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하면서 ㉠감염 불안감 등으로 스트레스를 ㉡호소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코로나19 스트레스의 대표적 증상은 불안과 공포, 불면증, 주변인 ㉢경계, 외부활동 감소와 무기력 등이다. 전문가들은 외환위기 같은 경제적 ㉣재난보다 신체적 재난인 감염병의 스트레스가 더 크다고 한다. |
① ㉠ - 感染 ② ㉡ - 乎訴
③ ㉢ - 警戒 ④ ㉣ - 災難
2. 다음의 한자어를 잘못 읽은 것은?
① 確診 - 확진 ② 鬱憤 - 울분
③ 慰勞 - 위로 ④ 不眠 - 불안
3. 다음 밑줄 친 한자어의 표기가 바르지 않은 것은?
① 전염병 환자를 동네에서 격리(隔離)하다.
② 우리나라 학생 운동은 그 발원(發源)을 광주 학생 항일 운동에서 찾을 수 있다.
③ 이번 감기는 증상(症象)이 다양하다.
④ 경험(經驗)은 제2의 학교이다.
4. 다음 단어의 뜻풀이가 틀린 것은?
① 退所: 어떤 장소에서 물러남.
② 傳染: 병이 남에게 옮음.
③ 摸索: 일이나 사건 따위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이나 실마리를 더듬어 찾음.
④ 激勵: 용기나 의욕이 솟아나도록 북돋워 줌.
5. 밑줄 친 ㉠과 ㉡의 한자 표기가 모두 옳은 것은?
○ 서로의 의견 ㉠소통이 잘 이루어지다. ○ 이 약은 위장병에 ㉡특효가 있다. |
㉠ ㉡
① 疏通 物效
② 疏通 特效
③ 消通 物效
④ 消通 特效
----------------------------------------------------------------------------------------------------------------------
<정답 및 해설>
1. | 2. | 3. | 4. | 5. |
② | ④ | ③ | ① | ② |
1. [정답] ②
[풀이] ㉡은 ‘呼訴(부를 호, 호소할 소)’로 표기해야 한다. ‘억울하거나 딱한 사정을 남에게 간곡히 알림’을 뜻한다. 참고로, ②번의 ‘乎訴’라는 한자어는 없으며, ‘乎’는 ‘어조사 호’이다.
[오답]
① 感染(느낄 감, 물들 염): ㉠ 나쁜 버릇이나 풍습, 사상 따위가 영향을 주어 물이 들게 함. ㉡ (의학) 병원체인 미생물이 동물이나 식물의 몸 안에 들어가 증식하는 일. ㉢ (컴퓨터) 컴퓨터 바이러스가 컴퓨터의 하드 디스크나 파일 따위에 들어오는 일.
③ 警戒(깨우칠 경, 경계할 계): 뜻밖의 사고가 생기지 않도록 조심하여 단속함.
④ 災難(재앙 재, 어려울 난): 뜻밖에 일어난 재앙과 고난.
2. [정답] ④
[풀이] ‘不眠’은 ‘불면(아닐 불, 잠잘 면)’으로 읽어야 한다. ‘잠을 자지 못함’을 뜻한다. 참고로, ‘불안’은 ‘不安(아닐 불, 편안 안)’으로 적으며, ‘마음이 편하지 아니하고 조마조마함’을 뜻한다.
[오답]
① 確診(확진)(굳을 확, 진찰할 진): 확실하게 진단을 함. 또는 그 진단.
② 鬱憤(울분)(답답할 울, 분할 분): 답답하고 분함. 또는 그런 마음.
③ 慰勞(위로)(위로할 위, 힘쓸 로): 따뜻한 말이나 행동으로 괴로움을 덜어 주거나 슬픔을 달래 줌.
3. [정답] ③
[풀이] ③번의 ‘증상’은 ‘症狀(병 증, 형상 상)’으로 표기해야 한다. ‘병을 앓을 때 나타나는 여러 가지 상태나 모양’을 뜻한다. 참고로, ‘症象’이라는 한자어는 없으며, ‘象’은 ‘모양 상(코끼리 상)’이다.
[오답]
① 격리(隔離)(사이 뜰 격, 떠날 리): ㉠ 다른 것과 통하지 못하게 사이를 막거나 떼어 놓음. ㉡ 전염병 환자나 면역성이 없는 환자를 다른 곳으로 떼어 놓음.
② 발원(發源)(필 발, 근원 원): ㉠ 흐르는 물줄기가 처음 생김. 또는 그런 것. ㉡ 사회 현상이나 사상 따위가 맨 처음 생겨남. 또는 그런 것.
④ 경험(經驗)(지날 경, 경험 험): 자신이 실제로 해 보거나 겪어 봄. 또는 거기서 얻은 지식이나 기능.
4. [정답] ①
[풀이] ‘退所(물러날 퇴, 곳 소)’는 ‘요양소ㆍ연수소ㆍ훈련소 따위에서 요양ㆍ연수ㆍ훈련 따위를 마치고 나옴’을 뜻하며, ‘나감’으로 순화하는 단어이다. ‘이번 가을에 그는 요양소를 퇴소한다.’ 등에 쓰인다. 참고로, ①번은 ‘退場(물러날 퇴, 마당 장)’이며, ‘퇴장 명령’ 등에 쓰인다.
[오답]
②: 傳染(전할 전, 물들 염).
③: 摸索(본뜰 모, 찾을 색).
④: 激勵(격할 격, 힘쓸 려).
5. [정답] ②
[풀이] ㉠의 ‘소통’은 ‘疏通(소통할 소, 통할 통)’으로 적는다. ‘막히지 아니하고 잘 통함’, ‘뜻이 서로 통하여 오해가 없음’을 뜻한다. ㉡의 ‘특효’는 ‘特效(특별할 특, 나타낼 효)’로 적는다. ‘특별한 효험’을 뜻한다.
[오답] ‘消’는 ‘사라질 소’이며, ‘解消(해소)’ 등에 쓰인다. ‘物’은 ‘물건 물’이며, ‘物件(물건)’ 등에 쓰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