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군영 설치 시기에 대해서 훈 총 수 어 금 이라고 하는데 이게 맞는 건가요?
훈련도감 > 총용청 > 수어청 > 어영청 > 금위영..
자세히 보면
훈련도감은 선조 임진왜란때 포수 살수 사수
어영청은 광해군 다음 왕인 인조 1년 북벌계획으로
총용청은 인조 2년 북한산성
금위영은 숙종 8년에 서울 궁중수비
수어청은 숙종 9년 남한한성
따라서
훈련도감 > 어영청 > 총융청 >금위영 > 수어청 이렇게 되야 하지 않나요?
카페 게시글
② 한국사 심화 학습
[근대사회]
5군영 설치 시기에 대해.. 쪼까 어려운듯..
다음검색
첫댓글 밑에 내용이 제 책이랑 다르네요. 제 책에는 총용청(인조,1624년 이괄의 난계기로)-수어청(1626,남한산성)-어영청(효종,1652 북벌)-금위영(숙종,1682 도성의 수비)이렇게 나오는데요
설치순서는 훈련도감>어영군>총융청>수어청>어영청>금위영 입니다. 어영군이 효종때 확대,개편된 것이 어영청이므로 문제에 따라 상대적으로 풀어야 합니다. 그냥 설치순서를 물으면 훈어총수금이고 중앙군 설치순서는 훈총수어금입니다.
훈>총>수>어>금 이라고 나오면 이게 정답인데 이렇게 된 게 보기에 없다면 훈>어영군>총>수>금 으로 찍으라고 엊그제 심한국사강의에서 들었습니다 (어영청 이전에 이미 어영군이라는게 있었다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