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 견(犬/犭) - 개의 옆 모습
개의 옆 모습을 90도 회전시켜놓은 것으로, 왼쪽이 앞뒷다리, 오른쪽 아래가 꼬리, 점이 개의 귀를 본따 만든 글자이다.
고대 중국인에게 있어서 개는 야생상태에 있는 이리를 식용으로 사육하기 위해 길들인 가축이었다. 따라서 개는 그냥 짐승 중의 하나에 불과했고, 개를 특별히 다른 짐승과 분리해서 생각하지는 않았다. 이런 이유로, 애완용으로 개를 기르는 서양 사람들은 개를 먹는 동양인들의 문화를 이해하지 못한다. 개를 다른 짐승과 구분하지 않는 이유로 개 견(犬)자는 일반적인 짐승을 지칭하는 글자에 대부분 들어가며, 이러한 짐승은 외롭고(獨), 사납고(猛), 교활하고(狡), 미친듯한(狂) 성격을 가졌기 때문에 이런 류의 글자에도 모두 개 견(犬)자가 들어간다.
얻을 획(獲)자는 풀(艹) 속의 새(隹)를 손(又)으로 포획(捕獲)한다라는 의미의 글자였으나, 나중에 의미를 분명히 하기 위해 짐승을 의미하는 개 견(犭)자가 추가되었다.
짐승 수(獸)자는 개 견(犬)자에 홑 단(單)의 변형자가 합쳐진 글자이다. 홑 단(單)자는 줄 양끝에 돌을 매어 던져 짐승을 산채로 잡는 무기의 모습으로 추정하고 있다. 따라서 짐승 수(獸)자는 사냥으로 잡는 짐승이란 뜻이다. 맹수(猛獸)는 사나운 짐승이다.
범할 범(犯)자는 짐승(犭) 앞에 꿇어 않은 사람(卩)의 모습으로, 짐승이 사람을 침범(侵犯)한다는 의미이다.
달아날 발(犮)자는 개(犬)가 달려가는 모습을 본따 만든 상형문자이다. 달아날 발(犮)자는 독자적으로 사용되는 경우보다 다른 글자와 만나 소리로서의 역할을 한다. 손 수(扌)자와 합쳐지면 뺄 발(拔), 긴(長) 터럭(彡)이 합쳐지면 터럭 발(髮)자가 된다. 장발(長髮)은 긴머리라는 뜻이다.
냄새 취(臭)자는 개(犬) 코(自)는 냄새(臭)를 잘 맡는데에서 유래한 글자이다. 앞에서 이야기한 스스로 자(自)자는 코를 의미한다. 악취(惡臭)는 나쁜 냄새이다.
엎드릴 복(伏)자는 개(犬)가 사람 앞(人)에 엎드려 복종(伏從)하는데에서 유래한 글자이다.
짖을 폐(吠)자는 개(犬)가 입(口)으로 짓는다는 의미이다.[계명구폐(鷄鳴狗吠)]
소리내어 울 곡(哭)자는 개(犬) 여러 마리가 입(口,口)으로 울부짓는다는 의미이다.[통곡(痛哭)]
그릇 기(器)자는 개 견(犬)자에 4개의 입 구(口)자가 붙은 형상인데, 그릇이라는 의미가 생기게된 데에 대한 납득할 만한 해석이 아직 없다. 대기만성(大器晩成)은 큰 그릇을 만드는 데에는 오래 걸린다는 뜻이다.
갑자기 돌(突)자는 개(犬)가 구멍(穴)에서 갑작스럽게, 돌발(突發)적으로 튀어 나온다는 의미의 글자이다.
감옥 옥(獄)자는 말씀 언(言) 자 좌우로 개 견(犭,犬)자가 들어 가 있다. 두 마리의 개(犬)가 서로 으르렁거리며 싸우듯이, 큰 소리로 말(言)을 하며 싸우는 재판정의 모습을 그려놓았다. 이중에서 잘못이 확정되는 사람은 감옥(監獄)에 가야하므로 감옥이란 의미가 생겼다.
바칠 헌(獻)자는 개 견(犬)자와 [솥 권(鬳)→헌]자가 합쳐진 글자인데, 솥 권(鬳)자는 다시 솥 력(鬲)자와 호랑이 호(虍)자가 합쳐진 글자로, 호랑이(虍)가 새겨진 솥(鬲)을 의미한다. 여기에 개(犬)를 넣어 보신탕을 끓여 조상신에게 바친다고 해서 바칠 헌(獻)이 되었다. 헌납(獻納)은 물건을 바친다는 의미이다.
▶ 狗 : 개 구, 개 견(犭) + [글귀 구(句)] / 양두구육(羊頭狗肉)
▶ 狐 : 여우 호, 개 견(犭) + [오이 과(瓜)→호] / 호가호위(狐假虎威)
▶ 猫 : 고양이 묘, 개 견(犭) + [모 묘(苗)] / 묘족(苗族)
▶ 猿 : 원숭이 원, 개 견(犭) + [옷 길 원(袁)] / 유인원(類人猿)
▶ 猶 : 원숭이 유, 같을 유, 개 견(犭) + [술익을 추(酋)→유] / 과유불급(過猶不及)
▶ 猪 : 멧돼지 저, 개 견(犭) + [놈 자(者)→저] / 저팔계(猪八戒)
▶ 獲 : 얻을 획, 개 견(犭) + [잡을 획()] / 포획(捕獲)
☞ 穫 : 벼 벨 확, 벼 화(禾) + [잡을 획()→확] / 수확(收穫)
▶ 獵 : 사냥할 렵, 개 견(犭) + [쥐털 렵(巤)] / 엽총(獵銃), 엽기적(獵奇的)
▶ 狩 : 사냥 수, 개 견(犭) + [지킬 수(守)] / 수렵(狩獵)
▶ 狂 : 미칠 광, 개 견(犭) + [왕 왕(王)→광] / 광란(狂亂)
▶ 猛 : 사나울 맹, 개 견(犭) + [맏 맹(孟)] / 맹수(猛獸)
▶ 獨 : 외로울 독, 개 견(犭) + [벌레 촉(蜀)→독] / 독자(獨子)
▶ 狡 : 교활할 교, 개 견(犭) + [사귈 교(交)] / 교활(狡猾)
▶ 猝 : 갑자기 졸, 개 견(犭) + [군사 졸(卒)] / 졸지풍파(猝地風波)
▶ 默 : (개가) 잠잠할 묵, 개 견(犬) + [검을 흑(黑)→묵] / 묵념(默念)
▶ 狀 : (개의) 형상 상, 편지 장, 개 견(犬) + [나무조각 장(爿)→상] / 형상(形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