 나누어진다. 얼굴에 거친 털이 나 있는 타입은 체고가 38~48㎝, 그리고 얼굴에 짧고 부드러운 털이 나 있는 타입은 체고가 39~52㎝이며, 체중은 7~15㎏ 정도이다. 프랑스 밖으로는 잘 알려지지 않았으나 그 크기, 영리함, 털의 색이 매력적이다. 얼굴에 길고 거친 털이 나있는 타입이 약간 더 작다. 단단하고 근육이 발달한 체형이다. 머리는 작은 편이며, 귀는 위쪽의 반이 구부러져 있다. 꼬리는 길고 끝부분을 구부려 늘어뜨린다.
길고 덥수룩한 털 또는 염소털과 비슷한 약간 짧은 털이 온 몸은 덮고 있다. 얼굴에 짧고 부드러운 털이 나 있는 타입(smooth-faced)은 특히 얼굴과 다리의 앞부분에 짧은 털을 갖는다. 털이 얼굴에 거친 털이 나있는 타입(rough-faced)는 주둥이와 얼굴에 긴 털이 나 있으나 눈을 덮지는 않는다. 모색은 백색, 황색, 청회색, 검은색의 단색으로 이루어져 있거나, 푸른색, 적갈색, 회색 등의 얼룩무늬가 있는 경우도 있다.
► 설 명 : 피레니언 셰퍼드 도그(Pyrenean Shepherd Dog)는 남프랑스의 피레네산맥의 토착종으로 중세부터 목축견으로 많이 사육되어 왔다. 지역의 환경에 적응하기 위해 민첩하고, 또 극한의 날씨에도 잘 견디며, 오랜 기간 음식이 부족해도 잘 견딜 수 있다. 각종 질병에 대한 저항성을 갖는 특성이 중시되어온 견종이다. 그리고 1차 세계대전 기간 동안 군용견으로도 이용되었을 정도로 영리하며, 책임감도 아주 강하다. 선천적인 목축견으로 독립적이면서도 주의가 깊다. 낯선 대상에게는 경계를 늦추지 않으나 공격적이지는 않다. 충성심이 매우 강하며, 주인의 기분을 잘 읽어 가정견, 번견으로 선호되며, 활발하고 민첩하여 도그 스포츠에도 적합하다. 평균 수명은 9~15년 정도이며, 한번에 4마리 정도의 새끼를 낳는다.
피레니언 셰퍼드 도그는 활발하면서도 그 행동이 아주 민첩한 만큼 매일 충분한 운동이 필수적이다. 운동량이 부족하거나 활동이 제한된다면 스트레스를 강하게 받는 등 파괴적인 행동을 나타낼 수가 있다고 한다. 그리고 물을 좋아하며, 특히 수영도 아주 잘 하며, 물에서 노는 것을 매우 좋아한다. 또한, 주인과 같이 놀고 싶어 하는 마음이 아주 강하고, 늘 주인과 함께 있는 걸 좋아한다. 산책을 시킬 때에도 한적한 곳에서 목줄을 풀어주어서 마음껏 달리게 해 주면 아주 좋아한다. 따라서 피레니언 셰퍼드 도그와 함께 행복한 삶을 추구하려면 주인이 조금은 부지런해야 한다.
► 주 의 : 선천적으로 강건한 견종으로 특별한 유전적 질환은 알려진 것이 없으며, 질병에 대한 내성도 비교적 강한 편이다. 다만 털이 길기 때문에 피부병에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으며, 안구 관련 질환에도 유의할 필요가 있다.
식탐은 강한 편이 아니지만 실내에서 기를 경우에는 운둉량이 부족하여 비만이 되는 경우도 있으므로 식사량을 조절하거나 충분한 운동을 시켜줘야 한다. 대개는 활동량이 많아서 비만견이 되는 경우는 드물다. 운동량이 많아서 매일 규칙적인 운동이나 산책은 필수적이다. 산책을 시킬 때에도 한적한 곳에서 목줄을 풀어주어서 마음껏 달리게 해 준다면 아주 좋아한다. 운동량이 부족하거나 활동이 제한된다면 스트레스를 강하게 받아서 파괴적인 행동 보이는 경우도 있다. 특히, 물에서 노는 것을 좋아하며, 수영도 아주 잘 한다. 또한, 공놀이 등 물건을 가지고 노는 것도 아주 좋아한다.
두 가지 타입 모두 수시로 빗질만 해 주어도 털은 충분히 관리할 수 있다. 특별한 미용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목욕도 실내에서 기를 경우에는 한 달에 한번 정도가 적당하며, 실외에서 기를 경우에는 필요한 경우가 아니라면 시키지 않는 것이 좋으며, 털이 약간 더러워지면 젖은 수건으로 닦아만 주어도 충분하다. 특히 산악지역에서 주로 생활을 하였던 건성피부를 가진 견종의 경우는 목욕을 시키면 피부의 보호막도 같이 씻겨 지기 때문에 오히려 피모가 약해져서는 각종 피부병에 잘 걸리는 원인이 된다. 그리고 습성의 피모라도 한 달에 두 번 이상은 씻기지 않는 것이 좋다. 환경적응력이 뛰어나서 더위와 추위에도 비교적 잘 견딘다.
► 기 원 : 피레니언 셰퍼드 도그(Pyrenean Shepherd Dog)의 원산국은 프랑스이다. ‘작은 셰퍼드’라는 뜻을 가진 쁘띠 베르지(Petit Berger)라고 한다. 남프랑스의 피레네산맥의 토착종으로 중세부터 목축견으로 많이 사육되었다. 피레네 지역 유목민의 개의 후손이라 여겨진다. 다른 이름으로는 베르지 데 피레네(Berger des Pyrénées), 피레네 십도그(Pyrenees Sheepdog), 쁘띠 베르지(Petit Berger)라고도 하며, 닉네임은 피르 셰프(Pyr Shep)이다.
피레니언 셰퍼드 도그는 남프랑스 피레네 산맥의 루르드(Lourdes)에서 가바르니 (Gavarnie)에 걸친 지역에서 사육되었으며, 지역의 환경에 적응하기 위해 민첩하고 극한의 날씨에도 잘 견디며 오랜 기간 음식이 부족해도 잘 견디고 병에 높은 저항성을 갖는 특성이 중시되었다.
► 비 고 : 피레니언 셰퍼드 도그는 1926년 견종 표준이 만들어져 프랑스 켄넬 클럽(FKC)에 공인되었지만, 아직까지 FCI(세계 애견연맹)에는 등록되지 않았다. 또한, 세계적인 켄넬 클럽이나 각종 애견 단체에도 인정을 받지 못하고 있다.
피레니언 셰퍼드 도그는 1차 세계대전 때는 군용견으로도 이용되었다. 현재 오스트레일리언 셰퍼드의 선조라고 여겨진다. 얼굴에 거친 털이 나 있는 타입(rough-faced)과 얼굴에 짧고 부드러운 털이 나 있는 타입(smooth-faced)의 두 가지 타입으로 나뉜다.
□ 견종 표준
► 외형 : 피레니언 셰퍼드 도그의 크기는 체고 38~52㎝, 체중 7~15kg 정도되는 중형견으로 수컷이 암컷보다는 조금 더 큰 편이다. 두 가지의 타입이 있으며, 크기도 조금 차이가 난다. 러프 페이스 타입이 스무드 페이스 타입 보다는 조금 적은 편이다. 먼저 얼굴에 거친 털이 나 있는 러프 페이스 타입의 개체들은 체고가 38~48㎝ 정도이고, 얼굴에 짧고 부드러운 털이 나 있는 스무드 페이스 타입의 체고는 39~52㎝ 정도이다. 체중은 두 타입 모두 비슷하다. 일반적인 목양견을 의미하는 허딩 그룹에 속하며, 주로 가축 몰이를 하는데 사용되었다. 외모는 몸 전체가 단단하고 근육이 발달한 체형으로 근육질의 몸을 가지고 있다. 외형은 전체적인 균형이 잘 잡혀 있으며, 생기가 넘치고 움직임이 상당히 기민한 편이다. 신체 비율은 머리의 너비가 머리 길이의 절반에 약간 못 미치고, 머리와 주둥이는 길이가 같다.
► 머리 : 머리는 튼튼하면서 길고, 턱수염과 콧수염이 있으며, 눈썹 부위에도 눈을 살짝 덮을 정도로 털이 길게 자란다. 측면에서 보면 머리와 주둥이가 평행하게 보인다. 두개골은 튼튼하고, 옆에서 보면 아주 약간 둥글게 보이며, 스톱은 두드러지게 구분된다.
• 코 : 코는 튼튼하고, 콧구멍이 큼직하며, 코의 색은 검은색이다.
• 입 : 주둥이는 끝부분이 사각형에 가깝고 튼튼하며, 너비가 충분하지만 뾰족한 느낌은 전혀 없다. 콧등은 일직선이고, 입술은 밀착되어 있다. 턱은 튼튼하며, 이빨은 하얗고, 협상교합을 형성하고 있다.
• 눈 : 눈은 타원형으로 가로로 일직선상에 있고 다소 큰 편이며, 색이 짙은 편이다.
• 귀 : 귀는 두개골에서 높은 곳에 자리하고 있고, 머리에 너무 밀착되어 있지도 않았으며, 타고난 형태 그대로 두면 다소 짧은 편이다. 귀는 항상 납작하게 눕히고 있으며, 긴 털로 덮여 있다.
► 목 : 목은 근육질이며, 어깨 위로 곧게 뻗어 있다.
► 몸통 : 등선은 일직선이고, 허리는 짧으면서도 탄탄하며, 엉덩이는 살짝 비스듬하게 보이고 둥그스름하다. 가슴은 넓고 길어서 앞다리 무릎까지 깊게 이어지며, 늑골은 충분히 휘어져 있다.
► 꼬리 : 꼬리는 자연스럽게 낮은 높이로 들고 있고, 방향이 비뚤어지지는 않는 편이며, 길이는 최소한 뒷다리 비절에 닿는 정도여야 한다. 꼬리 끝이 약간 올라가 영문자 제이(J) 모양과 비슷하고, 위로 들어 올려도 최대한 등선이 이어진 것처럼 보이는 정도로만 올라간다.
► 사지 : 사지는 근육이 잘 발달되어 있고, 뼈가 굵은 편이며, 전체적으로 곧게 뻗어 있다. 앞다리의 어깨는 비스듬하고 충분한 각을 형성하고 있으며, 적당히 길고 흉곽과 밀착되어 있다. 무릎은 몸통과 평행하고, 전완은 곧게 뻗어 있으며 근육질이다.
뒷다리의 허벅지 상부는 근육질이고, 비절은 바닥과 너무 가깝지 않은 편이며 충분히 굽어 있다. 발목은 뒤에서 보면 바닥과 완벽한 수직을 이루고 있고, 뒷발은 튼튼하고 둥근 편이다. 발톱은 검은색이며, 패드는 단단하다. 발가락은 위로 볼록하며, 서로 밀착되어 있다.
► 털과 색 : 털은 길고, 덥수룩한 털 또는 염소 털과 비슷한 약간 짧은 털이 온 몸을 덮고 있으며, 타입에 따라서 얼굴에 나 있는 털은 서로 다르다. 얼굴에 짧고 부드러운 털이 나있는 스무스 페이스(Smooth –faced) 타입은 특히 얼굴과 다리의 앞부분에 짧은 털을 가지고 있다. 털이 얼굴에 거칠게 나 있는 타입인 러프 페이스(rough-faced) 타입은 주둥이와 얼굴에 긴 털이 나있지만, 눈을 덮고 있지는 않는다.
모색은 백색, 황색, 청회색, 검은색의 단색으로 이루어져 있는 개체가 많은 편이지만 푸른색, 적갈색, 회색 등의 얼룩무늬 즉, 브린들이나 트라이 컬러를 가진 개체들도 있다.
► 걸음 걸이 : 걸음걸이와 움직임은 규칙적이고 조화로우며, 유연하게 움직이면서 걷는다. 힘을 크게 들이지 않아도 피곤한 기색 없이 바닥을 충분히 포괄하면서 걷고, 보폭이 넓은 속보로 걸으며, 이때 뒤에서 미는 추진력이 우수한 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