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의 원인을 파악하는 과정에서 몰입도가 상승하는데 공부는 결과,원인을 파악하기 힘든데 반해 게임은 금방 금방 피드백이옴그리고 시각적 성취를 가져다줌.. 그리고 대부분 공부하면 뭔내용인지 이해가 안가서 집중이깨짐
이처럼 몰입을 위해서는 심리학자 미하이 칙센트는몰입을 하려면 저세가지 요소가 충족되어야 한다고해근데; 이게 쉬운게아님
1초도 쉬지않고 그것만을 생각하는거임에너지를 쓰는거지 잠에서 깼을때 그게 생각나면 몰입한거고떠오르지 않으면 몰입하지 않은거라함(낮에하는 공부를 수면중에 학습한다고함)
우리가 아는 창의력의 대가들은 하나같이 입모아생각을 끊임없이 했다고함 (+생각의 탄생이라는 책에서 본건데아인슈타인는 직관적인 말을 더많이했다고해자기는 답을 우선 머릿속에서 찾았고 그뒤에그걸 설명하기위해 수학적 도구를 빌렸다 라고 하더군자기는 천재가 아니라며, 자기를 천재라하는 사람은 별볼일 없는 사람이다라고 얘기한것 까지 보면 아인슈타인은 엄청난양의 몰입을 했던것같아)이들이 몰입을 할 수 있었던 이유는"해결되지 않은 문제에 집중했기때문 "
명확한것보다 명확하지 않은게 더 많다고생각이 드는데!몰입하는 행복을 다들 경험한다면제 2의 n의 아인슈타인이 무수히 나올것 같다는 생각이 드네 게임이 더 재밌는건 당연한 말일수도있지근데 몰입은 강한 행복을 가져다 준다더라궁금한 친구들은미하이 칙센트 님의 유명한 flow 몰입이란 책을읽어보거나EBS 통찰 - 몰입과 창의성을 찾아봐~~
출처: 쭉빵카페 원문보기 글쓴이: 막이슈좋아하는애
첫댓글 봐야지
ㅜㅜ 좋아 몰입
첫댓글 봐야지
ㅜㅜ 좋아 몰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