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행코스 : 운서역 ~ 생태통로 쌍굴다리 ~ 소나무길(마루금) ~ 백운산 정상 ~ 용궁사 ~ 버스정류장 ~ 운서역 (휴식시간 포함: 약 3시간 소요)
※ 용궁사 앞에서 버스를 타고 운서역까지 10분 소요
백운산 (白雲山 : 255.5m .인천광역시 중구 영종도)
인천광역시의 중구 영종동에 위치한 산으로 영종도에서 가장 높은 산이다. 공항철도를 타고 운서역에서 내리면 역사 뒤편으로 높게 보이는 산이 백운산이다.
"해동지도"에 백운산(白雲山)이라는 지명이 보이고 금산(禁山)으로 지정되어 있었다. 영종도는 조선 시대에 영종진(永宗鎭)이 설치되어 군사적 요충지로 인식되었고 백운산 정상에는 봉수대가 설치되어 있었다.
백제에서 조선 중기까지 자연도로 불리던 이 섬에 영종이란 이름이 붙은 것은 숙종 때로 주변에 북도와 용유도(龍遊島)를 거느리고 있다고 하여 영(領)자로 하였다. 동쪽에 인천을 머리에 이고 서쪽에 신불도(薪佛島)가 양 옆을 받치고 있다(示)하여 ‘ 宗 ’ 자를 사용해서 긴 마루의 뜻을 가진 영종이라 부르게 되었다. 1973년 부천군의 폐지에 따라 옹진군에 편입되었다가 1989년 인천에 편입되었다.
아침저녁마다 산 정상부에 흰 구름이 자욱하게 서려 있다고 해서 백운산이라는 지명이 나왔다고 전한다. 숲이 우거지고 능선이 완만하게 이어져서 초보자 또는 어린이들도 등산하기 좋으며 등산 코스로는 용궁사에서 영종하늘고등학교 또는 운서역에서 영종하늘고등학교를 경유하여 원점회기산행 또는 용궁사로 내려가기도 한다.
운서역에서 백운산 정상까지 약 1시간, 백운산 정상에서 간식 ~ 용궁사를 둘러보고 버스 정류장까지 약 1시간 20분, (전체적으로 3시간이면 충분)
백운산 (白雲山 : 255.5m .인천광역시 중구 영종도)
인천광역시의 중구 영종동에 위치한 산으로 영종도에서 가장 높은 산이다. "해동지도"에 백운산(白雲山)이라는 지명이 보이고 금산(禁山)으로 지정되어 있었다.
아침저녁마다 산 정상부에 흰 구름이 자욱하게 서려 있다고 해서 백운산이라는 지명이 나왔다고 전한다. 과거에 영종도 거주민들은 백운산에 산신이 살고 있다고 여겨 산신제를 올렸다는 전설이 있다. 영종도는 조선 시대에 영종진(永宗鎭)이 설치되어 군사적 요충지로 인식되었고 백운산 정상에는 봉수대가 설치되어 있었다.
공항철도를 타고 운서역에서 내리면 역사 뒤편으로 높게 보이는 산이 백운산이다.

▲ 요사채는 맞배지붕에 홑처마로 건물 정면에 용궁사라고 적힌 흥선대원군 석파 이하응의 친필 편액이 있다 ⓒ 2014 한국의산천
석파(石坡)는 대원군의 호이다.
흥선군은 사도세자의 서자 은신군(恩信君) 이진의 후사였다. 은신군은 열여섯 때 죽어 후사가 없자 인조의 셋째 아들인 인평대군의 5대손 이병원(李秉源)의 아들을 양자로 입적시켰는데 그가 대원군의 부친 남연군 이구(李球)였다. 안동 김씨의 세도정치에 눌려 젊은 시절 재산을 탕진하며 파락호(破落戶)로 불우한 생애를 보내던 야심가 흥선군(興宣君) 이하응(李昰應, 1820~1898)은 많은 이야깃거리를 만들었다. 그중 하나가 오랜 시절을 공들여 시작한 일이 아버지 남연군(南延君南延君, ?~1822)의 묘를 이곳으로 옮기는 일이었다.
흥선군은 당대의 지관인 정만인(鄭萬仁)에게 명당 자리를 부탁하여 가야산 동쪽에 2대에 걸쳐 천자가 나오는 자리를 구하였는데 그 명당터에는 가야사라는 절이 있었고, 지관이 점지해준 묘자리에는 금탑이 서 있었다. 흥선군은 재산을 처분한 2만 냥의 반을 주지에게 주며 스님들을 쫓아낸 후 이곳에 묘를 쓰기 위해 가야사에 불을 지르게 하였다. 그리하여 절은 폐허가 되고 금탑만 남는데, 탑을 헐기로 한 날 밤에 네 형제가 똑 같은 꿈을 구게 된다.
" 나는 탑신이다. 너희들은 어찌하여 나의 자리를 빼았으려 하느냐. 만약 일을 그만두지 못한다면 내 너희를 용서치 않으리라 "
겁에 질린 형들은 모두 그만두기를 원했으나 막내 흥선군은 분통하면서 " 그렇다면 이 또한 진실로 명당이다". 라고 말한뒤 "장김의 문전을 다니며 구차하게 사는 것보다 차라리 한때 잘 사는 것이 쾌하지 않겠습니까?" 하고 탑을 부수자 도끼날이 튀었다고 한다. 이에 대원군이 " 왜 나라고 왕의 아비가 되지 못한다는 것인가? "라고 소리치자 도끼가 튀지 않았다고 전한다. 이곳 명당으로 이장 후 정만인의 예언대로 흥선군은 대원군이 되었으며 고종, 순종 등의 2대 에 걸쳐 황제를 배출한다. 이런 일화들은 풍운아 이하응의 강한 권력 지향성을 보여준 것이다.

용궁사를 예전에는 백운사, 혹은 구담사(舊曇寺)라고 불렸다고 한다.
전설에 따르면 옛날 한 어부의 그물에 옥부처 하나가 걸려 올라왔다. 어부가 바다에 버렸지만 계속 다시 건져지자, 예사 일이 아니라고 생각한 어부가 이 옥부처를 백운사 관음전에 모셨다. 그 후 백운사 앞을 소나 말을 타고 지나려면 발이 땅에 붙어 떨어지지 않았으므로 할 수 없이 내려서 지나야 했다. 그러자 백운사가 영험한 절이라고 소문이 났고 그 어부도 고기를 많이 잡아 부자가 됐다.
흥선대원군(興宣大院君)이 이 절에 왔다가 이런 얘기를 듣고 “옥부처가 용궁에서 나왔으니 용궁사라 하는 게 좋겠다”면서 현판을 써줬다고 한다. 옥부처는 일제 때 도난당하고 지금은 청동관음상이 모셔져 있다. (이상 일부 옮겨온 글).

프로스팩스바지(180.000원)를 입은 집사람이 좀 이상해 보인다.(마두역. 8시 22분)

공항열차를 타고가며 바라본 계양산(394.9m)

청라경제자유지역의 공장지대.

운서역(9시 45분 도착)

운서역 앞.

운서역 맞은편,

운서역 모습.

녹지 생태통로.(쌍굴다리)

생태통로위,

인천하늘고등학교.

공항에서 이륙하는 비행기.

솔갈비 길.

안부 정자.

안부 초소.
인천국제고등학교(외국어고등학교)로 가는 길.

체력 단련장.

주변 안내도.

인천 국제공항.

전망데크.(10시 51분 도착)

강화 마니산(469.4m)

국제공항,

정말 추웠어요.

이제 어였한 정상석도 있네요.

그래도 한사람 올라왔기에 사진을 부탁할까 하다 너무 추워 미안해 그만 뒀습니다.

손이 시려 나중엔 사진 찍기도 어려웠습니다.

마땅히 걸어둘 자리가 없어 이정표에 매단 모양입니다.

신도, 장봉도쪽입니다.

무위도 쪽,

글자확인이 어려운 2등삼각점(정상 아래 헬기장,11시 18분)

연육교.

용궁사 하산길.

청라경제자유지역과 영종도 신도시.

헬기장.

안내도,

백운산 봉수대.

중간 쉼터및 체력단련장.

유일하게 남아있는 소화기.

용궁사 옥부처,

소원바위.

미륵불.(11시 49분)

용궁사 안내문,

종각.

할아버지나무.

할머니나무.

보호수(느티나무)

용궁사.

안내문.


용궁사.

둘레길.

연자석.

정자.

산행 끝(12.00시)

운서역까지 버스로 이동(10분)

서울역방향 승차.

운서역.

날씨가 정말 험상궂은 얼굴같다.(행주대교와 파도치는 한강 모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