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산재 진행절차 - 8.영산작법-상단권공
스크랩
영산재 진행절차-8.영산작법-상단권공
사람이
사람을
만들고
사람이
사람을
병들게 하며,
사람이
사람을
행복하게 합니다.
바라춤
영산재 상단권공은 불보살과 옹호신중 등 일체 유주무주 고혼들을 청정한 영산도량에 모셔와 일체대중이 지극한 정성으로 마련한 육법공양과 음성공양으로 권공하오니 불법을 들어 불보살님의 가피력을 입을 것을 발원하는 내용이다.
고향게(告香偈)
향연은 가득하여 삼천세계에 두루 하고/정과 혜는 능히 팔만문을 열었으며/오직 삼보님의 대자대비를 바라옵나니/이러한 믿음으로 향을 사르오니 법회에 임하소서.
香煙遍覆三千界 定慧能開八萬門 唯願三寶大慈悲 聞此信香臨法會
(향연변부삼천계 정혜능개팔만문 유원삼보대자비 문차신향임법회)
영산재-바라춤
영산재의 진행과 범패는 아래의 72가진 순으로 귀의 의식, 결계의식, 소청의식, 설법의식, 권공의식 다섯 대목으로 구성된다.
* 귀의의식: 중생들이 간절히 법회를 열어 관세음보살을 청하여 불법의 가르침에 대한 결계 앞서 명바라를 시작으로 작법이 진행 된다.
1. 영산 할향(喝香:향을 메게 로 불덕 찬탄의 게송)-홋소리
2. 연향게(燃香偈:앞의 향의 덕성 찬탄 발원) -평염불
3. 할등(喝燈:부처님의 가르침인 법(法)을 등불로 의인화 시킨 찬탄의 게송)-홋소리
4. 연등게(燃燈偈:불법의 가르침과 신심을 돈독하게 하는 게송)-평염불
5. 할화(喝花:부처님의 가르침을 꽃으로 의인화 시킨 찬탄의 게송)-홋소리
6. 서찬게(舒讚偈:꽃을 통한 성불 화로써 발원의미 내포 된 게송)-평염불
7. 불찬(佛讚-삼보와 부처님이 여섯 가지 공덕 찬탄의 게송)-홋소리
8. 대직찬(大直讚;부처님에 대한 찬탄과 귀의 게송)-홋소리
9. 지심이-지심신례불타야(志心信禮佛陀耶兩足尊:부처님에 대한 귀의)-짓소리
10. 삼귀의(三歸依:삼보에 대한 귀의의 게송)-홋소리
11. 중직찬 (中直讚:;부처님에 가르침 법에 대한 찬탄 게송)-홋소리
12. 지심이-지심신례달마야이욕존(志心信禮達磨耶利慾尊:법보에 대한 귀의)-짓소리
13. 보장취(寶藏聚:보배스런 경전에 대한 찬탄)-홋소리
14. 소직찬(小直讚;부처님에 가르침을 따르는 승에 대한 찬탄 게송)-홋소리
15. 지심이-지심신례승가야중중존(志心信禮僧家耶衆中尊:수승한 수행자에 대한 귀의)-짓소리
16. 오덕사(五德師:다섯 가지 덕에 대한 찬탄 게송)-홋소리
17. 개계소(開啓疏:영산법회 열림을 불전에 밝히는 글 )-안채비(소성)
18. 합장게(合掌偈:신. 구. 의 삼업 일심으로 합장하여 귀의 하겠다는 다짐의 글 )-홋소리
19. 고향게(告香偈: 신심의 향과 더불어 삼보님의 강림을 발원하는 글)-홋소리
이로 써 영산대법회 도량에 대중들이 불, 보살 가르침을 받아 지니기 위한 삼보전의 의식을 마치고 결계의식으로 이어 진다.
나비춤
* 결계의식: 중생들이 간절히 법회를 열어 관세음보살을 청하여 불법의 가르침에 대한 결계의 절차를 마친다.
20. 영산개계(靈山開啓:영산재의 단을 꾸며 으니 결계의 이치와 법수에 대한 내용을 밝히는 글)-홋소리
21. 관음찬(觀音讚:관세음보살을 청하기에 앞서서 찬탄하는 게송)-평염불
22. 관음청(觀音請:관세음보살을 세 번 간절히 청하는 글)-홋소리
23. 향화청(香花請/내림게바라: 꽃을 뿌리는 게송과 바라춤)-평염불
24. 가영(歌詠:관세음보살의 덕을 찬탄 하는 게송)-홋소리
25. 걸수게(乞水偈:관세음보살 가르침의 법수(法水)를 뿌려 주실 것을 찬탄)-홋소리
26. 쇄수게(灑水偈:번뇌를 제거 할 수 있는 감로수에 대한 찬탄의 게송)-홋소리
27. 복청게(伏請偈:일체 대중이 신묘스럽고 묘한 다라니를 염송 결계의 홋소리로 찬탄하는 게송)-홋소리
28. 천수바라(千手바라:천수경 가운데 관세음보살 비밀 진언 신묘장구대다라니 염송과 바라춤을 통해 결계가이어 진다.) -홋소리
29. 사방찬(四方讚:동서남북 시공을 초월한 정토화을 찬탄 )-홋소리
30. 도량게(道場偈:청정해진 도량을 찬탄 하는 나비춤 반주곡)-홋소리
31. 참회게(懺悔偈聲:참회에 대한 게송)-홋소리
이로 써 영산대법회 도량에 결계의식에 이어 간절히 청하는 소청의식으로 이어 진다.
참회게(懺悔偈)
오랜겁래 내가지은 악법 그 모두가 탐. 진. 치로 생기었기에 이 몸 따라 이미 지은 모든 업장 내가이제 머리 숙여 일심으로 참회 하나이다.
我昔所造諸惡業 皆由無始貪嗔癡 從身口意之所生 一切我今皆懺悔
(아석소조제악업 개유무시탐진치 종신구의지소생 일체아금개참회)
* 소청의식: 불. 보살님을 간절히 청하여 불법을 일러 주시기를 발원하는 의식 이다.
32. 대회소(大會疏:영산대법회를 밝히는 글) 안채비(소성)
33. 육거불(六擧佛:영산재와 더불어 이 법회에 증명 하실 대표적 여섯 부처님을 모시는 짓소리)-평염불 혹은 짓소리로 진행
34. 삼보소(三寶疏:불, 법, 승 삼보에 대한 찬탄과 강림 글)-안채비(소성)
35. 대청불(大請佛: 영산회상 석가모니불을 청하는 게송)-홋소리
36. 삼례청(三禮請:부처님을 세 번 간절히 청하는 글)-홋소리
37. 사부청(四府請:부처님을 보위 하는 일체 사부(四府:하늘, 땅, 물, 명부)의 성중을 청하는 글 )-홋소리
38. 단청불(單請佛:간략 하게 줄여서 삼보와 성중을 청하는 글)-홋소리
39. 헌좌게(獻座偈;삼보와 성중께선 중생들이 간절히 깨달음의 좌석(법단)을 꾸며 으니 좌정하시라는 게송)/헌좌진언(獻座眞言)-홋소리
40. 다게(茶偈:중생이 간절히 차를 올리오니 받아 주시길 청하 게송의 나비춤)-홋소리
41. 일체공경(一切恭敬:일체 대중 모두 삼보 전에 귀의와 꽃 공양 게송)-홋소리
42. 향화게(香花偈: 가르침의 양적, 질적 법(法) 공양에 대한 찬탄의 나비춤)-홋소리{법문을 모실 경우 정대게부터-귀명게까지 한다.
간절히 청하는 소청의식에 이어 불법의 가르침에 대한 설법의식이 이어 진다.
중국 상해 영산재
* 설법의식: 불보살의 가피력을 통해 일체 대중모두 불법을 지니어 깨달음을 얻어 귀의 하는 의식 이다.
43. 정대게(頂戴偈:법문을 설한 법사를 모시는 찬탄의 게송)-평염불
44. 개경게(開經偈: 어렵게 불법을 만난 중생을 위해 부처님의 가르침을 펼치겠다는 게송)-평염불
45. 개법장진언(開法藏眞言:부처님 가르침의 보배의 장경(법;경전)을 펼치겠다는 진언) 삼남태(옴 아라남 아라다. 옴 아라남 아라다. 옴 아라남 아라다-짓소리와 더불어 나부춤이 진행 된다.
46. 십념청정법신운운(十念淸淨法身云云:열 분의 부처님을 비롯하여 모든 부처님에 대한 명호 , 가르침, 이를 따르는 승에 대한 염송)-평염불
47. 거량(擧揚:영가와 일체 대중에게 가르침을 베풀기 위해 위패(영혼의 이름을 적은 것을 위의라 한다.)을 모시는 글 )/수위안좌진언(受位安坐眞言:좌정하라는 진언)-안채비(축원성, 착어성)
48. 청법게(請法偈:불법의 가르침을 설해주실 법사를 청하는 게송)-평염불
49. 설법게(說法偈: 법사스님의 가르침을 설법 게송)<법문>-평염불
50. 보궐진언(補闕眞言:(경을 보충하는 진언)-평염불
51. 수경게(收經偈:경전을 거두며 가르침을 찬탄 하는 게송)-평염불
52. 사무량게(四無量偈: 법을 설하는 법사에게 찬탄 하는 게송)-평염불
53. 귀명게(歸命偈:가르침을 받아 지녀 신심과 더불어 발원 성취 염원의 게송)-평염불
54. 창혼(唱魂:영산재에 동참한 재자와 영혼을 청하는 글)-홋소리
55. 지심귀명례(지심귀명례-짓소리, 평염불/구원겁중(久遠劫中)구원겁중 상주영산 설법화경 아본사 석가모니불(금일 영산법회와 더불어 석존에 대한 귀의)-홋소리에 맞추어 나비춤이 진행 된다.
영산법회에 동참한 살아 있는 자, 죽은 영혼에 대한 설법의식에 이어 권공의식이 진행 된다.
* 권공의식: 불보살 가피력을 통한 육도중생 성불 할 수 있도록 불법공양을 베푸는 의식 이다
56. 욕건이(欲建而)/정법계진언(淨法界眞言)-홋소리
57. 향수나렬(香水羅列:부처님의 법공양을 아귀등 모든 중생에게 골고루 베풀어 주는 글)-홋소리 / 특사가지-홋소리, 짓소리
58. 사다라니(四陀羅尼: 네 다라니를 통해 공양을 베푸는 다라니)-홋소리
59. 운심게(運心偈:공양에 대한 찬탄의 나비춤)작법-홋소리
60. 상래가지(上來加持:부처님의 가피력에 대한 찬탄의 글)-홋소리
61. 육법공양(六法供養:향,등,다,과,화,미 여섯 가지 공양에 대한 글)-홋소리
62. 배헌해탈향(拜獻解脫香:향에 대한 찬탄의 게송)-홋소리
63. 배헌반야등(拜獻般若燈: 가르침 법에 대한 찬탄의 게송)-홋소리
64. 배헌만행화(拜獻萬行花:꽃에 대한 찬탄의 게송)-홋소리
65. 배헌보리과(拜獻菩提果:과일에 대한 찬탄의 게송)-홋소리
66. 배헌감로다(拜獻甘露茶:차에 대한 찬탄의 게송)-홋소리
67. 배헌선열미(拜獻禪悅味:쌀에 대한 찬탄의 게송)/대각석가존/작법-홋소리
68. 각집게(各執偈)-홋소리
69. 가지게(加持偈)-홋소리
70. 탄백(歎白:영산재 후렴 찬탄의 글)-평염불
71. 회심곡(回心曲:생로병사의 이치와 더불어 선업을 짓고 깨우침을 주는 4.4조 한글의 소리)
72.축원화청(祝願和請:상단 부처님 찬탄과 더불어 중생세계 모두 행복과 평화를 기원 하는 축수 발원의 내용)
상단 권공의식을 통해 아귀중생에게도 법을 설 하여 일체 대중 모두 성불 할 수 있도록 상단 권공의식을 마치고 중단의식으로 이어 진다.
영산재-짓소리
영산재 상단권공 의식을 마치고 이어서 9번째 영산재 운수상단권공(각배재) 의식이 이어 진다.
김응기 프로필
작성자 김응기
작성일 2012-03-28
조회 442611
목록
다음글
노랑부리백로 번식지를 찾아서
이전글
행진음악으로서의 농악
SNS 로그인 SNS 페이스북 아이콘SNS 트위터 아이콘SNS 네이버 아이콘SNS 카카오 아이콘
댓글등록비밀댓글 체크박스비밀댓글(0 / 300)
전체댓글수: 244
sns 프로필 사진
sns아이콘 선영 2019-03-26 17:42
일곱번째의식인 상당권공은 불법을 들어 불보살님의 가피력을 입을 것을 발원하는 내용이다. 또한 귀의, 결계, 소청의식 등 다양한 의식으로 이루어져있다는것을 알게 되었다. 점차 의식이 진행되면서 영산재에 대해 더 알수 있게 되었다.
리플 0
sns 프로필 사진
sns아이콘 최소영 2019-03-26 17:16
유일하게 한번 들어본 결계의식이 나와 반가웠고 정말 영산재라는 이 의식을 행하기위해서 해야하는 의식들이 정말 많구나를 느꼈습니다.
리플 0
sns 프로필 사진
sns아이콘 서하은 2019-03-26 17:09
영산재 여덟번째인 상단권공이 72가진 순으로 다섯 대목이 나뉘게 된다는 것을 알게되었습니다
리플 0
sns 프로필 사진
sns아이콘 서선덕 2019-03-26 17:06
상단이라하면, 불보살님을 말합니다. 중단은 신중단이요, 하단은 영단을 말핳 것입다. 당연히 상단에서부터 공양을 대접하고 찬탄하는 것이 순리이겠지요. 어떤 모임에서도 가장 큰 어른께 먼저 권공하는 것이 순리이니까요
리플 0
sns 프로필 사진
sns아이콘 이동민 2019-03-26 16:29
내 행동으로 잉해 내 사람들이 행동변화가 있을수있고 기쁨을 나눌수있다는것이 다시 새롭게 다가왔다
리플 0
sns 프로필 사진
sns아이콘 Jagaksunim 2019-03-26 16:00
이시대에 이렇게 환희로운 무대가 또 있을까? 아무도 유지는 커녕 생각조차 못할것이다. 이 감동적인 부처님의 말씀을 이렇게 경이롭게 표현함에 감사드린다 이 은혜 잊지 않겠습니다 ^^
리플 0
sns 프로필 사진
sns아이콘 서하은 2019-03-26 15:53
작성자:이지인
상단권공 의식을 읽어보고 진행이 다섯 대목으로 된다는 것과 그 안에 또 72가지가 있다는 것을 알았다.
리플 0
sns 프로필 사진
sns아이콘 이동현 2019-03-26 15:43
영산재의 8번재 단계인 상단권공이라는 것에 대해 알게 되었는데 72가지의 순으로 이루어져 있다는 것에 놀랐다. 이렇게 많은 의식이 있는지 처음 알게 되었습니다.
리플 0
sns 프로필 사진
sns아이콘 아현 2019-03-26 14:19
영산재 상단권공은 사람이 사람을 만든다 그 사람이 병들게도 행복하게도 할수있다는 그 점이 놀라웠다 사람을 조심해야겠다고 느꼇다 .
리플 0
sns 프로필 사진
sns아이콘 재경스님 2019-03-26 09:10
상단권권은 불보살님과 옹호신중 화엄성중님 들께 일체유주무주고혼들을 청정한 영산도량에 모셔 모두 불법의 말
씀을 듣고 가피력을 입을 것을 발원드리는 의식임을 잘 알았습니다.
리플 0
테마
상단으로 이동
문화유산 유튜브 계정 네이버TV 네이버블로그 인스타그램 페이스북
문화유산채널 etc
(04626) 서울 중구 퇴계로36가길 18-1(3층, 민성빌딩) 필동2가 85-4
Copyright(C) 2019 Korea Cultural Heritage Foundatio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