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작품들위주로 모은 연꽃 그림들인데 아주유명작이며 명청시대 작으로 알뿐 더이상 상세히
알지못하고 되는대로 모아올립니다,,
경전에서
분타리화(分陀利花) 산스크리트로 puṇḍarīka. 또는 분도리가화(奔荼利迦花)․
분도리화(分荼利花)․라고도 하며 의역하여 백련화(白蓮華))라 한다.
드물고 귀한 꽃이라 하여 희유화(希有華)라고도 한다.
백색수련(白色睡蓮)에 속한다. 또는 오종련화(五種蓮華)의 하나.
구물두(拘物頭)는 산스크리트로 kumuda. 수련과(睡蓮科)에 속한다.
또는 구물두화(俱物頭華)․구모지화(究牟地華)․구모나화(矩母那華)․구모지화(究牟地華)․
구문라화(句文羅華)라 한다.
꽃과 줄기에 가시가 있고 색은 희거나 붉으며 잎의 끝이 짧다.
그 흰색의 것은 학명(學名)을 Nymphoea esculenta라 하는데 줄기가 가늘며 식용으로 사용된다.
붉은 것은 학명을 Nymphoea rudra라 하는데 혜림(慧琳) 『음의(音義)』 3권에 이르기를
구물두화(拘物頭華)는 바로 적련화(赤蓮華)이다.
매우 붉은 색이며 향기와 맛도 갖추어서 사람들이 소유할 바가 아니다라고 하였다.
『속고승전(續高僧傳)』 2권과 『번역명의집(翻譯名義集)』 권8 등에서는 모두 황련화(黃蓮華)라 하였다.
『대일경소』 권15에서는 구물두(俱物頭)를 청색의 연화라고 함 ----다라니집경 1권
(우발라꽃·구모두꽃·구가나타꽃 등의 연꽃)
청색,황색,적색,백색의 연꽃이 있다함



























연꽃은 불교의 깨닫음의 상징화로써 더러운 번뇌세계인 진흙에 뿌리를 두고
잎과 꽃을 피워 올리는데 잎과 꽃은 절대로 더러운 진흙이나 흑탕물이 절대로 묻지않아
번뇌세계에 오염되지 않는 청정한 본래면목의 모습을 상징한 꽃으로 부처님이 자주
제자들에게 보여주거나 응용하신 꽃이다,,(염화미소)
제자마하가섭이 하늘의 연꽃을 들고 오는 사람을 만나 부처님이 열반하신 일을 듣게된 일화,,
연등부처님 당시에 운동자로 있으었을때 야수다라 전생의 여자에게 연꽃을 산 일화등,,
연꽃은 욕계 하늘세계에 어디에나 자라며 다만 높은 하늘로 올라갈수록 아름다움과 향기,
크기 광명들이 큰차이를 이룬다고한다,,
수염마천은 해로부터 너무멀어 연꽃이 피고 지는 시간으로 밤낮을 유추한단다,,
극락세계에도 연꽃이 있는데 여기에 태어나는 수행자들은 연꽃에 싸여서 피어나며 태어난다고 한다,
물론 수행력에 따라 연꽃속에 머무는시간이 다르다,,
다른 세계의 무수한 부처님 나라들에도 연꽃은 대부분 존재하는걸로,,,
첫댓글 고맙습니다.
관세음보살_()_
관세음보살
나무아미타불나무아미타불나무아미타불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