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ttps://youtu.be/7-J_chU_jr4?list=PLscQ_tpwLZYDKG5PylPOA0Z9Xl68hH88N
(14. 4.18) 고린도전서 강해_16 (고전 11: 1~16) : (정동수 목사, 사랑침례교회, 킹제임스 흠정역 성경, 킵바이블, keepbible, 세대주의, 고린도전서)
↑ 클릭하셔서 자료 참고하세요(파일받기 - 파일열기)
고린도전서 강해 16
고린도전서 11장
1절: 바울의 롤 모델(딤전1:15-16), 균형(벧전1:24), 심지어 사례비까지 받지 않으면서 자기를
부인하고, 실족시키지 않으려고 노력하며, 어떻게 하든지 한 사람이라도 구원시키려고 하는 것처럼
바울: 자유와 진리 사랑, 진보했다. 참았다(빌3:1-11).
그리스도의 예: 자신을 기쁘게 하지 않았다(롬15:3; 빌2:4-5; 히12:1-2)
2절: 칭찬, 규례들, 바울들이 그들에게 전달해 준 규칙들, 좋은 전통들, 골2:20의 규례들은 구약의
규례들, 벧전2:13의 규례들은 명령들, 여기서는 아마도 행15:28-31을 가리키는 듯함. 바울의
복음 정의(고전15:1-4), 죽음, 매장, 부활, 주의 만찬과 침례는 이것들을 나타낸다.
하나님의 모든 것은 질서가 있다. 그런데 고린도 교회에는 질서의 문제가 있었다. 자매들의 자유가
도를 넘었다. 주의 만찬의 문제, 영적 은사의 문제, 로마 제국에서는 유일하게 교회만 남녀노소,
종/주인 등의 차별이 없었다. 새로운 운동은 대개 반대자들이 아니라 추종자들에 의해 오용되곤
한다. 주의 만찬 설명 전에 질서 문제 다룸
3-16절은 교회에서 여자들의 위치에 대해 가르쳐 준다.
3절: 교회에는 질서가 있다. 아버지 하나님, 그리스도, 남자, 여자, 아버지는 그리스도의 머리: 구속
사역에서 아들은 아버지에게 복종하였다(요8:29; 10:30; 14:28; 빌2).
마찬가지로 여자들도 남자들에게 복종해야 한다(고전3:21-23; 갈3:28; 엡5:21-33). 이것은 가정
과 교회에서의 질서이다. 그러나 전 세상의 질서는 아니다.
4절: 거의 모든 국가에서 상사가 오면 모자 등을 벗고 존경심을 표시한다. 마찬가지로 교회에서 남자는
머리를 덮으면 안 된다. 7절에도 이유가 있다. 즉 그리스도가 머리인데 머리에 무엇을 덮으면
그리스도가 가린다. 이것은 유대인들의 회당에서 하는 것과 정반대. 유대인들은 지금도 조그만
둥근 모자로 머리를 덮는다. 여기의 덮는 것은 머리 전체를 덮는 헝겊(베일) 혹은 긴 머리를 뜻함
5절: 구약시대에는 여대언자가 가끔씩 있었다. 미리암(출15:20), 드보라(삿4:4), 훌다(왕하
22:14), 안나(눅2:36) 등
a. 바울은 공예배에서 여인들이 기도하거나 대언하는 것을 금하지 않았다(4-5). 여기의 대언은 직통
계시를 뜻한다. 성경의 완성 이전이므로 이런 일이 가능하였다(빌립의 네 딸 행21:8-9). 그럼에도
공적 사역을 하는 여자들은 없었다: 여자 목사(장로, 감독)는 허용되지 않았다(딤전3:2). 아마도
공적 예배에서 특정한 여자들이 기도하는 것은 허락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남자에게 권위를
행사하는 것은 허용되지 않았다(딤전2:11-15). 또는 다른 대언자들의 메시지를 판단하는 것도
허락되지 않았다(고전14:27-35). 현 시대에도 이런 여인들이 있는가? 초대 교회 후반부로 가면서
이런 여인들이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
b. 고린도 신전의 여사제들은 남자들처럼 권위를 주장하기 위해서 머리를 짧게 깎든지 밀었다(여승들처
럼). 그러므로 여자들은 그들과 같은 모습을 하면 안 된다.
6절: 5절의 원리 다시 강조함
남자와 여자는 짧은 머리와 긴 머리로 머리에 대한 존경심을 표해야 한다.
남자는 덮으면 안 된다. 여자는 덮어야 한다.
7절: 믿는 남자는 하나님의 형상이므로 머리를 덮지 말고 그것을 드러내야 한다. 유대인들은 대개
모자를 썼다. 이슬람 사람들을 터번을 썼다. 이런 식으로 예배 시간에 나타나지 말라. 구원받은
남자는 더 이상 아담의 형상 속에 있는 죄인이 아니라 하나님의 형상이신 그리스도(고후4:4; 히1:3)
안에 있는 의인이다.
a. 반면에 여자는 남자를 위해 합당한 조력자로 지어졌으므로 공적으로 남자에게 복종하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 머리를 덮음으로써 절제하며 조신한 모습으로 나타나야 한다. 그래야 남자가 영광을 - 23 -
받는다.
8-9절: 창조 이야기(창2:18, 22-23), 남자가 먼저, 여자가 나중, 여자는 남자를 위해 지어졌다.
그럼에도 주님 안에서 평등하다.
10절: 여자들은 머리에 권능을 두어야 한다. 권능은 5절의 덮는 것이다. 여자의 머리는 남자이다.
그러므로 여자는 복종하는 존재임을 보이기 위해 머리를 덮어야 한다. 유대교에서는 여자들이
대개 수에 들지도 못하였다. 회당을 세우려면 남자 10명이 있어야 했다(여자의 수와 상관없이).
헌신된 유대교 남자들은 자기 여자가 아닌 사실을 대단히 크게 생각하였다. 이런데 교회로 오니
여자들이 심지어 기도도 하고 대언도 하게 되었다. 놀랄 일이다.
a. 왜 천사 이야기가 나오는가? 사실 마귀는 여자에게 접근하여 하나님의 질서를 파괴하려 하였다.
이 모든 일을 천사들이 보았다. 그래서 천사들은 예수님이 세우신 교회에서도 이런 일이 생기는지
보고 있다(엡3:10; 벧전1:12). 공예배에는 천사들(단4:17의 watcher)도 증인들로 존재한다.
여자의 불순종을 보면서 천사들은 또한 과거의 불순종(창세 이전 혹은 창6장)을 생각한다. 또는
과거에 창6장에서처럼 여자들과 관계를 맺었던 일을 생각한다.
11-12절: 그럼에도 불구하고 남자와 여자는 주님 안에서 서로를 필요로 하는 평등한 존재이며 다
하나님의 작품이다.
13-14절: 바울은 평등을 이야기하면서도 다시 남자와 여자의 본질을 이야기한다. 본성을 살펴보라.
어느 문화에서도 남자와 여자는 머리 길이가 다르다. 어느 정도 달라야 하는가? 남녀를 구분할
수 있을 정도로, 남자가 여자 같고 여자가 남자 같은 것은 성경에 위배된다. 어느 정도가 긴 머리인가?
목을 덮을 정도면 긴 머리이다.
a. 남자가 긴 머리를 하면 수치이다. 히피는 큰 수치이다(마약, 술 등). 구약시대에도 나사르 사람들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긴 머리를 하지 않았다. 이때의 긴 머리는 성별의 징표, 기간이 끝나면 머리를
깎고 태웠다(민6:5; 18).
15절: 여자의 긴 머리는 그 자체가 덮는 것이다. 베일이나 모자
를 쓸 필요가 없다. 천주교회나 형제교회의 너울 또는 침례
교회의 모자는 불필요하다. 천주교의 너울, 루터, 칼빈,
낙스, 헨리 등도 너울을 강력히 권하였다.3) 형제교회의
다비(John Nelson Darby)는 성공회(Anglican
church)에서 나오면서 이 전통을 그대로 유지함.
16절: 내 말에 동의하지 않는 자가 있다 해도 바울이 세운 교회
에나 다른 이가 세운 하나님의 어떤 교회에도 그런 풍습
즉 여자가 덮지 않고 나타는 풍습이 없다.
그러면 예수님의 머리는 어떨까?
레19:26-27은 모든 유대인 남자들에게 해당하는 말씀
26 너희는 무엇이든지 피째 먹지 말고 요술을 사용하지 말며
때를 관찰하지 말고
27 너희 머리 가를 둥글게 깎지 말며 네 수염 끝을 훼손하지 말고
28 죽은 자를 위하여 너희 살을 베지 말며 너희 몸에 아무 표도 새기지 말라. 나는 {주}니라.
27절을 보면 모든 유대인들은 머리의 모습을 감추기 위해 머리를 길러야 했고 얼굴 모습을 가리기
위해 수염을 길러야 했다. 반대로 하는 것은 이집트의 산물(동그랗게 머리 중간을 파냄, 천체
숭배, 수염을 네모 낳게 자름), 이것이 곧 유대인 남자들이 긴 머리를 가진 증거일까? 아니다.
그러므로 예수님의 머리는 길지 않다고 보는 것이 맞는다. 어느 것이 맞는지는 확실히 알 수는 없다.??
https://youtu.be/VskqxD9i24w?list=PLscQ_tpwLZYDKG5PylPOA0Z9Xl68hH88N
(14. 4.25) 고린도전서 강해_17 (고전 11:17~34) 주의만찬 : (정동수 목사, 사랑침례교회, 킹제임스 흠정역 성경, keepbible, 세대주의, 고린도전서)
고린도전서 강해 17
고린도전서 11장
이기심이 가득한 애찬의 문제(17-22)
주의 만찬: 유대인들의 유월절 만찬 후에 주의 만찬이 제정됨.
애찬은 초대교회에서 공통적으로 이루어졌다(행2:42, 46). 교제하고 또 가난한 성도들과 음식을
나누는 기회, 애찬의 끝에 주의 만찬
고린도 교회에서는 이런 애찬이 득보다는 오히려 실이 많았다(17; 유11-13). 우리는 어떤가?
파당이 있어서 자기들끼리만 음식을 나누었다(18-19). 고전1:10-16, 19절의 의미
특히 가나한 성도들을 배려하는 의미의 나눔이 없었다(20-22). 심지어 취하는 자들도 있었다. 그러므
로 가난한 성도들의 자존심이 상하였다. ‘계란 던지기 게임’
주의 만찬(23-34)
교회에 주신 두 가지 규례: 침례와 주의 만찬
가장 중요한 것은 주의 만찬을 대하는 태도이다. 고린도 교회는 여기에 문제가 있었다.
마음이 준비되지 않은 상태에서 만찬에 참여하는 것은 문제이다.
부주의하게 만찬에 참여하는 것도 문제이다.
그 결과 고린도 교회에서는 여러 사람이 심지어 죽기도 하였다(고전11:30).
주의 만찬을 잘 지키면 성도들에게 복이 된다.
1. 첫째 뒤를 보아야 한다(23-26a): 그리스도의 죽음, 복음의 핵심(고전15:3-4). 그리스도의
교리나 삶이 우리를 구원하는 게 아니라 그분의 죽음이 구원한다. 직접 받았다(갈1:11-12).
그분은 우리의 대속물로 죽으셨다(사53:6; 벧전2:24).
그분은 자진하여 죽으셨다(롬5:8).
새 상속 유언(히9:16-17), 구약의 완성과 철폐, 새 역본들은 마26:28과 막14:24에서 가장 중요한
단어인 ‘New’를 제거함
우리는 이것을 기억하면서 주님과 교제한다.
빵과 포도즙은 상징이지 그것 자체가 은혜를 주지 않는다.
교회가 휴거되면 어린양의 혼인 만찬에 들어가면서 주의 만참은 끝이 난다(계19:7).
2. 앞을 바라본다(26b). 주님의 재림을 기억해야 한다(요일3:2). 천주교는 재림 설교 No!
3. 우리의 내부를 보아야 한다(27-28, 31-32). 우리는 합당해서 참여하는 것이 아니다. 합당하게
참여한다. 우리를 살피고 죄들을 판단하고 주님께 고백해야 한다. 우리가 스스로 판단하지 않으면
하나님이 하신다. 고린도 성도들은 자신은 살피지 않고 남을 살피는 데 바빴다. 하나님의 징계는
오직 그분의 자녀들에게만 해당된다(히12:1-11).
4. 주변을 살펴야 한다(33-34). 주의 만찬은 교회가 하나임을 보여 주는 계기, 주의 만찬은 특히
성도들의 사랑을 보여 주는 시간(요일4:11), 불신자는 안 됨, 신자라도 준비가 되지 않으면 안
됨. 그래서 만찬은 감사와 기대의 시간이 되어야 한다.
주의 만찬 요약
1. 참여하는 것, 즉 교제하는 것이다(고전10:16-17). fellowship, 누가? 우리가
2. 주의 상이다(고전10:21).
3. 주의 만찬이다(고전11:20; 눅22:20)
4. 감사하는 것이다(마26:27). Eucharist
5. 빵을 나누는 것이다(마26:26; 행2:42 등)
6. 예수 그리스도께서 친히 제정하셨다(고전11:24-25). 가장 중대하고 심오한 밤에
그분의 몸은 죄로 인한 희생물로 드려짐(벧전2:24; 3:18; 고후5:21).
그분의 피는 우리의 죄들을 용서하기 위해 흘려짐(마26:28; 엡1:7; 계1:5)- 25 -
7. 누가 참여하는가? 주의 만찬이므로 그분을 주님으로 받아들인 자들(행2:41-44, 특히 44절),
open communion, closed communion, 교회가 결정한다. 우리는 open 스타일이다. 침례
도 마찬가지다. 본인의 믿음 고백, 주님의 명령
a. 구원받았어야 한다.
b. 구원받았음을 알아야 한다: 구원의 확신((요일5:13)
c. 당신 자신을 살펴보아야 한다(고전11:27-31).
d. 바른 방식으로 참여해야 한다.
8. 얼마나 자주 해야 하는가? 주님은 명시하지 않았다.
a. 너무 자주할 때의 문제: 행사가 되어 의미를 잃을 수 있다. 형제 교회, 지방 교회 등의 만찬
예배, 천주교와 성공회에서 나오면서 미사 예식에서 이런 전통을 가져옴
b. 자주 하지 않을 때의 문제: 주의 만찬의 복을 잃는다. 주님의 죽음을 기억하기 어렵다(고전
11:25-26).
c. 우리는 3개월에 2번씩 하여 1년에 8번 한다. 더 많이 하거나 적게 하는 교회를 비판할 필요가
없다.
9. 아이들의 참여는 가능한 한 허락하지 않는 것이 좋다(27-29절). 천주교의 미사 문제
침례와 주의 만찬 비교
침례 | 주의만찬 |
한 차례 | 여러 차례 |
성도가 되는 시점에 | 살아서 성도로 지내는 기간에 |
예수님과 하나가 되는 것(롬6:3-4) | 주님과 교제하는 것(고전10:16) |
십자가로 인해 새 생명을 얻음 | 십자가로 인해 내게 잇는 새 생명을 누림 |
그리스도 안에서 새로운 창조물 | 새로운 창조물로서 걸음 |
그리스도 안에서 성도의 신분은 완벽함 | 성도로서의 상태는 하나님이 원하는 모습이 아닐 때가 많음. 그래서 살펴보고 판단하고 그분 안에서 바른 교제를 나누려고 내를 씀 (고전11:28-32; 요일1:5-9) |
https://youtu.be/M7tkirQvze8?list=PLscQ_tpwLZYDKG5PylPOA0Z9Xl68hH88N
(14. 5.21) 고린도전서 강해_18 (고전 12: 1~13) : (정동수 목사, 사랑침례교회, 킹제임스 흠정역 성경, 킵바이블, keepbible, 세대주의, 고린도전서)
고린도전서 강해 18
고린도전서 12장
0. 고전12-14는 영적 선물에 관한 내용(12:1-14:40)
사람이 성장하면 성숙해지고 몸에 관심을 갖게 된다. 성도들도 마찬가지로 교회에 대해 관심을 갖는다.
교회는 가족, 군대, 전, 신부이고 또 몸이다.
바울은 성령님의 사역으로 이루어지는 몸에 대해 세 서신에서 언급한다. 성령님이 오순절에 몸을 출생시
키고 그 이후에 그 안에서 일하신다.
하나 됨 | 다양함 | 성숙 |
고전12:1-13 | 12:14-31 | 13:1-13 |
롬12:1-5 | 12:6-8 | 12:9-21 |
엡4:1~6 | 4:7-12 | 4:13-16 |
그런데 고린도 교회는 영적 은사들을 잘못 사용함으로써 몸을 망치고 있었다.
그래서 바울은 고린도 성도들이 그것들을 모르기를 원치 않았다(1절).
영적 선물은 많은 경우 표적과 관련이 있어서 파워를 동반하였다.
그런데 성령님의 열매는 파워가 아니라 성품의 변화이다(갈5:22).
고린도 교회는 파워가 넘쳤으나 성품의 변화가 작은 육신적인 교회였다. 성도들도 마찬가지이다.
1. 몸의 하나 됨(고전12:1-11)
A. 우리는 같은 주(主)를 고백한다(1-3). 영적 선물로 인한 문제를 언급하기 전에 그들의 과거 모습(2
절)을 말하고 현재의 상태를 말한다(3절).
1. 그들은 이방인들로서(엡2:11-12) 과거에 마귀들에게 경배하던 자들이다(고전10:20).
2. 무지와 욕정에 따라 말 못하는 우상들에게 끌려간 자들(2절)
3. 이제는 성령님의 지배를 받으며 예수님을 주님으로 고백한다(3절; 요일4:2). 살전1장의 고백
4. 예수님을 저주받은 자라고 하지 않음, 구원받은 자는 주 예수님을 영화롭게 한다.
5. 그리스도가 주님이면 교회에 일치가 있어야 한다(요17:20-21).
B. 우리는 같은 하나님을 의지한다(4-6).
1. 우리가 하는 일, 선물은 달라도 같은 삼위일체 하나님(4): 같은 성령, 같은 주, 같은 하나님(빌2:13)
2. 섬기는 직무는 달라도 같은 주님(5)
3. 활동은 곧 일을 말한다. 같은 하나님(6)
4. 선물의 근원도 하나님, 선물을 사용하는 데 따른 힘도 하나님에게서 온다. 사람이 아니다. 서로
경쟁하지 말라.
C. 같은 몸을 섬긴다(7-11).
1. 성령님의 나타나심은 진동, 울부짖는 것, 사자 소리 내는 것이 아니다. 성령님의 일의 표출(선물,
직무, 활동)
2. 선물은 개인의 즐거움이 아니라 몸을 섬기도록 주어졌다(7).
3. 성령님의 선물(8-10)은 고전12:8-10, 28, 롬12:6-8, 엡4:11 등에 있다(약 18개).
4. 성령님의 뜻대로 나누어주신다(11). 그러므로 자랑하면 안 된다. 낙심해도 안 된다.
D. 같은 침례를 받았다(12-13).
1. 이것은 성령 침례이다. 누구나 몸에 들어오려면 성령 침례를 받아야 한다. 이 침례는 구원받으면
자연히 주어진다. 구하는 것이 아니다. 방언이 성령침례라고 주장하는 것은 어불성설이다(30절
참조).
2. 롬8:14-16의 증언
하나 됨 다양함 성숙함
고전12:1-13 12:14-31 13:1-13
롬12:1-5 12:6-8 12:9-21
엡4:1-6 4:7-12 4:13-16- 27 -
3. 성령 충만은 늘 구해야 한다.
4. 여기의 침례를 물 침례로 해석하면 큰 문제가 된다(엡4:5).
E. 영적 선물과 관련된 성령님의 사역(엡4:4-8). 성령님은 각종 선물을 주신다(고전12:4).
1. 영적 선물은 그리스도께서 성령님을 통해 성도가 다시 태어날 때 주신 초자연적 능력
(supernatural ability)이다. 그리스어 charisma; charis에서 옴. 은혜 선물
2. 영적 선물의 범위
a. 모든 성도는 최소한 하나의 선물이 있다(벧전4:10; 엡4:7; 고전7:7; 12:7; 12:11).
b. 모든 선물을 가진 성도는 하나도 없다(고전12:29-30).
3. 영적 선물의 목적
a. 아버지를 영화롭게 함(계4:11).
b. 교회를 세워 줌(엡4:12-13).
4. 영적 선물의 오남용
a. 우리에게 주어진 선물을 사용하지 않음(딤후1:6; 딤전4;14).
b. 우리에게 주어지지 않은 선물을 사용하려 함(고전12-13).
c. 사랑 안에서 사용하지 않음(고전13:1).
5. 영적 선물의 수: 롬12:6-8, 고전12:8-10, 28, 엡4:11를 보면 18개의 선물이 나와 있다.
6. 영적 선물의 본질: 18개 선물은 교회 시대에 지속되는 ‘청지기 선물’과 잠시 있다가 사라지는
‘표적 선물’로 나뉜다.
a. 표적 선물(사라지는 선물)
(1) 사도, (2) 대언, (3) 기적, (4) 병 고침, (5) 타언어(방언), (6) 방언 통역, (7)
지식(의 말씀)(*)
b. 청지기 선물(지속되는 선물)
(1) 지혜(의 말씀), (2) 영 분별, (3) 주는 것, (4) 권면, (5) 섬김, (6) 긍휼을 베푸는
것, (7) 다스리는 것, (8) 믿음(*), (9) 가르치는 것, (10) 복음 선포자, (11) 목사
겸 교사
c. 영적 선물 자체가 기적의 요소를 품고 있다. 성경이 완성되기 전인 AD 50-60년경에 직통
계시를 받은 대언자를 증명하기 위해, 기적을 보임으로
(1) 예수님의 사역(요3:2; 마10:1, 7-8; 11:2-5; 요20:30-31)
(2) 바울의 사역(롬15:18; 고후12:12)
(3) 사도들의 사역(히2:4)
d. 처음에는 예수님과 사도들의 권위를 증명하기 위해 기적 선물들이 필요하였지만 성경이 완성되
어 진리와 오류를 구분해 주면서 더 이상 필요치 않게 되었다.
e. 성경 기록만으로도 하나님의 뜻을 성취하기에 충분하다는 것을 사도 바울은 마지막 서신에서
다음과 같이 보여 주었다(딤후3:16-17).
https://youtu.be/ENjTRXJ9hUE?list=PLscQ_tpwLZYDKG5PylPOA0Z9Xl68hH88N
(14. 5. 9) 고린도전서 강해_19 (고전 12:14~31) : (정동수 목사, 사랑침례교회, 킹제임스 흠정역 성경, 킵바이블, keepbible, 세대주의, 고린도전서)
고린도전서 강해 19
고린도전서 12장
F. 7가지 표적 선물(사라지는 선물)
1. 사도(엡4:11; 고전12:28): 그리스도께서 부르신 사람들, 교회의 초대 멤버, 사도는 ‘파송 받은
자’, 제자는 ‘배우는 자’, 그러므로 사도는 다 제자지만 제자는 다 사도가 아니다(요6:66-67).
a. 사도의 요건: 부활하신 그리스도를 보아야 한다(행1:22; 고전9:1).
b. 사도의 수: 원래의 열둘(눅6:13), 그러나 전체 수는 열둘 이상이다.
(1) 맛디야(행1:26), (2) 바울(롬1:1; 11:13; 고전9:1; 고후11:15; 12:12)
(3) 바나바(행14:14), (4) 주의 형제 야고보(고전15:7; 갈1:19)
2. 대언(롬12:6; 고전12:10; 14:1, 3-6; 엡4:11): 미래와 현재의 일 대언
a. 미래(고전15:51-55), foretell(미리 말함)
b. 현재(고전3:1-3), forthtell(밖으로 널리 알림): 현시대의 설교(설명, 권면, 위로, 책망
등), <The art of prophesying>
c. 성경 기록 자체가 대언이다(벧후1:20-21).
3. 기적(고전12:28): 초능력 발휘
a. 목적: 하나님의 권위 입증(요3:2; 20:30-31; 롬15:18; 고후12:12; 히2:4)
b. 성경 기적의 세 시대
(1) 모세와 여호수아 시대(약 25개 기적)
(2) 엘리야와 엘리사 시대(약 21개; 엘리야 7, 엘리사 14)
(3) 그리스도와 사도들의 시대(약 50개)
(4) 이 세 시대에는 기적이 없이는 이스라엘의 불순종과 비윤리와 무관심과 타성을 깰
수 없었다.
4. 병 고침(고전12:9, 28, 30): 정신적, 육적, 마귀적인 병을 고치는 초능력
a. 목적: 기적과 같다.
b. 병 고침 선물의 한계
(1) 예수님은 자신이 만난 모든 사람의 병을 고쳐 주지 않았다(눅4:25-27).
(2) 바울은 병 고침에 제약이 있었다.
(a) 본인 자신(고후12:7-10), (b) 에바브로디도(빌2:26-27)
(c) 디모데(딤전5:23), (d) 드로비모(딤후4:20)
(3) 병 고침의 선물을 사라졌으나 하나님은 여전히 병을 고치신다.
(4) 믿음의 기도는 병을 고칠 수 있다. 조건은 하나님의 뜻이다(요일5:14).
5. 방언(타언어)(고전12:10): 방언만큼 논쟁에 뜨거운 주제도 많지 않다. 나중에 14장에서 의논함
6. 방언 통역(고전14:13, 27-32)
7. 지식(고전12:8): 모든 선물 가운데 가장 이해가 부족한 것
a. 지식: 사실들을 모으는 초자연적인 능력, 지혜: 바르게 판단하여 이 사실들을 적용하는 것
☞ 고전13:8은 ‘무엇을 알아맞히는 지식 선물’이 있다는 견해를 지지하지 않는다.
b. 현 시대에 지식의 은사를 소유했다고 주장하는 자들: 특별 계시로 병을 진단하고 고치는 것
☞ 지식 선물이 언급된 5구절(고전12:8; 13:2, 8; 14:6; 고후8:7)은 지식 선물이 병
고침과 관련이 없음을 보여 준다.
c. 하나님이나 다른 사람에 대한 구두 계시를 받을 수 있는 초자연적인 능력
d. 하나님의 인도로 신약 성경 기록을 받을 수 있는 능력
e. 이런 면에서 이 표적 선물 역시 AD 90년경에 사라졌다. - 29 -
f. (*) 지식의 말씀(고전12:8)이라는 측면에서 이 선물은 지금도 있다고 보아도 된다.
G. 11가지 청지기 선물
1. 지혜(고전12:8)—성경에는 대개 4종류의 지혜가 언급된다.
a. 본성적 지혜: 가말리엘(행5:38-39)
b. 세상의 지혜: 하나님을 대적하는 철학(고전1:17-31 특히 고전1:17-21, 25)
c. 청지기 지혜: 영적 원리를 현 시대 문제에 바르게 적용하는 것, 이것이 지혜 선물이다.
d. 지식, 지혜와 더불어 명철이 있다. 명철은 지혜와 하나님과의 관계를 나타냄, 마귀는 지식과
지혜가 있어도 명철이 없다(욥28:28). 그래서 명철은 늘 지혜와 함께 언급된다(잠4:7).
e. 지식의 말: 무엇을 말하는가? 지혜의 말: 언제 어떻게 말하는가?
2. 영 분별(고전12:10; 요일4:1): 마귀의 일과 성령님의 일 구분, 은사운동, 종교일치(WCC)
a. 베드로(행8:22-23): 사마리아의 시몬
b. 바울(행13:9-10; 16:16-18): 키프로스의 총독 서기오 바울, 마법사 엘루마
3. 주는 것(롬12:8)—다른 사람을 위해 큰돈과 시간을 희생하며 주는 것, 대부분의 성도들이 기적
선물에는 관심이 많으나 이 선물에는 없다. 여러 교회들이 이 선물을 가졌다.
a. 예루살렘 교회(행4:32-37), b. 갈라디아 교회(갈4:15), c. 빌립보 교회(빌4:10-18)
d. 마케도니아의 교회들(고후8:1-5), e. 과부 여인(눅21:1-4, 이 렙돈)
4. 권면하는 것(롬12:8)—긍정적으로 다른 사람을 격려하는 것, 성경에서 성령님은 위로자로 나오는데
(요14:16) 이 말과 같은 뜻이다. 그러므로 권면하는 자는 위로자 성령님의 역할을 한다. 도전을
주고 격려하고 꾸짖는다.
5. 섬기는 것(롬12:7; 고전12:28)—육신적, 영적 문제에서 남을 섬기는 것, 도움을 주는 선물(고전
12:28). 모세와 그의 형 아론 그리고 훌(출17:8-12)
a. 도르가(행9:36-39), 욥바, b. 뵈베(롬16:1-2), c. 오네시보로(딤후1:16-18)
d. 여호수아(수1:1)
6. 긍휼을 베푸는 것(롬12:8)—아픈 사람, 고통 받는 사람을 불쌍히 여기는 것, 선한 사마리아 사람(눅
10:30-37)
7. 다스리는 것(롬12:8; 고전12:28)—행정, 관리 능력, 디도(딛1:4-5), 이것이 없이는 지역 교회의
성장이 멈춘다.
8. 믿음(고전12:9)—성경에는 세 종류의 믿음이 나온다(롬12:3).
a. 구원하는 믿음: 회개하는 죄인들에게 주어지는 믿음(행16:31; 롬4:5; 5:1; 10:17)
b. 거룩히 구별하는 믿음: 모든 성도에게 주어지는 믿음(갈2:20; 갈5:22; 엡6:16)
c. 청지기 믿음: 어떤 성도들에게만 주어진다. 하나님으로부터 큰일들을 기대하는 선물
9. 가르치는 것(롬12:7; 엡4:11; 고전12:28)—하나님의 말씀을 잘 가르쳐서 성장하게 하는 것
a. 바울(행20:27), 아볼로(행18:24-25), 아굴라와 브리스길라(행18:26)
10. 복음 전도자(엡4:11), 전도자의 선물이 아니라 전도자가 선물이다.
a. 개인적인 측면: 죄인들을 그리스도에게로 인도하는 것. 모든 성도들은 이 책임을 가지고 있다.
빌립(행8:5-12; 21:8), 베드로(행2:37-42), 바울(행19:18-20)
b. 선구자적인 측면: 교회를 세우는 것, 바울(행14:21-23; 15:41; 롬15:20)
11. 목사 겸 교사(엡4:11)—하나님의 말씀을 가르치고 선포하고 양떼를 먹이는 것
a. 목사의 은사가 아니라 목사가 교회에 주어진 선물이다.
b. 바울(행20:28), 베드로(벧전5:1-4)
c. 감독, 장로, 목사는 같은 직분(Office)에 대한 용어이다(딛1:5; 7; 벧전5:1-2; 4; 행- 30 -
20:17; 28), 감독(Episcopos, 감독하는 자, 직무의 의무), 장로(Presbuteros, 치리하
는 자, 직무의 위엄), 목사(Poimen, 목자, 직무의 목적)
d. 역사를 통해 감독과 장로라는 용어들이 성경적 의미를 잃어버렸기 때문에 우리는 목사를 쓴다.
e. 목사의 목적: 교회를 돌보기 위한 하나님의 일꾼
f. 교회의 영적 성숙을 위한 하나님의 선물(엡4:11-16)
g. 목사의 필수조건: 하나님의 부르심. 하나님이 부르시면(call) 교회가 임명하고(ordain) 성령
님께서 그들을 그 직책으로 구분하신다(행13:1-4).
h. 목사는 복수여야 하는가?(행14:23; 행20:17; 약5:14), 부목사, 조력 목사(누구를 섬기는
가? 여호수아, 디모데)
i. 목사는 신학교를 나와야 하는가?
j. 목사는 직업을 갖고 교회를 섬겨야 하는가?
k. 좋은 교회의 태도: 목사와 성도의 관계
목사는 성도들의 요청에 귀를 잘 기울이며 특히 어려운 형제들의 사정을 도와야 한다.
2. 몸의 다양함(고전12:13-31)
다양함이 없으면 하나 됨이 획일화될 수 있고 그러면 조직이나 몸은 망하고 만다.
우리의 성경 혹은 교회 운동이 획일화로 나가면 결국 망하고 만다.
그런데 다양성을 너무 강조하다 보면 하나 됨이 깨진다. 균형이 중요하다.
여기에 성숙함이 있다(고전13).
A. 몸이 살아서 성장하며 섬기기 위해서는 여러 기능이 필요하다(14-20).
1. 아무도 다른 지체와 비교할 필요가 없다.
2. 모든 지체가 다르며 다 중요하다.
3. 그럼에도 센세이셔널한 선물에만 관심을 두는 이들이 많다.
4. 다양함은 열등감을 뜻하지 않는다.
B. 서로를 의지해야 함을 알면서 하나 됨을 증진시켜야 한다(21-26).
1. 다양함은 하나님의 지혜이다.
2. 몸의 지체가 독립되면 병이나 죽음이 생긴다.
3. 지체들이 경쟁하면 다양성이 하나 됨을 파괴한다.
C. 다양성이 하나님의 뜻을 성취한다(27-31).
1. 하나님께서 각 교회에 필요한 선물들을 주신다.
2. 여기서는 선물의 중요성도 언급되어 있다. 타언어는 사실 맨 마지막이다.
3. 아무도 모든 선물을 갖지 못한다(29-30).
4. 가장 좋은 선물들을 구하라(고전14:1). 방언은 아니다.
https://youtu.be/Sd8uWBt2nWM?list=PLscQ_tpwLZYDKG5PylPOA0Z9Xl68hH88N
고린도전서 강해_20 (고전 13: 1~13) : (정동수 목사, 사랑침례교회, 킹제임스 흠정역 성경, 킵바이블, keepbible, 세대주의, 고린도전서)
고린도전서 강해 20
고린도전서 13장
예수님의 몸의 하나 됨과 다양성을 조화시키려면 성숙함이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필요한 것이 사랑
(charity)이다.
영적 선물들을 제대로 사용하지 않으면 교회가 망가진다. 은사는 모두를 위해 주어짐(고전12:7).
성숙한 지체, 성숙한 교회: 하나님 사랑, 지체 사랑, 구원받지 못한 사람들 사랑. 그리스도의 몸
된 교회의 피가 곧 사랑이다.
고전12:31, 가장 좋은 선물들을 사모하라. 더욱 뛰어난 길을 따르라. 13장은 12, 14장의 괄호
가장 육신적인 교회, 13장, 13절, 성경에서 가장 오남용되고 있는 장
사랑만 하는 신(행)은 왜곡된 신, 미움이 없는 사랑은 진짜 사랑이 아니다. 진리를 사랑하면 오류는
미워해야 한다. 깨끗한 것을 사랑하면 더러운 것을 미워해야 한다.
하나님의 사랑은 거룩함에 기반을 두고 있다.
또한 하나님의 사랑은 그리스도의 희생에 근거한다. 즉 그리스도 밖에서는 하나님은 아무도 사랑하지
않는다(요3:16; 롬5:8). 그래서 죄인은 하나님의 진노 아래 거한다(요3:36).
I. 사랑은 풍성하게 해 준다(1-3)
방언(타언어), 대언, 지식, 믿음, 주는 것(희생)은 다른 이들을 풍성하게 해야 한다. 안 그러면 안
하느니 못하다.
사랑 안에서 진리를 말할 것(엡4:15)
하나님께서 서로 사랑할 것을 가르치심(살전4:9)
아들의 사랑(요13:34-35)
1절: 사람들의 언어와 천사들의 언어를 말한다고 해도, 가정법이지 바울이 천사들의 언어를 말한
것이 아니다.
a. 사람들의 언어: 행2:8에 보면 처음으로 타언어 선물이 나온다. 총 18 나라의 말
b. 천사들은 무슨 말을 할까? 아무도 모른다.
c. 여기의 사랑은 love가 아니라 charity이다. Charity는 신약에만 28회(고전에만 12회), 그리스
어 아가페는 총 117회, 89회는 Love로 번역됨. 어떤 이들은 요21장을 근거로 아가페와 필레오
등의 그리스말을 구분해야 한다고 주장하지만 성경의 용례는 그렇지 않다.
d. 여기서 바울은 그리스도인의 사랑을 charity라고 부른다. charity의 기본 의미는 주는 것이다.
자선(慈善) 단체(charity organization)
e. 그러므로 그리스도인의 사랑의 기본은 헌신적으로 주는 것이다.
f. 결혼 생활 이후에 곧 느끼는 것: 사랑은 주는 것이다.
g. 사랑 없이 땅의 모든 말과 하늘의 말을 한다면 징과 꽹과리의 불협화음이 되고 만다.
2절: 대언, 신비, 지식, 믿음(마17:20), 1절과 마찬가지 아이디어
a. 사랑이 없다면 나는 아무것도 아니다(I am nothing).
3절: 주고 희생하는 것, 사랑 없이 줄 수는 있으나 주지 않고 사랑할 수는 없다.
a. 주는 것의 동기가 사랑이 되어야 한다.
b. 그리스도의 심판석(고전3:13).
c. 사랑이 없으면 유익을 못 준다.
II. 사랑은 세워준다(4-7), 고전8:1, 사랑 대신에 예수님과 본인의 이름을 넣어보라.
여기의 4 구절은 charity의 16가지 특징을 보여 준다(7개는 긍정적, 9개는 부정적인 것).
이 구절은 갈5:22-23의 성령의 열매와 매우 비슷하다.
영적 선물들의 목적: 세워 주는 것(고전14:3, 12, 17, 26)- 32 -
그러므로 내가 아니라 남을 먼저 생각해야 한다. 그것이 바로 뛰어난 길인 사랑이다.
그런데 (1) 고린도 성도들은 애찬 등에서 오래 참지 못하고 흉하게 행하였다. (2) 다른 사람의 은사를
탐하였다. (3) 교만하였다. (4) 서로를 고소하였다. (5) 교회 안의 죄를 자랑하였다(고전5).
4절: 오래 참는다(갈5:22의 성령의 열매).
a. 오래 참음: 그리스도인의 정상적인 성장 과정이 charity(벧후1:5-7; 엡4:2)
b. 친절함: 성도들(엡4:32), 불신자들(눅6:35-36)
c. 시기하지 않음: 시기 질투는 교회의 문제(고전3:3), 육신의 열매(갈5:21), 자기를 높이는 것(갈
5:26), 그래서 사랑은 자기를 높이지 않는다.
5절: 무례히 혹은 보기에 좋지 않게(unseemly) 행동하지 않는다.
a. 오순절 은사 집회, 어느 목사 교회의 청년들이 천주교회에 가서 물의를 일으킨 사례, 정식으로
사과함
b. 자기 것을 추구하지 않는다: 고전9장의 바울의 사례비 경우
c. 쉽게 성내지 않는다. 화는 낼 수 있으나 쉽게 내지 말라.
d. 악을 생각하지 않는다: 선한 것 추구, 다른 사람의 잘못을 완전히 용서하는 것(엡4:26, 32).
6절: 불법을 기뻐하지 않고 진리를 기뻐함. 말씀 듣기를 거부하는 자들이 있다. 목사들의 비리, 성경
교정자들의 죄악, 알릴 것은 알려야 한다.
7절: a. 모든 것을 참는다: 특히 부모와 교사와 목사
b. 모든 것을 믿는다: 물론 모든 것은 옳은 것을 말한다.
c. 모든 것을 바란다: 여기의 소망은 반드시 이루어질 것에 대한 것이다. 휴거, 부활, 몸의 구속,
하나님의 간섭
d. 모든 것을 견딘다: 마귀, 세상, 육신이 가져다주는 것(바울의 경우 고후11:23-28)
III. 사랑은 영원히 지속된다(8-13)
8절: 대언, 방언, 지식은 영원히 지속되지 않는다.
a. 대언, 방언, 방언 통역은 함께 일하는 경우가 많았고 고린도 성도들은 이것을 (특히 방언) 크게
자랑하였다.
b. 앞으로 모든 것을 알게 되는 때가 오므로 지식은 없어진다. 과일 가격, 자동차 수리, 물리 공부
c. 이런 것들은 언젠가 다 그치게 될 것이다. 그러나 사랑은 영원하다(요일4:8, 16).
9절: 이 세상에서 우리는 부분적으로만 안다. 성경 예언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다 아는 사람은 없다.
10절: 완전한 것은 무엇인가?
a. 성경의 완성, 문맥에서 지지받기 어렵다. 성경의 완성 이후에도 지식이 존재한다.
b. 재림, 문맥적으로 지지를 받는다. 12절을 보면 확실하다.
11절: 고린도 성도들은 없어질 장난감을 사랑하는 아이들과 같다.
a. 교회나 개인이나 모두 성장해야 한다(엡4:11-16; 고전14:20; 벧후3:18).
b. 예수님의 재림이 있어야 모든 것이 완벽해진다. 그럼에도 우리는 다 이 땅에서 자라야 한다.
12절: 재림이 이루어져서 몸이 변하면 나에 대해, 모든 사람에 대해, 모든 것에 대해 모든 것을 알게
된다.
13절: 재림이 이루어지면 믿음이 보는 것이 되고 소망은 모두 성취된다. 그러나 사랑은 여전히 존재한
다. 그러므로 사랑이 이 셋 중 가장 크다.
a. 물론 사랑이 다른 모든 은사보다 더욱 크다. 이것은 더욱 뛰어난 길이다(고전12:31).
b. 그래서 모든 은사는 사랑 안에서 사용되어야 한다(고저14:1).
정동수 목사님 프로필
- 학 력 -
인하대학교 기계공학 학사(1982)
캐나다 뉴브런스윅 주립대 기계공학 석사(1984)
미국 매리랜드 주립대 기계공학 박사(1988)
미국 펜사콜라 신학대학원 석사(2001)
목사 안수(2001)
- 경 력 -
현, 인하대학교 기계공학과 교수(1992-현재)현, 사랑침례교회 담임목사
http://www.cbck.org/html/ 사랑침례교회
http://cafe.daum.net/Jesus-bible 예수그리스도안에서(카페)
http://www.keepbible.com/ 킵바이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