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회화(124) - 문벌 사회
1. 문벌 귀족 사회
▶ 9품중정제의 실시로 호족의 문벌 귀족화
9품중정제는 각 주와 군마다 중정관이 관할 지역의 향론을 살펴 덕망과 재주를 겸비한 인물을 9등급으로 평가하여 추천하는 제도이다.
당시의 사회 분위기는 이미 호족 세력이 지방의 여론을 좌우하고 있었기에 자연히 호족의 자제가 상품(上品)에 추천되어 고위 관직을 독점하는 결과가 나타났다.
이 제도는 위·진·남북조 시대의 문벌 귀족 형성에 큰 역할을 하였다.
** 위진남북조의 ‘문벌 사회
위진 시대에는 명문세가의 집 앞에 두 개의 큰 기둥을 세워서 왼쪽을 벌(閥)이라 하고 오른쪽을 열(閱)이라 하여 집안의 세를 과시했다. 따라서 법열이란 고위 관리를 의미하고, 문벌은 대대로 관리를 배출한 집안을 말하였다.
서진 말부터 문벌 가문과 서민 가문을 엄격히 구분하면서 계층화가 생겼다. 조정에서도 계층 분화를 제도화 하여 족문제(族門制)를 확립했다. 상급귀족을 甲門, 하급귀족을 차문(次門) 서민층을 후문(後門), 하급 서민층을 삼오문(三五門)으로 규정했다. 위 문제가 만든 구품중정제는 이런 가문의 계층을 통하여 운영하였다. 이들은 上上에서 下下의 아홉 단계로 향품(鄕品)을 나누어서 해당 지역의 인품을 품평한 뒤 승진과 징계를 심사했다.
이런 풍조는 문인도 시품(詩品)이라는 것으로 나누어서 문인을 품평하였다.
남조의 귀족 세력은 이러한 추세에 맞추어서 엄격한 귀족 제도를 만든다. 귀족은 특권을 누리면서, 고급 관료는 모두 귀족이 차지했다. 한문(寒門)에서는 세족을 찾아 볼 수 없다.
귀족은 혼인을 통하여 자신의 지위를 더욱 공고히 했고, 다른 가문과 구분하기 위히여 족보를 만들었다. 귀족 사회에서는 체통을 잃는 일을 가문의 수치로 여기면서, 오히려 사회로부터 고립되어 갔고(청담사상 등ㅇ), 이로서 서족 세력이 두각을 나타내기 시작했다.
첫댓글 문벌이라는 것이 이렇게 생겼군요
잘 배워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