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 =r상,2-5=s상,3-6=t상으로 모터안에서
서로 연결되어 있는걸로 압니다
여기서 절연저항 측정은 r상과 외함간 s상과
외함간 t상과 외함간 측정하는 걸로 알고있는데
모터에서 나온선이 6선이라고 한다면
일반 누전찾는 메거(단위 m옴)로도 가능한지 알고 싶습니다
모터 절연저항측정에 단위는 옴으로 알고 있는데 누전 찾는것은 단위가 기본 m옴입니다
3상 220v의 결선은 1-6, 2-4, 3-5 델타결선이고
3상 380v는 456 com이고 1- r상, 2- s상,3- t상으로 이게 와이델타결선으로 알고 있습니다
기동시 와이결선이고 운전시 델타결선으로
그 이유는 와이기동시 상전압으로서 선간전압보다 낮은 전류값이 흐르기 때문인데 제가 알고 있는게 맞나요?
델타결선일 경우 기동시 3-6배의 전류가 흐르는건가요?
모터에서 선간저항 측정시 (예로 1-4와 2-5측정)은 선간에는
단락을 측정하기 위함이고(단락으로 예상함 선간은 붙으면 합선이 일어나기때문) 이때 정상적인값은 0이 나오겠죠?
선간 측정 저항값은 (코일에는 자체 저항이 존재하기때문)
3상이 비슷하게 나와야 된다는 것은 알고 있습니다
그럼 단선이면 선간에는 그 값이 0이 나오는게
맞는건가요?
마지막 모터는 맨 마지막 부하입니다
차단기에서 마그네트를 이용해 결선했다면
마그네트 2차에서도 측정 가능한데 이때는
일반 누전 찾는 메거로도 가능한가요?모터쪽은 서로 결선되어 있는 상태입니다
설비기준에 나오는 220v에는 0.2m이고 380v에는 0.3 m옴이상인데 모터 측정에 이 값을 적용해도 되는 것인가요?
이 질문외에 관련해서 제가 알아야될 사항이라던가 그런게 있나요
쓰다보니 질문이 좀 되네요
첫댓글 마지막 질문에 실무에선 1메가 옴 이하 나오면 이미 문제있는겁니다
실제론 최소 10메가는 나와야하고
보통 50메가이상 나옵니다
1.모터선의 절연은 누전을 찾기위한 것입니다, 모터선과 접지선간의 저항이 무한대에서 최소 5메가옴 정도는 나와 줘야함
2.선간 저항측정은 선간 합선 나는것을 찾기위함. 1-4 같이 된것은 결국보면 선의 양끝부분입니다. 이경우 저항이 0에서 몇옴정도 나오면 정상이고 3선다 거의 비슷환 저항이 나와야 합니다. 1-4 =r상,2-5=s상,3-6=t상 저항이 다른경우는 모터내에 권선이 손상되어 있다는 추정이 가능합니다.
그렇군요 위에 제가 1-4 2-5 3-6을 써 놓고도
델타결선 와이델타결선을 두고 고민했네요
결국은 풀면 같은 라인끼리 저항 측정만 하면되는것을,,,실무에선 그정도 값이 나와야 되는군요
역시 생각은 깊이들어가면 꼬이는군요
댓글 주신분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