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년 된 아파트이므로 종별 접지방식으로 시공이 됬을 것으로 사료되며, 종별접지인 경우 피뢰설비는 1종접지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전기설비판단기준 제18조에 따라 1종접지의 접지저항 10Ω 이하로 유지하시면 됩니다. 아울러 D사의 접지저항 측정기 측정방법을 예시로 올려드리오니 참조 바랍니다. 1. 측정순서 가. 보조접지봉 박기 접지저항을 측정하고자하는 접지극(E)으로 부터 거의 일직선 10[m] 간격으로 P, C 전극을 충분하게 지면에 박아 넣는다. 나. 리드선의 접속 접지저항계의 측정단자와 접지극 보조전극을 리드선에 확실하게 접속한다. 다. 전지(내장) 확인 스위치로 전지를 점검하여 지침이 전지점검의 테두리 안에 있는지 확인한다. 라. 측정조작 ① 교체 스위치를 V로 하고 지전압을 측정하여 10[V] 미만인지를 확인한다. ② 교체 스위치를 Ω으로 한 후 검류계의 균형을 취하면서 눈금판을 조절하여 검류계의 지시가 0을 나타낼 때의 눈금판 지시값을 직독한다. ③ 접지저항계는 전환 스위치를 접지저항 레인지로 하고 접지저항의 크기에 따라 적정한 레인지를 맞추어서 PUSH S/W를 누르면 접지저항을 직독할 수 있다.  2. 접지저항의 간이측정 가. P와 C의 측정단자를 접지저항값을 알고 있는 단자(변압기 2종접지, 공장 및 건물의 철골 등)에 연결한다. 나. 접지저항계의 측정단자 E를 측정하려는 접지극에 연결한다. 다. 접지저항계의 조작순서는 일반 측정방법과 같다. 라. 여기서 측정된 저항값은 보조극의 접지저항값을 제한 후 구하도록 한다. 마. 이 측정법은 3종 접지공사의 저항측정과 같이 정확을 요하지 않은 개소에 사용되고, 주의할 점은 변압기의 2종 접지선을 보조극으로 사용 시 충전유무를 확인 후 접속하여 측정토록 한다. 3. 접지저항의 측정 시 주의할 사항 가. 지전압의 영향 전기기기 및 배선의 절연이 나빠 대지에 누전전류가 흐르게 되면 피측정 접지극에 지전압이 나타날 수 있다. 이 때 지전압이 수 볼트 이상이면 측정오차가 크므로 원인을 조사한 후 요인을 제거 후 측정한다. [표1] 지전압에 의한 허용차(JIS C 1304) 등가 지전압 | 허용오차 | 5V | ± 5% | 10V | ± 30% |
나. 접지저항계 내장전지의 상태를 확인한 후 점검토록 한다. 다. 접지저항계의 본체 기능점검은 측정단자 E, P, C를 단락해서 0(Ω)을 나타내면 양호하다. 라. 측정리드선의 단선점검 후 사용토록 한다. 아울러 피뢰설비는 낙뢰피해 예방을 위한 필요조건이지 충분조건은 아닙니다. 따라서 낙뢰의 직접적인 피해를 받는 약전설비(방송설비, CCTV, 엘리베이터 제어반 등) 보호를 위해 해당 부하에 SPD(서지 보호기)를 설치하는 것도 검토하심이 바람직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