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 내 일반버스가 인상 6개월만에 16일 새벽 3시부터 10% 인상돼 조정시행된다. © 부천데일리뉴스 자료사진 | |
전기세 및 도시가스 등 공공요금들이 줄줄이 인상돼 서민들의 생활비 부담이 가중되고 있는 가운데 오는 16일(토) 새벽 3시부터 경기도 시내버스 중 일반형 버스 요금이 10% 인상돼 적용 조정된다.
이는 지난해부터 올해 6월 인상할 것이 계획되어 있었지만 인상된지 불과 6개월만에 연이어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이를 예상을 못했던 일반 서민들에게는 적지 않은 부담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이 조정안에 따르면 일반형 시내버스(초록색 버스) 기본요금은 교통카드 이용 시 일반인은 1,000원에서 1,100원으로, 청소년은 800원에서 880원으로, 어린이는 500원에서 550원으로 각각 10%씩 오른다. 좌석형, 직행좌석형은 현행대로 유지된다.
그러나 도는 이같은 서민들의 대중교통인 시내버스 요금 인상에 대해 “이번 요금조정은 지난해 9월 경기도 소비자정책심의위원회에서 의결된 일반형 시내버스 요금인상에 있어 서민부담 완화를 위해 200원을 일시에 인상하지 않고, 2011년 11월과 올해 6월 각각 100원씩 나눠 인상하도록 한 요금 분할조정 결정에 따른 것”이라면서 “경기도 뿐만 아니라 인천시와 동시에 시행된다”며 도민들의 충격을 완화시키려는 유화정책의 몸짓을 쓰고 있다.
또한 도 관계자는 “당시 결정된 요금분할 조정안은 행정안전부에서 수도권 3개 시도에 권고했던 시내버스 요금조정안을 수용한 것”이라고 설명한 후 “도는 그간 요금 조정에 따라 승객이 체감할 수 있는 서비스개선 효과를 얻기 위해 지난해 말부터 시내버스 청결점검 SMART사업, 친절‧안전 운전교육, 우수기사 포상, 버스운행실태 점검 등을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 지난 2011년 경기도 일반버스 요금 인상내용 © 부천데일리뉴스 자료사진 | |
그러나 한 도민은 “행정부나 운수업체 종사자들은 요금을 인상할 때마다 조건으로 서비스 개선 등을 운운하지만 달라진 점이 눈에 띄지 않는다”면서 “요금인상때마다 도민들을 위해 마련한다는 버스 청결점검, 친절‧안전 운전교육, 버스운행실태 점검 등 서비스 개선 정책안은 신뢰가 가질 않는다. 인상 6개월만에 재차 이루어지는 요금 인상안에 대한 반발을 무마하려는 얄팍한 일시적인 정책이 아닌 평소에 당연히 이루어져야 할 기본적 정책이 되어야 하는 것 아니냐”고 지적했다.
한편 부천시도 관내 초교 교문 앞 횡단보도에서 시내버스의 과속 운전으로 1학년 어린이가 교통사고를 당한 사고와 관련, 지난 3월 김만수 시장이 긴급 특별기자회견을 갖고 관내 대중교통 수단인 시내버스들의 불법‧난폭운행 행위로 인한 시민들의 안전위협 및 불편 요소를 전면적으로 개선하겠다고 선언했다.
또한 이와 관련 부천YMCA와 녹색어머니회, 부천대학교 학생 등 100명으로 구성된 시민평가단이 오는 11월까지 7개월 동안 부천시 버스 69개 전 노선을 암행탑승하여 정류장 무정차와 난폭운전, 신호위반 등 5개 분야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는 등 부천시 관내 운행 버스에 대한 일상적 서비스 평가가 시민들의 눈으로 직접 확인‧기록 평가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