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희영의 News English]
Why N. Koreans are making less and less of meju, an important flavor enhancer
경제 죽 쒀서 메주를 못 쑤는 북한
윤희영 기자 입력 2024.01.11. 03:00 조선일보
일러스트=최정진
된장·고추장·간장의 기본 재료(essential ingredient for soybean paste, red pepper paste, soy sauce)가 되는 메주를 영어로는 뭐라고 할까. ‘발효된 콩을 으깬 것’이라는 뜻에서 ‘fermented soybean mash’라고도 하고, ‘발효된 콩 덩어리’라고 해서 ‘fermented soybean lump’라고도 한다.
북한 경제 상황이 악화 일로를 치달으면서(continue to deteriorate), 주민들이 콩을 살 형편이 되지 못해(cannot afford to buy soybeans) 메주 쑤는 것조차 포기하고 있다. 예전에 만들어 놓은 묵은장을 반찬(side dish) 대신 먹어왔던 주민들은 다음 겨울은 어떻게 나야 하느냐며(make it through next winter) 걱정이 태산이라고(be worried sick) 한다.
북한 전문 매체 데일리NK에 따르면, 매년 12월 말부터 1월 초엔 집마다 메주를 쑤느라 하루 종일 굴뚝에서 연기가 피어났는데(billow out of the chimneys all day long), 최근엔 아주 드물어졌다(become few and far between). 20~40가구를 기본으로 하는 각각의 인민반에서 메주 쑤는 집이 3~4 세대에 불과하다고 한다. 익명을 전제로 한(on condition of anonymity) 북한 내 한 소식통은 회령시(市)의 한 인민반에서는 총 25세대 중 불과 2세대만 메주를 만들었다고 전했다.
북한에는 반찬거리가 많지 않은 데다, 연초마다 메주 덩어리에서 피어나는 분홍빛 곰팡이(pink mold)가 그해 그 집의 운을 나타내준다는(indicate the family’s fortune for the year) 믿음이 있어서 대부분 집에서 메주를 쑨다고 한다. 그런데 최근 들어(as of late) 콩 가격이 너무 올라 메주를 쑨 가구가 한 손으로 꼽을(be counted on one hand) 지경이 됐다는 것이다.
데일리NK 소식통에 따르면, 지난해 10월 북한 화폐로 ㎏당 4000원이던 것이 12월 말엔 6700원으로 70% 가까이 폭등해 쌀값보다도 더 비싸졌다(be more expensive than rice). 그러니 하루 세끼조차 제대로 챙겨 먹지 못하는(barely eat three proper meals a day) 주민들은 그동안의 전통도 하릴없이 포기할 수밖에 없게 됐다고(be compelled to relinquish the traditions with no alternative) 한다.
이런 와중에도 최상위층은 메주 발효 과정(fermentation process)이 집안을 불쾌한 냄새로 진동하게(fill the house with a strong unpleasant odor) 한다며 재료와 비용에 수고비를 얹어주며 생계 어려운(have difficulty making a living) 다른 집에 맡긴다. 그런데 자기 집 메주는 쑤지 못하는 주민들이 서로 그 일이라도 맡으려 다툰다고 한다. 생계에 도움 되는 부수입(extra income)이 생기는 데다, 메주를 띄우려면 난방을 해줘야 해서 메주와 함께 한겨울 따스하게 보낼 수 있어서다.
남한 메주는 직사각형(rectangle)인데 비해 북한 메주는 원뿔형(cone)으로 둥글게 만든다. 남한보다 추워서 공기 흐름을 더 잘 활용하기(make better use of the air flow) 위해서라고 한다.
----------------------------------------------------------------------------------------------------
Why N. Koreans are making less and less of meju, an important flavor enhancer
Some people have seized on the decline as an opportunity to earn extra cash
경제난에 콩 가격까지 오르자 메주 쑤는 세대 손에 꼽아
소식통, “지금 장 안 담그면 내년 겨울엔 장도 없이 어떻게 밥 먹나 벌써부터 걱정”
By Lee Chae Un - 2024.01.03 2:54pm Daily NK
FILE PHOTO: A table set for one North Korean family's celebrations on January 1, 2019. (Daily NK)
Meju (fermented soybeans mash) is the key component in multiple commonly used Korean seasonings, including doenjang, gochujang, and soy sauce. It was commonly made in middle class households as a primary flavor enhancer.
However, Daily NK has learned that as of late, many people cannot afford meju‘s primary ingredient, soybeans. Because of this, families are giving up on the tradition and the number of households making meju is on the decline.
On Tuesday, a Daily NK source in North Hamgyong Province, speaking on condition of anonymity for security reasons, said that “every year from late December early January, families would rush around steaming soybeans to make meju, and smoke would billow out of their chimneys all day long. Recently, however, these kinds of households are few and far between. This fall, only around three to four households in each neighborhood watch unit are making meju.”
In one neighborhood watch unit in the city of Hoeryong, only two households out of a total of 25 houses are making meju this year.
One of the reasons that meju making is so common in North Korea is the belief that pink mold growing on meju blocks can indicate a family’s fortune for the year. However, Daily NK’s source reported that the number of families making meju this year “can be counted on one hand.”
Over the last two months there has been a nearly 70% increase in the price of soybeans, going up from KPW 4,000 last October to KPW 6,700 as of the end of December, the source said.
“With soybeans being more expensive than rice, families are struggling financially and can barely eat three proper meals a day, let alone think about making meju this year. In the past, many households ate mugunjang, a byproduct of the meju-making process, to fill out their meals in place of banchan [side dishes]. These same households are now wondering how they will make it through next winter without mugunjang [to supplement their diets].”
However, households who can afford the luxury of making meju are currently doing all they can to make the flavor enhancer.
The North Korean meju-making process begins by soaking the soybeans in water for a day, then boiling and mashing the beans with a mortar and pestle. The mash is then compacted with a wooden noodle press three to four times, after which it is shaped into a ball to begin fermentation.
The fermenting meju is then aired out on top of a clean cloth placed in the warmest part of the house. However, the fermentation process tends to fill the house with a strong unpleasant odor, so some families pay relatives or friends to do it in their stead.
“Due to the strong odor, families with a bit of money often buy the ingredients and pay someone else to take over the meju-making process. Unpleasant as the smell may be, many struggling households are eager to take over the meju process. The fermentation process requires a well-heated house, so households entrusted to make meju for wealthier families can at least look forward to a warmer winter [on the other family’s dime].”
Translated by Matthew Eteuati, Jr. Edited by Rose Adams and Robert Lauler.
Daily NK works with a network of sources who live inside North Korea, China and elsewhere. Their identities remain anonymous due to security concerns. More information about Daily NK’s reporting partner network and information gathering activities can be found on our FAQ page here.
Please direct any comments or questions about this article to dailynkenglish@uni-media.net.
경제난에 콩 가격까지 오르자 메주 쑤는 세대 손에 꼽아
소식통, “지금 장 안 담그면 내년 겨울엔 장도 없이 어떻게 밥 먹나 벌써부터 걱정”
By 이채은 기자 -2024.01.02 10:59 오전 Daily NK
함경북도 온성군 남양 노동자구의 살림집들. /사진=데일리NK
북한 주민들의 경제난이 심화하면서 메주를 쑤는 세대가 크게 줄어든 것으로 전해졌다. 메주의 기본 재료인 콩을 구매할 여력이 없어 주민들이 메주 쑤기를 포기하고 있다는 전언이다.
함경북도 소식통은 2일 데일리NK에 “매년 12월 말부터 1월 초면 집마다 메주를 쑤느라 매우 바쁘게 돌아가고 하루 종일 굴뚝에서 연기가 끊이지 않았는데 지금은 이런 풍경을 찾아보기 어려워졌다”면서 “이번 겨울에는 인민반마다 메주를 쑨 세대가 평균 3~4세대에 불과하다”고 전했다.
실제 회령시의 한 인민반에서는 총 25세대 중 최근까지 메주를 쑨 세대가 2세대에 불과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북한에서는 연초마다 메주를 쑤고 나서 분홍색을 띤 곰팡이가 나오느냐 그렇지 않으냐에 따라 한해 운을 점치는 문화가 있어 대부분의 세대가 메주를 쑨다고 한다. 그러나 올해는 메주콩 가격이 크게 올라 메주를 쑨 집이 손에 꼽을 정도라는 게 소식통의 이야기다.
실제로 지난해 10월경 kg당 4000원이던 메주콩은 두 달여 만에 70% 가까이 올라 지난달 말 6700원에 거래된 것으로 파악됐다.
소식통은 “메주콩이 쌀 가격보다 비싸 비용적으로 부담이 크니 당장 하루 세끼를 제대로 챙겨 먹기 어려운 세대들은 이번 겨울에 메주를 만들 생각조차 하지 못하고 있다”며 “예전에 만들어 놓은 묵은장으로 반찬을 대신해 생활해왔던 세대들은 지금 장을 못 담그면 다음 겨울은 어떻게 먹고 살지 모르겠다며 걱정하고 있다”고 말했다.
다만 일부 경제적 여유가 있는 세대들은 올해에도 메주 담그기에 정성을 들이고 있다.
북한에서는 메주를 만들 때 하루 전에 콩을 물에 불려놓았다가 다음날 콩을 삶은 후 삶은 콩을 절구로 찧거나 국수분틀에 2~3번 내린 뒤 둥그런 모양으로 빚는다.
빚은 메주는 아랫목에 깨끗한 깔판을 펴고 그 위에 공기가 통하도록 올려놓고 말리는데, 이 과정에서 온 집안에 진동하는 발효 냄새가 싫어 일부 세대는 친척이나 이웃집에 맡겨 메주를 쑤기도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소식통은 “돈이 좀 있는 사람들은 재료를 다 대주고 냄새가 싫어 다른 집에 메주 쑤는 것을 맡기지만, 생활이 어려운 사람들은 냄새 때문에 힘들어도 메주 쑤기를 맡고 싶어 한다”며 “메주를 잘 띄우기 위해서는 따뜻하게 난방을 때야 해 메주 쑤기를 맡으면 그동안은 따뜻하게 지낼 수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21세기 영어교육연구회 / ㈜ 파우스트 칼리지
전 화 : (02)386-4802 / (02)384-3348
이메일 : faustcollege@naver.com / ceta211@naver.com
Blog : http://blog.naver.com/ceta211 21세기 영어교육연구회
Cafe : http://cafe.daum.net/21ceta 21세기 영어교육연구회
Web-site : www.faustcollege.com (주)파우스트 칼리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