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2년까지 100GW에 달할 세계 최대의 시장 -
- 태양광 모듈에 대한 HS코드 품목적용 변경으로 한국산의 인도진출 길이 열려 -
□ 인도 태양광 시장현황 및 지역별 수요
◦ 인도 태양력 에너지 시장현황
- 인도정부는 2022년까지 태양력 발전량 100GW를 달성한다는 목표를 수립하였으며, 이를 위해 매해 태양력 발전설비를 대규모 확충하고 있음.
- 인도 태양력 발전설비는 크게 지상설비와 옥상설비로 구분되며, 2017년 현재 태양력 총 발전량은 13.57GW, 이 중 지상설비는 12.32GW, 옥상설비는 1.25GW임.
인도 태양에너지 발전용량, 단위: GW
자료 : 인도 신재생에너지부(Ministry of New & Renewable Energy), TechSci Research
- 인도정부의 계획에 따른 연도별 설치된 태양광 설비발전량과 향후 예상 수요는 하기 그래프와 같으며, 2018-2027 기간 동안 연평균 증가율은 12.53%를 기록하며 2027년 연간 수요는 20.28GW에 이를 것으로 전망됨.
인도 태양에너지 연도별 발전 증가량과 예상 증가량, 단위: GW
자료 : TechSci Research
◦ 지역별 수요
- 인도는 한반도의 15배에 이르는 광대한 영토를 보유하고 있으며, 위도 30도에 걸쳐 남북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지역별로 태양에너지 잠재력에 큰 편차가 존재함.
- 평지와 사막지대가 많이 있는 북부의 라자스탄, 서부의 구자라트가 태양력 발전소를 설치하게 좋은 조건을 가지고 있으며, 남부 타밀나두, 안드라프라데시 또한 위도가 낮아 일사량이 풍부함. 이들 지역은 주요 도시가 위치한 지역으로 전력수요가 많아, 태양광 설비 확충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음.
인도 권역별 태양에너지 발전 잠재량 비중, 2017년, 단위: %
자료 : TechSci Research
□ 현지 조달현황 및 관련 품목
◦ 높은 수요에 비해 한정된 국내 공급량
- 인도는 서구, 동아시아 국가에 비해 전반적인 제조업 경쟁력이 떨어지는 편이며, 인도 내 태양광 설비 제조는 셀과 모듈의 단순 조립제작에 한정되어 있음.
- 인도 신재생에너지부의 발전량 확충계획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매년 20GW 상당의 태양력 설비 확충이 필요한데, 인도 내 생산량은 3GW에 불과한 상황임. 이에 상당량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음.
인도 태양광 주요설비 생산량, 2017년 7월, 단위: GW
제품명 | 생산용량 | 실제 생산량 |
Polysilicon | - | - |
Ingot/Wafer | - | - |
Solar Cells | 3.1 | 1.5 |
Solar Modules | 8.8 | 2.0-3.0 |
자료 : 인도 신재생에너지부
◦ 인도정부의 Make in India 촉진 노력
- 태양광 발전설비를 구축하는데 필요한 주요 기자재별 소요비용의 비중은 다음과 같음.
인도 태양에너지 설비구축비용 기자재별 비중, 2017년, 단위: %
자료 : 인도 중앙 전력규제위원회(CERC), TechSci Research
- 인도정부는 태양광 설비의 국내 제조를 활성화하기 위하여 2017년 12월 Solar PV Manufacturing Scheme을 발표하였으며, 태양력 산업단지(Solar Park) 조성을 통해 인도 내 제품생산 기업에 대해 인센티브를 부여한다는 계획임.
◦ 품목별 시장현황 및 국가별 주요 진출품목
- 인도 태양력 발전관련 주요 설비별 시장현황과 규모는 다음과 같음.
인도 태양에너지 주요 설비별 시장규모, 2017년, 단위: B$
품목명 | 관련 현황 | 시장규모 |
Cells | 인도내 생산가능량이 수요에 못 미침 | 3.56 |
Pumps | 인도 국내에서의 공급이 선호되고 있음 | 0.14 |
Receivers | 인도내에서 제조능력이 부족함. | 9.24 |
Generator | 인도 국내에서의 공급이 선호되고 있음 | 3.24 |
Heliostat/Mirror | 최근까지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였으나 국내공급이 점차 시작되고 있음 | 1.07 |
Condensers | 인도내 공급이 주류임. | 0.32 |
Storage Tanks | 수요가 높고 대부분 수입위주임. | 0.59 |
자료 : TechSci Research
- PV 모듈을 중심으로 중국, 말레이시아, 미국으로부터의 수입에 크게 의존하고 있음.
국가별 주요 수입품목
국가명 | 품 목 |
중국 | PV Module, Receiver, Storage Tank, Parabolic Generator, Generator, Transformer, Cables & Accessories, Inverter, Junction Box for Solar, Heliostat, Tower, Control Protection & Monitoring System |
독일 | Control, Protection & Monitoring System, Inverter, Receiver |
영국 | Generator |
태국 | Junction Box for Solar, PV Module, Cables & Accessories |
말레이시아 | PV Module, Junction Box for Solar |
대만 | Junction Box for Solar, Inverter, Cables & Accessories |
일본 | Inverter, Control Protection & Monitoring System |
미국 | Junction Box for Solar, Heat Transfer Fluid |
스페인 | Inverter, Tower |
한국 | Cables & Accessories |
자료 : TechSci Research
□ 시사점
◦ 중국산이 장악하던 인도 태양광 모듈 시장, 수입정책 변경으로 판도 바뀌나
- 블룸버그에 의하면 2017년 중국에서 생산된 태양광 모듈의 70% 가량이 인도로 수출되었음. 가격경쟁력을 앞세워 인도로 유입되었던 중국산 태양광 모듈에 대하여 인도 정부가 세이프가드 조치를 검토하는 가운데 타국 생산품에게 기회가 열릴 수 있는 상황임.
- 최근 인도정부는 기존 기본관세 7.5%가 적용되었던 HS8501 품목에 대하여 일부품목의 HS 코드를 영세율이 적용되는 HS8541로 변경한다는 공시를 하였음. 세부내역은 다음과 같음.
* the solar panels or modules euipped with bybass diodes are classifiable in heading 8541
* the solar panels or modules euipped with blocking diodes are classifiable in heading 8501
* he solar panels or modules euipped with blocking diodes and bypass diodes are classifiable in heading 8501
◦ 인도 거래대상을 찾기 위하여 관련 협회를 통해 정보를 수집할 필요성
- 인도의 경우 기업이 특정 산업단체의 회원으로 등록되어있는 경우가 많으며, 태양에너지 분야의 경우 그 수가 그리 많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있음.
- 인도 기업의 경우 기술력이 낮은 수준인 경우가 많아 기술협력 수요가 높은 바, 현지기업과의 JV, 기술제휴를 통한 현지시장진출을 검토할 필요가 있음. 인도 신재생에너지 협회(India Renewable Energy Federation) 회장 V. Subramanian은 "솔직히 인도에서 한국기업의 인지도는 일본, 독일 등에 비해 낮은 수준이다" 라면서, "따라서 인도 현지기업과의 구체적인 협업수요를 발굴할 필요가 있다. 현재 인도기업은 선진기술을 가진 외국 업체와의 기술제휴 수요가 매우 높은 상황이다"라고 하며 한국기업의 적극적인 인도시장 진출을 강조하였다.
작성자 : KOTRA 뉴델리 무역관 임성식 과장, Ashish Verma Executive
출처 : Techsci Research, 인도 중앙 전력규제위원회(CERC), 인도 신재생에너지부, 현지 언론보도 자료, KOTRA 무역관 인도 신재생에너지 협회 직접 방문 및 인터뷰